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200U - 마늘세절기 - Google Patents

마늘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200U
KR19980062200U KR2019970006507U KR19970006507U KR19980062200U KR 19980062200 U KR19980062200 U KR 19980062200U KR 2019970006507 U KR2019970006507 U KR 2019970006507U KR 19970006507 U KR19970006507 U KR 19970006507U KR 19980062200 U KR19980062200 U KR 19980062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blade
guide
cut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2019970006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200U/ko
Publication of KR19980062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200U/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중식당이나 회집등의 주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마늘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종류의 마늘세절기가 공지된바 있으나 이와같은 마늘세절기는 고정상태에 있는 세절칼날에 마늘이 작동간의 압압력에 의해 압접되면서 세절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세절상태가 고루지 못할뿐만 아니라 세절과정에 마늘이 서로 엉켜붙어 세절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상하 작동간(2)(2')의 후단부는 스프링(3)을 개재한 상태에서 핀(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작동간(2)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상측 칼날(5')과 하측칼날(5)을 교대로 부착한 칼날지지틀(5)이 형성되어지며 이들 칼날(5')(5)은 하부작동간(2')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간 고정틀(9)에 끼움된 다수의 안내간(7)의 공간부(8)에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안내간(7)의 상단끼움부(7')에는 켑(4)이 끼움고정되어지며 전기한 안내간(7)의 중간부에는 마늘투입구(8')를 형성하여 이의 일측은 칼날지지틀(5)에 부착된 받침판(6)에 의해 차폐되게하고 전기한 안내간 고정틀(9)의 저면에 형성된 요입부(9')에는 마늘뿌리를 절단하는 칼날(10)이 횡방향으로 설치되게함으로서 이를 사용할시는 마늘투입구(8')에 마늘(11)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하작동간(2)(2')을 손에 잡고 압압하면 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상부작동간(2)의 선단에 형성된 칼날지지틀(5)의 칼날(5')(5)이 안내간(7)의 공간부(8)를 따라 하강하면서 하측 칼날(5)이 먼저 마늘(11)을 절단하면 뒤이어 상측 칼날(5')이 하강하면서 앞서 절단된 마늘의 중간부를 절단하므로 마늘이 고루 절단되며 마늘의 세절이 끝나면 이때에는 받침판(6)이 마늘투입구(8')를 개방시킴에 따라 세절된 마늘(11')은 밖으로 낙하되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늘세절기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로서
가는 마늘이 투입되었을 때
나는 마늘이 세절될때
다는 마늘이 세절되었을때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2,2'-상하작동간3-스프링3'-핀
3-턱4-고정켑5-칼날지지틀5',5-칼날
6-받침판7-안내간7',7-끼움부8-공간부
8'-마늘투입구9-안내간고정틀9'-요입부10-칼날
11-마늘11'-세절된 마늘
본 고안은 식당이나 횟집등의 주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마늘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종류의 마늘세절기가 공지된바 있기는 하였으나 이와같은 마늘세절기는 마늘을 압압 이동시키는 과정 고정상태에 있는 칼날에 의해 세절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마늘이 고루게 세절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세절된 마늘의 상태가 온전하지 못한 페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안내간의 표면에 형성된 마늘투입구에 투입된 마늘이 칼날 고정틀에 설치된 상하 칼날의 작동에 의해 일정 두께로 고루게 세절되고 세절이 끝나면 받침판이 이동되면서 마늘투입구를 개방시킴에 따라 세절된 마늘은 일시에 낙하되어지게 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작동간(2)(2')의 후단부는 턱(3)에 걸림된 스프링(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핀(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작동간(2)의 선단에는 칼날지지틀(5)를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는 다수의 상측 칼날(5')과 하측 칼날(5)이 교호로 끼움고정되며 상하측 칼날(5')(5)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하부작동간(2')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간고정부(9)에 일정한 공간부(8)를 두고 끼움고정된 다수의 안내간(7)이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안내간(7)의 상단 끼움부에는 고정켑(4)을 끼움고정하므로서 전기한 칼날지지틀(5)이 이에 걸림되어지게 하고 칼날지지틀(5)의 일측에 부착된 받침판(6)은 안내간(7)의 중앙부에 요설된 마늘투입구(8')의 일측을 차폐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하부작동간(2')의 선단에 있는 안내간 고정틀(9)의 저면요입부(9')에는 마늘의 뿌리부를 절단하는 칼날(10)을 횡설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대중식당이나 횟집등의 주방에서 조미식품인 마늘을 동전처럼 얇게 세절할때 사용하는 마늘세절기인바 이를 사용할 때는 제4도에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늘(11)의 뿌리부분은 고정틀(9)의 저면요입부(9')에 횡으로 설치되어있는 칼날(10)을 이용하여 절단한후 이를 마늘투입구(8')에 투입하면 이때 마늘투입구(8')의 저면에는 칼날지지틀(5)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받침판(6)이 마늘투입구(8')를 막고 있기 때문에 함실처럼되어 있어 투입된 마늘은 투입구(8')내에 안치되어진다.
이때 상하작동간(2)(2')을 손에 잡고 압압하면 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제 4 도 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작동간(2)의 선단에 형성된 칼날지지틀(5)이 안내간(7)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칼날지지틀(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하측칼날(5)이 먼저 마늘(11)과 접하면서 마늘(11)을 절단하게 되고 뒤이어 상측의 좌우 칼날(5')이 하강하면서 하측 칼날(5)에 의해 이미 절반이상 절단된 마늘의 중심부를 다시 절단하여 주기 때문에 즉 하측 칼날(5)이 마늘(11)을 절단 완료하기 전에 상측칼날(5')이 하강하면서 절단과정에 있는 마늘의 중심부를 절단하여 주기 때문에 마늘이 고루게 세절되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칼날지지틀(5)이 안내간 고정틀(9)에 닿게 되면 이때에는 제 4도 다 표시와 같이 마늘(11)의 절단이 완료됨과 동시 안내간(7)에 형성된 마늘투입구(8')을 차폐하고 있는 받침판(6)이 칼날지지틀(5)과 함께 하강하면서 마늘투입구(8')를 개방시켜주기 때문에 세절된 마늘(11')은 밖으로 낙하되어진다.
그리고 상하작동간(2)(2')의 압압상태를 해지하면 이때에는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상하작동간(2)(2')은 제 4도 가 표시와 같이 원위치됨에 따라 다음 세절작업을 연속하여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마늘(11)을 세절함에 있어 마늘투입구(8')에 마늘(11)을 투입한후 상하작동간(2)(2')을 손에 잡고 압압하면 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상부작동간(2)의 선단에 설치된 칼날지지틀(5)의 칼날(5')(5)의 공간부(8)를 따라 하강하면서 마늘투입구(8')에 안치된 마늘을 세절함에 있어서 칼날지지틀(5)내에 설치된 하측칼날(5)이 먼저 하강하면서 마늘(11)을 절반이상 절단하였을 때 상측칼날(5')이 하강하면서 절반이상 절단되어 있는 마늘(11)의 중심부를 절단 완료하면 이때에는 칼날지지틀(5)에 부착된 받침판(6)이 마늘투입구(8')을 개방하여 세절된 마늘(11')이 낙하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절단이 고루게 절단됨은 물론 마늘(11')이 세절과정 서로 엉키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절단효율을 현저히 높힐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마늘세절기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 상하작동간(2)(2')의 후단부는 스프링(3)을 개재한 상태에서 핀(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작동간(2)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상측칼날(5')과 하측칼날(5)이 차례로 끼움된 칼날지지틀(5)이 형성되고 하부작동간(2')의 선단에는 안내간(7)의 고정틀(9)이 형성되며 전기한 안내간(7)의 중간부에 형성된 마늘투입구(8')의 일측은 칼날지지틀(5)에 부착된 받침판(6)이 차폐할 수 있게 하여 상하작동간(2)(2')을 손에 잡고 압압하여 세절할 수 있게한 마늘 세절기.
KR2019970006507U 1997-03-26 1997-03-26 마늘세절기 KR199800622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507U KR19980062200U (ko) 1997-03-26 1997-03-26 마늘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507U KR19980062200U (ko) 1997-03-26 1997-03-26 마늘세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200U true KR19980062200U (ko) 1998-11-16

Family

ID=696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507U KR19980062200U (ko) 1997-03-26 1997-03-26 마늘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2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24B1 (ko) * 2007-09-19 2008-10-07 안혁판 다용도세절기
KR200449134Y1 (ko) * 2010-02-05 2010-06-17 김성훈 마늘세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24B1 (ko) * 2007-09-19 2008-10-07 안혁판 다용도세절기
KR200449134Y1 (ko) * 2010-02-05 2010-06-17 김성훈 마늘세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439B1 (en) Garlic cutter
KR19980062200U (ko) 마늘세절기
JP3486740B2 (ja) 肉軟化機
KR102019638B1 (ko) 안전 채칼 기구
KR200428216Y1 (ko) 마늘세절기
KR20180082376A (ko) 다용도 가위
CN210500637U (zh) 一种木制品加工用具有废屑清理结构的切割装置
CN210043962U (zh) 台阶式水槽清洗机
JP5059498B2 (ja) 電動調理器
KR200367555Y1 (ko) 다용도 전기 채썰기
CN213617117U (zh) 一种具有废料收集结构的液压裁断机
CN212394700U (zh) 一种单臂残疾人辅助切菜厨具
CN218484404U (zh) 一种可替换式切片刨丝刀
JP3043032U (ja) 調理用包丁
CN210842765U (zh) 一种多功能刨丝机
CN218170532U (zh) 一种多功能切菜机
JP2002223961A (ja) 玉葱みじん切器具
CN216757335U (zh) 一种用于拆丝机的自动清洁装置
CN214400937U (zh) 一种高线率拉链打枣机
JP2000157156A (ja) 刺身千切り装置
CN213499420U (zh) 一种多用切辣椒组合刀具
KR100862024B1 (ko) 다용도세절기
KR20100003726U (ko) 마늘 절편기
CN209849357U (zh) 货架清洁清洗设备
CN212234232U (zh) 一种果蔬刨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