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767U -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767U
KR19980059767U KR2019970003698U KR19970003698U KR19980059767U KR 19980059767 U KR19980059767 U KR 19980059767U KR 2019970003698 U KR2019970003698 U KR 2019970003698U KR 19970003698 U KR19970003698 U KR 19970003698U KR 19980059767 U KR19980059767 U KR 19980059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flap
hole
fender
automobi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3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767U/ko
Publication of KR19980059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767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펜더(10)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형성된 취부공에 머드플랩(20)을 취부 고정하도록 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은 소공(12a)과 직경이 큰 대공(12b)이 연결된 형상의 펜더(10)의 취부공(12); 상기 취부공(12)에 끼워져 장착되며 대공(12b)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체결턱(22a)과 상기 소공(12a)에 대응하는 몸체부(22b)를 갖는 돌기(22)가 형성된 머드플랩(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펜더에 머드플랩을 각각의 볼트를 취부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감소되어 작업이 편리하여, 이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며 부품절감으로 인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부가 간편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머드플랩(Mud Flap)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로부터 튀어오른 진흙이나 작은 돌이 뒤로 날아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구동륜이 위치되는 펜더(10 ; 머드가드)의 뒤쪽에 장착한 판모양의 것으로서, 고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어 구동륜의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머드플랩(20)은 펜더(10)에 장착하기 위하여 소정부위에 보통 네 곳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상기 머드플랩의 통공에 대응하여 펜더에 형성된 통공과 볼트로써 취부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10)의 통공(11)에 머드플랩(20)의 통공(21)을 일치시키고 각각 스크류(S)로 끼워 머드플랩(20)을 펜더(10)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펜더(10)에 머드플랩(20)을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머드플랩 취부구조는 네 곳의 통공에 각각 네 개의 스크류로 취부하는 것이어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많아지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른 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취부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취부가 용이하며 작업공수를 절감시켜 조립성을 향상하도록 한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 및 머드플랩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펜더 취부공의 형상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머드플랩의 돌기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가)는 머드플랩의 돌기 삽입상태를 나타낸 도면,
(나)는 머드플랩의 돌기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머드플랩 취부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펜더12 ; 취부공
12a ; 소공12b ; 대공
20 ; 머드플랩22 ; 돌기
22a ; 체결턱22b ; 몸체부
S ; 스크류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펜더(10)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형성된 취부공에 머드플랩(20)을 취부 고정하도록 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은 소공(12a)과 직경이 큰 대공(12b)이 연결된 형상의 펜더(10)의 취부공(12);
상기 취부공(12)에 끼워져 장착되며 대공(12b)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체결턱(22a)과 상기 소공(12a)에 대응하는 몸체부(22b)를 갖는 돌기(22)가 형성된 머드플랩(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머드플랩(20)과 취부되는 펜더(10)에 형성된 취부공(12)의 형상 예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공(12)은 직경이 작은 소공(12a)과 직경이 큰 대공(12b)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펜더 취부공(12)에 대응하는 머드플랩(2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돌기(22)가 형성되는 바, 상기 돌기(22)는 상기 펜더(10) 취부공(12)의 대공(12b)에 대응하는 크기의 체결턱(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머드플랩(20)에 형성된 돌기(22)의 몸체부(22b)는 상기 펜더(10) 취부공(12)의 소공(12b)의 직경과 일치하는 굵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네 곳의 취부공 중 선별된 두 곳 정도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취부구조를 도 4에 사용상태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즉,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드플랩(20)의 돌기(22)를 펜더(10)의 취부공(12)에 끼우게 되는데 직경이 큰 돌기(22)의 체결턱(22a)을 펜더(10) 취부공(12)의 대공(12b)에 끼워 삽입한다. 그런 다음 도 4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공(12a) 쪽으로 머드플랩(20)을 이동시키면 머드플랩(20) 돌기(22)의 몸체부(22b)가 펜더(10) 취부공(12)의 소공(12a)에 일치하여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 펜더(10)에 머드플랩(20)을 장착시킨 후 나머지 두 곳에 스크류를 체결시켜 완전하게 고정·취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머드플랩을 펜더에 취부함에 있어서 취부공에 끼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임시 고정시킨 후 스크류로 보강 고정하게 되는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네 곳을 스크류로 고정하는 것 보다 작업이 신속하고 자동차 펜더에 머드플랩을 각각의 볼트를 취부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감소되어 작업이 편리하여, 이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며 부품절감으로 인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 펜더(10)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형성된 취부공에 머드플랩(20)을 취부 고정하도록 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은 소공(12a)과 직경이 큰 대공(12b)이 연결된 형상의 펜더(10)의 취부공(12);
    상기 취부공(12)에 끼워져 장착되며 대공(12b)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체결턱(22a)과 상기 소공(12a)에 대응하는 몸체부(22b)를 갖는 돌기(22)가 형성된 머드플랩(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KR2019970003698U 1997-03-04 1997-03-04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KR199800597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98U KR19980059767U (ko) 1997-03-04 1997-03-04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98U KR19980059767U (ko) 1997-03-04 1997-03-04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767U true KR19980059767U (ko) 1998-11-05

Family

ID=6967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698U KR19980059767U (ko) 1997-03-04 1997-03-04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7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38B1 (ko) * 2001-12-18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머드 가드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38B1 (ko) * 2001-12-18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머드 가드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9767U (ko)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KR20050037208A (ko) 자동차 캐리어 인서트너트
JP2003237382A (ja) 車両の防振装置
KR19980066898U (ko) 자동차 머드플랩 취부구조
JP2528075Y2 (ja) アルミロードホイール
JP2600944Y2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KR19980030602U (ko) 자동차의 혼 장착구조
KR0113609Y1 (ko) 차량의 엔진콘트롤 케이블용 댐핑구조
KR980007930U (ko) 너트 삽입형 머드 가이드
JP2534528Y2 (ja) バンパーの側部取付構造
KR0138589Y1 (ko) 자동차의 번호판 고정용 브라켓과 범퍼의 체결구조
KR19980033386U (ko) 타이어 고정용 휠너트
JPH0242551Y2 (ko)
KR970010412A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페시아와 머드가드 장착구조
KR960022128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취부구조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19980036916A (ko) 램프 고정용 브라켓
JPH0344579Y2 (ko)
KR100361077B1 (ko) 차량의 범퍼 가드 장착구조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200141694Y1 (ko) 차량용 범퍼의 핀클립식 취부구조
KR200301885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19980040808U (ko) 자동차의 머드 플랩 고정구조
KR19980049669A (ko) 자동차의 플랩 체결 구조
KR19980063542U (ko) 자동차용 타이어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