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024B1 - 다용도세절기 - Google Patents

다용도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024B1
KR100862024B1 KR1020070095027A KR20070095027A KR100862024B1 KR 100862024 B1 KR100862024 B1 KR 100862024B1 KR 1020070095027 A KR1020070095027 A KR 1020070095027A KR 20070095027 A KR20070095027 A KR 20070095027A KR 100862024 B1 KR100862024 B1 KR 10086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ing frame
blade fixing
vegetables
gar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판
Original Assignee
안혁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혁판 filed Critical 안혁판
Priority to KR102007009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22C25/025Devices for washing or descaling fish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26D2011/005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ind of cutters, e.g. two serial slitters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al cutter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세절기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각(角)운동되는 다수의 칼날에 의하여 한번에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마늘이나 오이, 당근, 가지,고추등과 같이길이가 긴 야채류를 간단히 세절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마늘을 다질 수 있도록 하며, 생선의 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가지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도구로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김치를 만들 때 제공되는 야채류를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여 만들 때 야채류(오이, 당근, 가지, 고추등)를 손쉽게 절단하고 다져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하여 음식을 만들 수 있게 하므로 조리준비나 김장을 만들 때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 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다용도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칼날고정틀, 야채투입구, 마늘다지기, 껍질깎이, 흠집제거칼날, 채공, 채칼, 개방부, 치형돌기, 생선비늘제거기

Description

다용도세절기{MEAT CUTTEN FOR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다용도 세절기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각(角)운동되는 다수의 칼날에 의하여 한번에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마늘이나 오이, 당근, 가지, 고추등과 같이 길이가 긴 야채류를 간단히 세절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야채의 흠집을 제거하거나 껍질을 벗길 수 있게 하며, 채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마늘을 다질 수 있게 하며, 생선의 비늘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여러가지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도구로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김장을 만들 때 제공되는 야채류를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며,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여 만들 때 야채류(오이, 당근, 가지 , 고추등)를 손쉽게 절단하고 다져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하여 음식을 만들 수 있게 하므로 조리준비나 김장을 만들 때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 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다용도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고기를 구어 먹거나 생선회를 먹을 경우에 고기의 느끼한 맛이나 생선회의 비린 맛을 제거하고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제공되지 않는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마늘, 오이, 당근, 고추등 각종 야채가 곁들여지고 반찬을 만들어 먹기 위해 야채를 씻고 껍질을 벗긴 후 절단하거나 다져 요리를 하게 되는데 여러가지의 음식을 만들다 보면 작업자가 직접 칼을 이용하여 야채를 절단하는 경우 야채의 크기가 작고 야채의 형상이 대체로 일정하게 고르지 못하며 한손에 야채를 잡고 다른 손에 칼을 잡아 쓸다 보면 자칫 잘못하면 손을 베일 수도 있고, 김장을 하거나 대량으로 음식을 조리시 각종 도구를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도구를 찾아 작업을 하게 된다. 많은 량을 작업하다 보면 각자의 맡은 부분만을 지속적으로 대량을 만들기도 하며 작업도중 필요한 도구가 발생되면 작업중 손을 닦거나 씻고 찾아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발생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실용신안 공개 1998-062200호의 마늘세절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마늘세절기는 마늘과 같은 작은 야채를 세절하는 것으로 긴 야채를 세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작업도중 하던 일을 마치고 다른 일을 하기 위해 다시금 도구를 찾아서 다른 일을 해야 하는 등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되고, 일일이 야채를 손으로 작업하고 같은 일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다 보니 작업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일상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야채의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각(角)운동 되는 다수의 칼날에 의하여 한번에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며, 길이가 긴 야채류(오이, 당근, 가지, 고추등)도 세절할 수 있도록 하며 야채의 흠집을 제거하거나 껍질을 벗길 수 있게 하고, 채를 만들 수 있게 하며, 생선 비늘을 제거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야채세절시 발생하는 찌꺼기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일체로 구비하여, 가정집이나 음식점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고, 김장시 야채류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식 조리시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 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여러가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한번의 공정과정에 모든 것을 작업할 수 있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세절기는 후단부가 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결합 된 좌측 작동간과 우측 작동간 및; 좌측 작동간과 우측 작동간 사이에 끼워져 탄력지지 된 탄성스프링과; 우측 작동간의 상단부에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칼날이 일정 간격으로 끼워져 결합된 칼날고정틀과; 칼날고정틀과 마주하는 방향의 좌측 작동간의 선단부에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칼날고정틀에 끼워진 칼날이 이동되는 다수의 칼날안내슬릿(Slit)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간부위에 칼날안내슬릿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야채투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안내편과; 좌측 작동간의 상부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공과; 칼날고정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야채투입구의 반대쪽을 막아주는 커버판과; 안내편의 반대 끝부분에 형성되어 칼날고정틀의 내측 가장자리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으로 된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좌측작동간과 우측작동간의 중간부에 각각 치형돌기를 형성시키고 우측 작동간의 칼날고정틀의 저면을 개방하여 개방부를 형성하고, 칼날고정틀 후면에 생선 비늘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된 비늘제거기와; 이탈 방지턱의 후면에 마늘을 다지는 마늘다지기와; 좌측작동간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다수개의 채공을 형성하고 있는 채칼과; 이탈방지턱의 전면단에 회전 칼날을 힌지로 설치한 껍질깎이와; 우측작동간 하단에 흠집제거칼날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좌우측 작동간 사이에 형성된 안내편상의 야채투입구에 긴야채(가지,당근,오이,고추등)을 투입하고, 상기 좌.우측 작동간을 중심으로 오므렸다 바깥쪽으로 펼치면 칼날고정틀의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어 야채투입구에 투입된 길이가 긴 야채가 개방부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야채가 여러조각으로 세절되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량의 야채를 세절할 수 있으며 , 일체로 형성된 껍질깍기로 껍질을 깍고 흠집을 제거하며, 채를 만들고, 생선의 비늘을 한번에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야채 세절시 찌꺼기가 손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가지 도구를 구비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한번의 과정에 처리할 수 있게 하므로 김장이나 음식 조리시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 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세절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야채 다지기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채칼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껍질깎이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생선 비늘 제거기의 사용상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야채를 세절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세절기(100)는 야채가 일정 범위내에서 각(角)운동 되는 다수의 칼날에 의하여 길이가 긴 야채(오이, 당근, 가지, 고추등)를 한번에 여러 조각으로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며, 껍질을 깍고, 야채의 흠집을 제거하며, 채를 만들고, 생선 비믈을 제거하며, 야채 세절시 발생하는 찌꺼기가 손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먼저 야채를 야채투입구에 투입하기 전에 야채를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용도에 따라 야채를 작업하게 되는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야채투입구(8)에 투입된 오이와 같은 길이가 긴 야채는 우측작동간(2)의 상의 칼날고정틀(5) 선단 외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커버판(11)에 의해 막혀 반대쪽으로 빠지지 않게 되며 칼날고정틀(5)이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길이가 긴 야채를 투입하고 우측 작동간(2)을 오므려 야채를 절단시 개방부(19)에 의해 칼날고정틀(5)이 야채에 닿지 않으므로 야채가 전면이 개방된 칼날고정틀(5)에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길이가 긴 야채를 야채투입구(8)에 넣고 세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채칼(15)은 야채를 이용하여 무우채를 만들거나 오이채를 이용한 채를 만들때는 좌측작동간(1) 상부에 형성된 채칼(15)을 통해 야채(무우, 오이)를 밀어주면 야채가 채공(15a)을 통해 밀리면서 일정한 채로 형성 되게 된다.
마늘 다지기(18)는 마늘을 다지기 위하여 다수의 마늘을 놓고 우측작동간(2)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성형된 반원형 치형돌기로 마늘을 두드리면 마늘이 다져지게 하였다.
껍질깍기(13)은 이탈방지턱(12)의 전면단에 회전칼날이 힌지로 설치되어 있으며 야채의 껍질을 손으로 잡고 밀면 회전칼날이 회동되면서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흠집제거기(14)는 우측 작동간(2)의 하단에 형성되어 야채의 흠집을 제거한다.
생선비늘제거기(14)는 칼날고정틀(5)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어 생선의 비늘을 제거 하도록 하였다
양념이 묻은 미끄러운 손으로 양념통을 열기 위하여 좌.우작동간(1)(2)중앙에 치형돌기(1a)(2a)를 이용해 마개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음식조리시 손을 씻지 않고도 양념통을 열 수 있게 하였다.
좌측 작동간(1)과 우측 작동간(2)을 오므리면, 우측 작동간(2)의 선단에 마련된 칼날고정틀(5)및 그 내부에 끼워진 다수개의 칼날(6)이 안내편(7)상의 칼날안내슬릿(9)을 따라 이동되므로 야채투입구(8) 내에 투입된 야채가 여러 조각으로 세절된 후 야채투입구(8)의 반대쪽으로 배출된다.
이때, 칼날고정틀(5)이 회동하여 끝에 도달되면 좌측 작동간(1)상에 형성된 스톱퍼(16)에 닿게 되며, 작업자는 이를 인지하여 좌.우작동간(1)(2)에 인가되는 작용힘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야채의 세절동작시 발생되는 찌꺼기는 세척과정에서 찌꺼지 배출공(10)을 통하여 손쉽게 배출된다.
야채를 세절 후 좌.우측 작동간(1)(2)에 인가되는 작동힘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4)의 탄성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다시 펼쳐 지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야채를 세절하는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안내편(7)의 우측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2)은 우측 작동간(2)의 선단에 형성된 칼날고정틀 (5)이 탄성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세절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세절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지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채칼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껍질깎이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생선 비늘 제거기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야채를 세절하는 것을 보인 사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좌측작동간 1a,2a:치형돌기
2;우측작동간 3;힌지핀
4;탄성스프링 5;칼날고정틀
6;칼날 7;안내편
8;야채투입구 9;칼날안내슬릿
10;찌꺼기배출공 11;커버판
12;이탈방지턱 13;껍질깎이
14;흠집제거칼날 15;채칼
15a;채공 16;스톱퍼
17;생선비늘제거기 18;마늘다지기
19;개방부

Claims (1)

  1. 후단부가 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결합 된 좌측 작동간(1)과 우측 작동간(2) 및; 좌측 작동간(1)과 우측 작동간(2) 사이에 끼워져 탄력지지 된 탄성스프링(4)과 ; 우측 작동간(2)의 상단부에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칼날(6)이 일정 간격으로 끼워져 결합된 칼날고정틀(5)과; 칼날고정틀(5)과 마주하는 방향의 좌측 작동간(1)의 선단부에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칼날고정틀(5)에 끼워진 칼날(6)이 이동되는 다수의 칼날안내슬릿(Slit)(9)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간부위에 칼날안내슬릿(9)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야채투입구(8)가 마련된 다수의 안내편(7)과; 좌측 작동간(1)의 상부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공(10)과; 칼날고정틀(5)의 일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야채투입구(8)의 반대쪽을 막아주는 커버판(11)과; 안내편(7)의 반대 끝부분에 형성되어 칼날고정틀(5)의 내측 가장자리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턱(12)으로 된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작동간(1)과 우측 작동간(2)의 중간부에 각각 치형돌기(1a)(2a)를 형성시키고 우측 작동간(2)의 칼날고정틀(5)의 저면을 개방하여 개방부(19)를 형성하고, 칼날고정틀(5) 후면에 생선 비늘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된 비늘제거기(17)와; 이탈 방지턱(12)의 후면에 마늘을 다지는 마늘다지기(18)와; 좌측 작동간(1)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다수개의 채공(15a)을 형성하고 있는 채칼(15)과; 이탈방지턱(12)의 전면단에 회전 칼날을 힌지로 설치한 껍질깍이(13)와; 우측작동간(2) 하단에 흠집제거칼날(14)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절기.
KR1020070095027A 2007-09-19 2007-09-19 다용도세절기 KR10086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27A KR100862024B1 (ko) 2007-09-19 2007-09-19 다용도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27A KR100862024B1 (ko) 2007-09-19 2007-09-19 다용도세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024B1 true KR100862024B1 (ko) 2008-10-07

Family

ID=4015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27A KR100862024B1 (ko) 2007-09-19 2007-09-19 다용도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67Y1 (ko) 2013-09-26 2015-11-20 박제열 마늘 분쇄및 절편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200U (ko) * 1997-03-26 1998-11-16 김영구 마늘세절기
US20050138736A1 (en) 2003-12-31 2005-06-30 Tarlow Kenneth A. Multi-purpose kitchen utensil
KR200428216Y1 (ko) 2006-07-26 2006-10-09 이규삼 마늘세절기
US20060246832A1 (en) 2005-04-29 2006-11-02 Sellars Alfred P Jr Multi-use seafood utens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200U (ko) * 1997-03-26 1998-11-16 김영구 마늘세절기
US20050138736A1 (en) 2003-12-31 2005-06-30 Tarlow Kenneth A. Multi-purpose kitchen utensil
US20060246832A1 (en) 2005-04-29 2006-11-02 Sellars Alfred P Jr Multi-use seafood utensil
KR200428216Y1 (ko) 2006-07-26 2006-10-09 이규삼 마늘세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67Y1 (ko) 2013-09-26 2015-11-20 박제열 마늘 분쇄및 절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194B1 (en) Omni-bearing peeler
US20120085249A1 (en) Assembled peeler
US20100000423A1 (en) Peeling apparatus
JP2016534886A (ja) 食物細分装置
US9565962B2 (en) Multi-functional fruit and vegetable shaping tool
US20160193744A1 (en) Onion cutter device with specialist cutting blades for various vegetable and fruit finishes
US2505114A (en) Shredder type culinary article
KR100862024B1 (ko) 다용도세절기
US10933543B2 (en) Multipurpose scissors
KR100741141B1 (ko) 도마
KR20080114632A (ko) 식재료 절단용 가위
KR200428216Y1 (ko) 마늘세절기
KR101124813B1 (ko) 물 빠짐이 가능한 도마
KR101145242B1 (ko) 주방용 가위
US2566082A (en) Butcher's tool rack
US20040216308A1 (en) Fruit scoop
KR102094080B1 (ko)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KR20100003726U (ko) 마늘 절편기
KR200321839Y1 (ko) 마늘세절기
KR20160087502A (ko) 회전식 다기능 채칼
JP2934872B1 (ja) 多目的調理用具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KR20110105267A (ko) 마늘 파 세절기
CN212394700U (zh) 一种单臂残疾人辅助切菜厨具
KR101432163B1 (ko) 야채 절단다지기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