KR19980062333A -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2333A KR19980062333A KR1019960081735A KR19960081735A KR19980062333A KR 19980062333 A KR19980062333 A KR 19980062333A KR 1019960081735 A KR1019960081735 A KR 1019960081735A KR 19960081735 A KR19960081735 A KR 19960081735A KR 19980062333 A KR19980062333 A KR 19980062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buckle
- seat belt
- groove
- poi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벨트(40)와, 지지부(42)와, 버클(44)과 상기 버클(44)과 결합되어 벨트(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41)와, 벨트(40)가 권취 보관되는 벨트홀더(43)로 구성된 3점의 지시점을 갖는 3점식 안전벨트 구조에 있어서, 벨트(40) 장착시 통상의 벨트(40)상의 임의 지점에 끼워져 있는 버클(44)의 홈부(S)를 고정부(41)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고정부(41)에는 세로홈과 가로홈을 형성함으로서 구성되는 이빨형상의 다단의 결합홈부(50)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상기 결합홈부(50)의 모서리부(6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례로 함몰되어 부서지도록 구성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이빨형상의 다단의 모서리부가 부서져 충격에너지가 전달되어 안전벨트에 걸리는 장력 때문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함으로써 승객과 운전자를 보호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3점식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이 안착되는 고정부의 구조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의자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40)가 설치되고, 이러한 안전벨트 구조는 상기 안전벨트가 권취되어 보관되는 벨트홀더(43)와 상기 안전벨트(40)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41)와 신체의 허리부분을 지나는 벨트의 지점역할을 하는 중간지지부(42)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벨트(40)가 상기 고정부(41)와 결합하도록 하는 수단인 버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벨트를 통상 3포인트 즉 A점, B점, C점에서 벨트가 지점을 이루므로 통상 3점식이라 한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벨트는 운전자가 벨트를 착용시 벨트홀더(43)내에 권취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풀어내어 상기 벨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버클을 잡아 당겨 의자의 등받이(20)와 쿠션(10)사이의 측면에 통상 설치된 고정부에 결합시킴으로서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3점식 안전벨트는 차량 충돌시 가슴부위를 크로스로 지나는 벨트부위가 인체에 밀착 가압되어(즉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서) 인체에 고통을 주게되며, 심지어는 안전벨트로 인해 중상을 입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것은 버클과 고정부가 견고하게 끼워 결합되어 있어 벨트에 전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즉, 충돌시 상대운동을 허용하지 못하는 구조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고정부에 세로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과 교차하는 가로홈을 다수단 형성함으로서 다단의 결합홈을 버클과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 충돌시 이빨형태의 다단의 결합홈부가 형성된 고정부는 충격량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가 부서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3점식 자동차의 안전벨트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안전벨트의 버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쿠션(Cushion)20:등받이
30:헤드레스트(Headrest)31:스테이(Stay)
40:안전벨트41:고정부
42:중간지지부43:벨트홀더
44:버클(Buckle)50:결합홈부
60:모서리부S: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안전벨트의 버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44는 버클이고 부호 41은 고정부이다.
본 발명은 벨트의 B점을 지지하는 지지부(42), 버클(44)과 결합되는 고정부(41) 및 벨트가 권취 보관되는 벨트홀더(43)와 상기 고정부(41)에 착탈되는 버클(44)로 구성된 3점식 안전벨트에 있어서, 벨트(40) 장착시 통상의 벨트(40)상에 있는 버클(44)의 홈부(S)를 고정부(41)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고정부(41)는 세로홈과 다수의 가로홈을 형성함으로서 구성되는 이빨형상의 다단의 결합홈부(50)를 구성하여 차량 충돌시 상기 다단 모서리부(6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례로 부서져 함몰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고정부의 형상을 다단의 이빨형상으로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상기 이빨형상의 다단의 모서리부가 부서져 충격에너지가 전달되어 안전벨트에 걸리는 장력 때문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함으로서 승객과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 벨트(40)와, 지지부(42)와, 버클(44)과 상기 버클(44)과 결합되어 벨트(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41)와, 벨트(40)가 권취 보관되는 벨트홀더(43)로 구성된 3점의 지시점을 갖는 3점식 안전벨트 구조에 있어서, 벨트(40) 장착시 통상의 벨트(40)상의 임의 지점에 끼워져 있는 버클(44)의 홈부(S)를 고정부(41)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고정부(41)에는 세로홈과 가로홈을 형성함으로서 구성되는 이빨형상의 다단의 결합홈부(50) 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상기 결합홈부(50)의 모서리부(6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례로 함몰되어 부서지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81735A KR19980062333A (ko) | 1996-12-30 | 1996-12-30 |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81735A KR19980062333A (ko) | 1996-12-30 | 1996-12-30 |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2333A true KR19980062333A (ko) | 1998-10-07 |
Family
ID=6642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81735A KR19980062333A (ko) | 1996-12-30 | 1996-12-30 |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62333A (ko) |
-
1996
- 1996-12-30 KR KR1019960081735A patent/KR199800623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62333A (ko) | 충격흡수가 가능한 안전벨트 구조 | |
KR0115726Y1 (ko) | 자동차 뒷자석용 쿠션장치 | |
KR20020049616A (ko) | 차량용 시트백의 결합구조 | |
KR0132479Y1 (ko)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구조 | |
KR200315550Y1 (ko) | 헤드레스트 지지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 |
KR200150717Y1 (ko) |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 |
KR0148668B1 (ko) |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 |
KR19990033038A (ko) |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 |
KR200141721Y1 (ko) |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 |
KR0138836Y1 (ko) | 프런트 시트 사이의 쿠션 구조 | |
KR19980023559U (ko) | 유아보호용 자동차 시트벨트 | |
KR19980066712U (ko) | 차량용 유아시트 | |
KR0130817Y1 (ko) |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 |
KR200303450Y1 (ko) | 착용력이 우수한 일체형 안전벨트 | |
KR200259876Y1 (ko) | 신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부드러운 안전띠커버 | |
KR100187353B1 (ko) | 자동차의 어린이용 안전벨트 설치구조 | |
KR20200139857A (ko) |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에어가 설치된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 |
KR19980031699U (ko) | 자동차의 y자형 시트 벨트 | |
KR200147923Y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 |
KR19980034797U (ko) | 자동차용 탑승자 충격완화장치 | |
KR19980030813U (ko) |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 |
KR19980055323A (ko) |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 |
KR19980048946U (ko) | 차량용 시트 벨트의 어퍼 앵커 구조 | |
KR20050069336A (ko) |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등받이 | |
KR20070008004A (ko) | 차량용 안전벨트 디링 충격완충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