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26U - 마늘 절편기 - Google Patents

마늘 절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26U
KR20100003726U KR2020080015025U KR20080015025U KR20100003726U KR 20100003726 U KR20100003726 U KR 20100003726U KR 2020080015025 U KR2020080015025 U KR 2020080015025U KR 20080015025 U KR20080015025 U KR 20080015025U KR 20100003726 U KR20100003726 U KR 20100003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utting machine
blades
cu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원
Original Assignee
강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원 filed Critical 강기원
Publication of KR20100003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주방의 조리대 위에 껍질을 벗긴 상태의 마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눌러 가압하는 동작에 의하여 마늘이 다수의 얇은 조각으로 절단되면서 절편기 본체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늘편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마늘절단시 발생되는 찌꺼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마늘 절편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절편기 본체와; 상기 절편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면을 가로질러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칼날과; 사용시 절편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선택적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각의 칼날 사이로 끼워지는 두께를 갖는 다수의 리브(Rib)가 형성되는 한편, 마늘의 절단시 칼날이 설치된 절편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칼날 사이에 걸려 있는 마늘편이 상기 각각의 리브에 의하여 절편기 본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마늘 절편기, 칼날, 뚜껑, 마늘, 마늘편,

Description

마늘 절편기{Garlic cutter}
본 고안은 마늘 절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조리대 위에 껍질을 벗긴 상태의 마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눌러 가압하는 동작에 의하여 마늘이 다수의 얇은 조각으로 절단되면서 절편기 본체의 내부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늘편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마늘절단시 발생되는 찌꺼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마늘 절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고기를 구어 먹거나 생선회를 먹을 경우에 고기의 느끼한 맛이나 생선회의 비린맛을 제거하고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제공되지 않는 영양성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마늘편 등 각종 야채가 곁들여진다.
이와 같은 마늘편을 준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껍질을 벗기고 깨끗하게 세척한 마늘을 한쪽 손에 쥐고, 다른 손에 쥔 칼을 이용하여 마늘꼭지를 떼어낸 후 마늘을 여러 조각의 마늘편으로 절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칼을 이용하여 마늘을 절단하는 경우 마늘의 크기가 작고 마늘이 대체로 둥근 형태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칼로 베일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잘라진 마늘편의 두께와 모양이 고르지 않아 보기에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시간이 길어져 조리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마늘 절단기 또는 마늘 세절기가 개발되어 제안되었으나, 종래 마늘 절단기 또는 마늘 세절기의 경우 마늘 절단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마늘의 절단작업시 발생되는 찌꺼기나 마늘즙 등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방의 조리대 위에 껍질을 벗긴 상태의 마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눌러 가압하는 동작에 의하여 마늘이 다수의 얇은 조각으로 절단되면서 절편기 본체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늘편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마늘절단시 발생되는 찌꺼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마늘 절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절편기 본체와; 상기 절편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면을 가로질러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칼날과; 사용시 절편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선택적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각의 칼날 사이로 끼워지는 두께를 갖는 다수의 리브(Rib)가 형성되는 한편, 마늘의 절단시 칼날이 설치된 절편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칼날 사이에 걸려 있는 마늘편이 상기 각각의 리브에 의하여 절편기 본체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각의 칼날의 면상에는 절단된 마늘편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각의 칼날은 절편기 본체의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칼날틀 안쪽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칼날이 배치된 칼날틀은 절편기 본체의 하단면에 대하여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칼날은 지그재그(Zig-zag)형상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조리대상에 놓여진 마늘을 윗쪽으로부터 눌러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마늘이 다수의 얇은 조각으로 절단되면서 절편기 본체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 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늘편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다.
또, 조리용 칼을 이용하여 마늘을 하나하나 절단하지 않고 한번에 여러 조각의 마늘편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마늘 절단 후 물에 헹구거나 흐르는 물에 씻어주면 마늘 절단시 발생되는 찌꺼기와 마늘즙이 깨끗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세척작업이 간편하고 위생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칼날이 칼날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절편기 본체에 인서트 사출되는 경우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칼날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마늘을 절단하는데 보다 적은 힘이 들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에서 절편기 본체와 칼날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에서 절편기 본체와 다른 예의 칼날프레임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를 이용하여 마늘을 절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를 이용한 마늘 절단과정에서 뚜껑을 이용하여 칼날에 걸려 있는 마늘편을 절편기 본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삼겹살 등의 육류나 생선회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늘편을 간단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마늘절단시 발생되는 찌꺼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10)에서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절편기 본체(12)가 마련된다.
상기 절편기 본체(12)는 사용자가 한 손에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외경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편기 본체(12)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칼날(14)이 서로 설계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면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절편기 본체(12)의 상부와 하부에 선택적으로 씌워져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뚜껑(16)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16)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각각의 칼날(14) 사이로 끼워지는 두께를 갖는 다수의 리브(Rib:1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16)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18)는 마늘(20)의 절단과정에서 뚜껑(16)을 칼날(14)이 설치된 절편기 본체(12)의 아랫쪽에 씌워 결합시키면, 각각의 칼날(14) 사이로 끼워지면서 각각의 칼날(14)에 걸려 있는 마늘편(20a)을 절편기 본체(12)의 내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칼날(14)에 걸려 있는 마늘편(20a)을 절편기 본체(12)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주기 위하여 상기 뚜껑(16)에 형성된 각각의 리브(18)는 칼날(14)의 상하 높이 보다 더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칼날(14)의 면상에는 절단된 마늘편(20a)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절편기 본체(12)의 외측 둘레면의 상부와 하부의 소정 높이에 뚜껑(16)의 개구된 쪽 가장자리가 걸리는 걸림턱(12a)이 형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각각의 칼날(14)은 절편기 본체(12)의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칼날프레임(14a)의 안쪽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칼날(14)이 배치된 칼날프레임(14a)은 절편기 본체(12)의 하단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칼날(14)은 지그재그(Zig-zag)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10)를 이용하여 마늘(20)을 다수의 얇은 마늘편(20a)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먼 저 깨끗하게 세척한 마늘(20)을 조리대(24) 위에 올려 놓고, 이용자가 칼날(14)이 설치된 부분이 아랫쪽을 향하도록 절편기 본체(12)의 외주면을 한 손에 세워서 파지한 상태에서 절편기 본체(12)상의 칼날(14)이 마늘(20)과 접촉되도록 한 후 힘을 가하면서 누르면 조리대(24)상에 놓여진 마늘(20)은 상기 각각의 칼날(14)의 커팅작용에 의하여 다수개의 마늘편(20a)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마늘편(20a)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늘(20)의 절단과정에서 절편기 본체(12)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마늘(20)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칼날(14)의 면상에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늘편(20a)이 칼날(14)에 달라붙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의 마늘 절단과정에서 뚜껑(16)은 절편기 본체(12)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되며, 도 8에서와 같이 마지막 마늘의 절단이 종료된 후 상기 뚜껑(16)을 절편기 본체(12)의 하부에 씌워 결합하면, 상기 뚜껑(16)의 내부 바닥면상에 형성된 각각의 리브(18)가 각각의 칼날(14) 사이로 끼워지면서 칼날(14)에 걸려 있는 마늘편(20a)을 절편기 본체(12)의 내측으로 밀어 진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얇은 조각으로 절단된 마늘편(20a)은 절편기 본체(12)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하여 인출한 후 조리에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마늘(20)의 절단작업이 종료된 후 절편기 본체(12) 및 뚜껑(16)을 물에 헹구거나 흐르는 물에 씻어내면 절편기 본체(12)의 내부와 칼날(14) 및 뚜껑(16)의 리브(18) 사이에 끼어 있는 마늘찌꺼기나 마늘즙이 깨끗하게 세척되기 때문에 위생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에서 절편기 본체와 칼날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에서 절편기 본체와 다른 예의 칼날프레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를 이용하여 마늘을 절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절편기를 이용한 마늘 절단과정에서 뚜껑을 이용하여 칼날에 걸려 있는 마늘편을 절편기 본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절편기 본체 14 : 칼날
14a : 칼날프레임 16 : 뚜껑
18 : 리브(Rib) 20 : 마늘
20a : 마늘편 22 : 관통공.

Claims (4)

  1.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절편기 본체(12)와;
    상기 절편기 본체(12)의 개방된 하부면을 가로질러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칼날(14)과;
    사용시 절편기 본체(12)의 상부 및 하부에 선택적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각의 칼날(14) 사이로 끼워지는 두께를 갖는 다수의 리브(Rib:18)가 형성되는 한편, 마늘(20)의 절단시 칼날(14)이 설치된 절편기 본체(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칼날(14) 사이에 걸려 있는 마늘편(20a)이 상기 각각의 리브(18)에 의하여 절편기 본체(12)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는 뚜껑(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절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칼날(14)의 면상에는 절단된 마늘편(20a)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절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칼날(14)은 절편기 본체(12)의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칼날프레임(14a)의 안쪽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칼날(14)이 배치된 칼날프레임(14a)은 절편기 본체(12)의 하단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절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칼날(14)은 지그재그(Zig-zag)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절편기.
KR2020080015025U 2008-09-29 2008-11-11 마늘 절편기 KR2010000372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997 2008-09-29
KR2020080012997 2008-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26U true KR20100003726U (ko) 2010-04-07

Family

ID=4929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025U KR20100003726U (ko) 2008-09-29 2008-11-11 마늘 절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7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72A (ko) * 2018-07-10 2020-01-20 이의진 마늘 세절기
KR20200020140A (ko) * 2018-08-16 2020-02-26 이의진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72A (ko) * 2018-07-10 2020-01-20 이의진 마늘 세절기
KR20200020140A (ko) * 2018-08-16 2020-02-26 이의진 마늘 세절기 및 마늘 세절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칼날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3212A1 (en) Culinary Utensil
US20160193744A1 (en) Onion cutter device with specialist cutting blades for various vegetable and fruit finishes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US20100162906A1 (en) Food peeler
US20100011973A1 (en) Plantain slicer
KR20100003726U (ko) 마늘 절편기
KR20080114632A (ko) 식재료 절단용 가위
CN102176849A (zh) 食物制备装置
US20110180981A1 (en) Interchangeable cutting board device with detachable cutting assembly
CN205043827U (zh) 一种切菜器
KR200428216Y1 (ko) 마늘세절기
US10736454B1 (en) Nopal-cactus thorns removal hand tool and method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KR200475768Y1 (ko) 채칼
KR200367555Y1 (ko) 다용도 전기 채썰기
CN211270267U (zh) 一种手动绞菜器
CN211243045U (zh) 一种炒板栗切十字口的手钳
CN209489868U (zh) 多功能榨汁机
JP2014103965A (ja) 餃子作り器
KR200321839Y1 (ko) 마늘세절기
CN109049012B (zh) 一种厨房用具
RU2697959C1 (ru) Вилка
CN209595479U (zh) 多功能削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