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700U -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700U
KR19980061700U KR2019970005962U KR19970005962U KR19980061700U KR 19980061700 U KR19980061700 U KR 19980061700U KR 2019970005962 U KR2019970005962 U KR 2019970005962U KR 19970005962 U KR19970005962 U KR 19970005962U KR 19980061700 U KR19980061700 U KR 199800617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pare tire
vehicle
fix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5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700U/ko
Publication of KR19980061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700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페어타이어를 차량의 후방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장탈착을 이루게 하여 편안한 작업자세로 피로감을 덜어주면서 부상을 방지하고 스페어타이어의 장탈착이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작업공간의 협소는 물론 허리를 많이 숙이는 작업자세로 허리의 무리로 인한 부상위험과 불편한 작업의 문제점이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캐리어(14)의 후방에 마련된 지지대(16)에 로울러(18)를 부착하여 차체(10)에 부착된 한 쌍의 레일(20, 20a)에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캐리어(14)는 플로우판넬(22)에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서 스페어타이어를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고 있는 캐리어의 인출작업을 간소화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이루게 하면서 캐리어의 장탈착을 간단 용이하게 하여서 작업자의 허리 부상을 예방하면서 작업의 편리함을 이루게 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가 제공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의 고정을 위한 캐리어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어타이어를 차량의 후방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장탈착을 이루게 하여 편안한 작업자세로 피로감을 덜어주면서 부상을 방지하고 스페어타이어의 장탈착이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타이어는 차체의 중량을 받혀주면서 로면상태가 좋지 않은 로면에서 승차감과 주행안전성을 이루도록 하고 있으며 차량이 구성중 주요한 부품으로 취급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이어는 주행 중에 타이어 파손이 일어나면 주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여유 분의 스페어타이어를 항상 준비하여야만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 스페어타이어의 보관위치는 각기 다르게 된다. 이중짐차나 지프차로 사용되는 차량의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차량의 후방하단에 별도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장탈착하는 도 1 의 상태와 같게 된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캐리어(1)는 차체(2)에 보울트(3)로 고정하여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하단에서 보울트(3)를 풀고 조이는 작업에 의하여 스페어타이어(4)의 장탈착을 이루고 있어서 작업 시에 작업자가 차량의 하단부로 들어가 보울트(3)를 풀고 탈착한 후 스페어타이어(4)를 들어내기 위하여 허리를 많이 숙인 채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공간의 협소는 물론 허리를 많이 숙이는 작업자세로 허리의 무리로 인한 부상위험과 불편한 작업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짐차나 밴 등의 차량에 보조용으로 보관되어지는 스페어타이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장탈착을 이루어 스페어타이어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편리한 장탈착작업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의 후방하단에 배치되어 스페어타이어를 보관하는 캐리어가 보울트로 조립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후방에 마련된 지지대에 로울러를 부착하여 차체에 부착된 한 쌍의 레일에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캐리어는 플로우판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플로우판넬과 캐리어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보울트(16)와 너트(26)로 구성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캐리어가 장착된 차량의 후방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의 고정장치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12 : 스페어타이어
14 : 캐리어16 : 보울트
18 : 로울러20, 20a : 레일
22 : 플로우판넬26 : 너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의 고정장치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는 차체(10)의 후방하단에 배치되어 스페어타이어(12)를 보관하는 캐리어(14)가 보울트(16)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14)의 후방에는 지지대(16)를 마련하고 이 지지대(16)의 양단에는 로울러(18)를 부착하여 차체(10)에 부착된 한 쌍의 레일(20, 20a)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서 상기 캐리어(14)가 왕복 전진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캐리어(14)의 선단은 플로우판넬(22)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있다.
상기 플로우판넬(22)과 캐리어(14)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보울트(16)와 너트(26)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차량의 운행중 장착된 타이어의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되면 보관중인 스페어타이어(12)를 이용하여 교환을 이룰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캐리어(14)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인 보울트(16)와 너트(26)를 해체하여서 선단을 개방하고 캐리어(14)를 차량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면 스페어타이어(12)가 캐리어(14)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캐리어(14)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대(16)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로울러(18)가 차체(10)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있는 레일(20, 20a)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이루게 되므로 레일(20, 20a)에서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캐리어(14)의 인출은 용이하게 되어서 스페어타이어(12)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허리를 굽혀 차체 내로 들어갈 필요가 없게 되며 더욱이 허리의 부담을 줄이게 하면서 편리한 스페어타이어(12)를 제공받아 이상이 있는 타이어와 교환을 이루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페어타이어를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고 있는 캐리어의 인출작업을 간소화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이루게 하면서 캐리어의 장탈착을 간단 용이하게 하여서 작업자의 허리 부상을 예방하면서 작업의 편리함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차체(10)의 후방하단에 배치되어 스페어타이어(12)를 보관하는 캐리어(14)가 보울트(16)로 조립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4)의 후방에 마련된 지지대(16)에 로울러(18)를 부착하여 차체(10)에 부착된 한 쌍의 레일(20, 20a)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서 상기 캐리어(14)는 플로우판넬(22)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판넬(22)과 캐리어(14)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보울트(16)와 너트(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KR2019970005962U 1997-03-27 1997-03-27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KR199800617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62U KR19980061700U (ko) 1997-03-27 1997-03-27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62U KR19980061700U (ko) 1997-03-27 1997-03-27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00U true KR19980061700U (ko) 1998-11-16

Family

ID=6968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962U KR19980061700U (ko) 1997-03-27 1997-03-27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7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506B1 (ko) * 1999-11-11 2002-05-23 류정열 자동차용 예비 타이어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506B1 (ko) * 1999-11-11 2002-05-23 류정열 자동차용 예비 타이어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474B2 (en) Axle support for a front axle of a motor vehicle
US5593167A (en) Highway vehicle
JP3620242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搭載構造
KR19980061700U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 캐리어 구조
KR20030050613A (ko) 상용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CN220298654U (zh) 摩托车
US6173873B1 (en) Arrangement for holding a suitcase on a motor vehicle hood
KR10053493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CN220518484U (zh) 摩托车
CN215552451U (zh) 车载净化器固定支架
KR100193165B1 (ko) 자동차의 측면충돌대비 도어가니시 보강구조
JPS6337302Y2 (ko)
KR100309840B1 (ko) 트럭 캡용 베드의 벨트 장착 구조
KR0175533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KR970001537Y1 (ko) 버스용 스페어타이어 보관함
KR900011225Y1 (ko) 차량용 예비타이어 고정장치
KR910001612Y1 (ko) 화물 차량의 간이베드
KR19980048600U (ko) 자동차의 잭 고정 구조
KR19980076100A (ko) 차량용 트렁크 후크
KR970001536Y1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용 고정구
KR200151403Y1 (ko)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KR200156990Y1 (ko)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0117958Y1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커버구조
KR0182672B1 (ko)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9980065885U (ko) 조립식 스키 홀더를 갖는 지프승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