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300A -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300A
KR19980062300A KR1019960081702A KR19960081702A KR19980062300A KR 19980062300 A KR19980062300 A KR 19980062300A KR 1019960081702 A KR1019960081702 A KR 1019960081702A KR 19960081702 A KR19960081702 A KR 19960081702A KR 19980062300 A KR19980062300 A KR 1998006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ement
vehicle
reinforc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8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300A/ko
Publication of KR1998006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300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외측판넬(11)과 내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절곡 형성된 내측보강판(13)이 플랜지되며, 상기 내측판넬(12)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일측단부가 절곡 형성된 플로어판넬(50)이 연결되어 지며, 상기 플로어판넬(50)의 일측 상부와 내측판넬(12)의 외측면에 보강판넬(40)이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넬(12)과 보강판넬(40)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에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보강판(50)이 별도의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취부하여,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체의 변형이 억제되고, 충격이 효과적으로 완충되어 측면 충돌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사이드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승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측부 충돌시에도 도어(DOOR)와 플로어판넬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 차체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면기둥(1)과 중심기둥(2) 및 후면기둥(3)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기둥(1) 중심기둥(2) 후면기둥(3)들 상단부에는 지붕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루프레일(5)이 연결되며, 상기 전면기둥(1) 중심기둥(2) 후면기둥(3)들의 하단부에는 자동차의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판넬의 일측단부가 사이드실(10)의 일측면에 취부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외측판넬(11)과 내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절곡 형성된 내측보강판(13)이 플랜지되며, 상기 내측판넬(12)의 외측면에는 일측단부가 절곡 형성된 플로어판넬(50)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는, 측면충돌시 외측판넬(11)과 내측보강판(13)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에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2차적으로 내측보강판(13)과 내측판넬(12)에 형성된 폐단면에서 충격하중을 흡수하며, 3차적으로 내측판넬(12)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한 후 플로어판넬(50)을 통해 충격에너지를 분산시켜, 측부 구조물이 파손되어 차실로 침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는 측면충돌시 충돌하는 차량의 범퍼 하부쪽에 사이드실(10)과 플로어판넬(50)이 위치되어 사이드실(10)의 내측판넬(12)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플로어판넬(50)로 집중됨으로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게 됨은 물론, 차체하부에 좌굴현상이 발생하여 플로어판넬(20)이 변형되며 도어와 함께 측면부 차체가 실내로 침입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이 위협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어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측판넬과 제 1보강판넬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보강판넬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내측판넬에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제 1보강판의 단부에 접하는 제 2보강판넬을 취부하며, 상기 제 2보강판넬의 양측단부에는 사이드판넬이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며, 상기 사이드판넬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내측판넬에 접착되고, 타측단부가 내측판넬의 단부에 취부되는 가니쉬를 설치하여,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의 충격하중을 측면 차체에 폭넓게 분산되도록 하는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사이드실 11:외측판넬
12:내측판넬 14:제 1보강판넬
15:제 2보강판넬20:사이드판넬
30:가이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도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도어(4)의 내측면에 접하는 외측판넬(11)과 제 1보강판넬(14)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보강판넬(14)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내측판넬(12)에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제 1보강판(14)의 단부에 접하는 제 2보강판넬(15)을 취부하며, 상기 제 2보강판넬(15)의 양측단부에는 사이드판넬(20)이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며, 상기 사이드판넬(20)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외측판넬(11)에 접착되고, 타측단부가 내측판넬(12)의 단부에 취부되는 가니쉬(30)가 설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 외측판넬(11)이 실내쪽으로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2차적으로 외측판넬(11)과 제 1보강판넬(14)사이에 형성된 폐단면에서 흡수한 후, 제 2보강판넬(15)과 내측판넬(12)에 형성된 폐단면에서 흡수하며 3차적으로 제 2보강판넬(15)을 통해 사이드판넬(20)에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가니쉬(30)에서 흡수 및 내측판넬(12)로 절달하여 플로어판넬(50)로 폭넓게 충격하중을 분산시켜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측부 차체가 실내로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준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체의 변형이 억제되고, 충격이 효과적으로 완충되어 측면 충돌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4)의 내측면에 접하는 외측판넬(11)과 제 1보강판넬(14)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보강판넬(14)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내측판넬(12)에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제 1보강판(14)의 단부에 접하는 제 2보강판넬(15)을 취부하며, 상기 제 2보강판넬(15)의 양측단부에는 사이드판넬(20)이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며, 상기 사이드판넬(20)의 하부에는 일측단부가 외측판넬(11)에 접착되고, 타측단부가 내측판넬(12)의 단부에 취부되는 가니쉬(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19960081702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62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702A KR1998006230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702A KR1998006230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300A true KR19980062300A (ko) 1998-10-07

Family

ID=6642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702A KR1998006230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2300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71867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27074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37656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62299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17145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19980045305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3770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62291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40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62165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97875Y1 (ko)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41694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62272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62290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33771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58922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3775B1 (ko) 자동차 전면기등 하단부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