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832U - 옥상용 인공 지반 - Google Patents

옥상용 인공 지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832U
KR19980056832U KR2019970000898U KR19970000898U KR19980056832U KR 19980056832 U KR19980056832 U KR 19980056832U KR 2019970000898 U KR2019970000898 U KR 2019970000898U KR 19970000898 U KR19970000898 U KR 19970000898U KR 19980056832 U KR19980056832 U KR 19980056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ground
roof
horizontal
rooftop
drain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6295Y1 (ko
Inventor
임동순
이만동
Original Assignee
임병탁
금호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탁, 금호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병탁
Priority to KR2019970000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29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상 원예용 인공 지반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화를 도모하여 건물 자체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상기 강우시 토양 유출의 위험성도 없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건물 옥상 바닥면에서 올라오는 난방열의 영향에도 식물의 초기 개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건물에 대한 단열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옥상 원예를 용이하게 시공 및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옥상용 인공 지반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상용 인공 지반
본 고안은 옥상용 인공 지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등의 옥상 바닥면과 측벽면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옥상 정원용 인공 지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도시의 과밀화, 토지 가격의 상승에 편승하여 건물의 토지 이용도가 한계에 달하고 있으며, 녹색 지대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시 환경 문제나 쾌적한 설비를 배경으로 하여 옥상에 수목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옥상 원예가 주목 받고 있으며, 또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옥상을 정원화 시키기 위한 인공 지반은 식물의 육성상 보수성 및 배수성의 두가지 요소를 겸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강우시 물의 배수가 나쁘면 물이 체류하여 뿌리가 썩게되는 원인이 된다.
위와 반대로 물의 배수가 너무 양호하여도 특히 옥상에서는 직사광선이 너무 강력하여 식물이 메말라 죽게 된다.
건물의 옥상에 정원 공간을 설치할 시, 종래에는 모래나 흙의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건물의 자체 강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강도 보강을 위하여 건물 옥상면에 콘크리트 등으로 보강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 설치비가 많이들며, 모래로 된 배수층 위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객토층을 직접 부설하기 때문에 강우시에 객토층의 세밀한 토양이 유출되기 쉬우며, 이 세밀한 토양이 배수층의 모래 내부에 침입할 뿐만아니라 배수구를 막아서 배수성이 악화될 위험이 있다.
또한 수목 등의 식물 뿌리가 하부에 있는 모래중에 침입하여도 그 부분의 배수성은 저하된다.
식물은 계절 변화를 뿌리에서 감지하고 있으나, 모래나 흙은 거의 단열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겨울이 되면 옥상 바닥면에서 올라오는 난방열의 영향을 받게되어 겨울에서 봄에 걸쳐 발아 및 개화가 일찍 일어나 계절감을 잃게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경량화를 도모하여 건물 자체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상기 강우시 토양 유출의 위험성도 없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건물 옥상 바닥면에서 올라오는 난방열의 영향에도 식물의 초기 개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건물에 대한 단열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옥상 원예를 용이하게 시공 및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옥상용 인공 지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의 쿠션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의 수평 배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의 측벽 배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옥상 바닥면12:쿠션백
16:방습층18:객토층
20:표토층22:직립측벽
26:배수구28:부직포
30:스치로폴 파쇄 입자32:측벽 배수판
34:수평 배수판36a,36b:배수홈
38a,38b:저수공40:체결홈
42:끼움편44:돌기
100:인공 지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옥상용 인공 지반에 있어서, 상기 옥상 바닥면(10)과 직립측벽(22)면에 방습층(16)을 깔은 후, 각각 수평 배수판(34)과 측벽 배수판(32)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배수판(34) 위에 부직포(28)를 깔며, 그 위에 스치로폴 파쇄 입자(30)가 다수 채워진 쿠션백(12)을 층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다시 부직포(28)를 깔아서 그 위에 객토층(18)과 표토층(20)을 차례대로 채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 배수판(32)에는 배수가 잘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는 지그 재그 형태이고, 세로 방향으로는 직선 형태로서 교차된 배수홈(3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돌기(4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44)의 사이 사이에는 오목한 저수공(38a)이 형성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교차된 직선 배수홈(36a)이 형성되며, 테두리면에는 상기 저수공(38a)에서 넘치게 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저수공(3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수평 배수판(34)을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측단 양쪽끝 저면에 체결홈(40)이 형성되고, 이에 끼워지는 돌출된 끼움편(42)이 반대쪽 측단 양쪽끝 상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 부호 10은 옥상 슬라브 바닥면을 나타낸다.
상기 옥상 슬라브 바닥면(10)은 방수를 위한 균일 몰타르가 도포된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 바,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림 등의 비배수성 합성수지 필림 등의 방습성을 갖는 재료로 된 방습층(16)이 깔리게 된다.
상기 방습층(16)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직립측벽(22)에도 마찬가지로 깔리게 된다.
도면 부호 34는 상기 방습층(16) 위에 설치되는 수평 배수판(34)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수평 배수판(34)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측단과 이에 직각으로 접하는 다른 일측단에는 테두리단이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으로서, 상부면에는 균등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돌기(4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원형 돌기(44)의 사이 사이에는 오목한 원형의 저수공(38a)이 형성되며, 배수를 위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교차된 직선의 배수홈(36a)이 형성된다.
또한 강우시 상기 저수공(38a)에 저수되어 있는 물이 빠져나가 다시 2차적으로 저수되도록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테두리단에는 직사각형의 오목한 저수공(38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배수판(34)은 인공 지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서 다수개를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바, 수평배수판(34)의 테두리단 양쪽끝 상부면에는 돌출된 끼움편(42)이 형성되고, 이 끼움편(42)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오목한 체결홈(40)이 테두리단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저면 양쪽에 형성되며, 저면에는 옥상 바닥면(10)에 도포된 방습층(16)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강우시 상기 저수공(38b)에 저수된 물이 넘쳐 배수구(26)를 통하여 건물 밖으로 배수되도록 다수의 지지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옥상 바닥면(10)과 수직으로 된 직립측벽(2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측벽 배수판(32)이 설치되는 바, 상기 측벽 배수판(32)에는 가로 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경사진 형태이고 세로 방향으로는 직선 형태로 교차된 배수홈(36b)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 배수판(32)의 배수홈(36b)의 가로 방향의 홈이 지그 재그 형태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어 진다.
한편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상부 전면에 걸쳐 통수성이 있고, 미세한 토양을 걸러줄 수 있는 미세한 구멍 조직으로 된 부직포(28)를 깐다.
다음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28)위에 내부에 스치로폴 파쇄 입자(30)가 다수 채워지고 통수성을 가지는 쿠션백(12)을 설치 면적에 따라서 다수개를 밀착시켜 배열한다.
상기 쿠션백(12)은 내부에 스치로폴 파쇄 입자(30)가 다수 채워져 있기 때문에 경량화에 도움이 되며, 또한 인공지반(100)의 표면을 미관상 경사지게 또는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층상으로 쌓는 등의 여러 방법으로 배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쿠션백(12) 위에 미세한 토양 입자를 걸러 줄 수 있도록 다시 부직포(28)를 깐다.
상기 부직포(28) 위로 일정 두께의 객토층(18)을 채우고, 다시 그 위에 다소 얇게 표토층(20)을 채움으로써, 옥상을 정원화 시키고자 하는 인공 지반(100)이 완성된다.
물론 상기 인공 지반(100)은 옥상 뿐만아니라 일반 정원에도 적용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객토층(18)과 표토층(20)은 재배하고자 하는 수목 등의 크기에 따라서 그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객토층(18)은 화전토나 점토질 토양에 모래를 섞은 토양, 기타 식물 재배에 적합한 토양을 사용한다. 상기 객토층(18)에 사용되는 토양은 그 양이 1400∼1600 Kg/m3이 되기 때문에 상기 토양에 직경이 2∼6mm 정도의 비교적 미세한 발포 입자를 적당하게 혼입함에 따라 그 중량을 1000Kg/m3정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본 고안의 인공지반을 한층 경량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침투성이 양호한 토양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객토층(18)에는 필요에 따라서 경량이고, 보수성이 좋으며 또한 이끼가 생기기 쉬운 인공 토양 등의 표토층(20)을 깔게 된다.
물론 직접 잔디를 심는다든가 보호재층을 부설할 수도 있다.
또한 강우시 상기 객토층(18)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한 입자를 상기 부직포(28)에서 걸러줌으로써, 수평 배수판(34)의 배수홈이나 저수공을 막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강우시 빗물의 배수 통로를 설명하면 상기 객토층(18)과 쿠션백(12)을 경유한 빗물 등과 상기 측벽 배수판(32)을 타고 흐른 빗물은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저수공(38a)을 걸쳐 넘치게 되거나 또는 배수홈(36a)을 따라 흐르고 다시 수평 배수판(34)의 저수공(38b)을 경유하며 빠져나가 건물 옥상 바닥면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26)로 유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옥상용 인공 지반에 의하면 내부에 스치로폴 파쇄 입자가 다수 채워진 쿠션백을 부설하여 사용하므로서, 종래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자갈 및 모래 등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옥상 바닥면 등의 건물 몸체 구조의 강도에 별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건물 옥상 바닥면에서 올라오는 난방열의 영향에도 식물의 초기 개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건물에 대한 단열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배수 효과가 적절하여 식물을 장기간 재배할 수 있고, 설치 작업이 간편한 잇점이 있다.

Claims (4)

  1.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옥상용 인공 지반에 있어서, 상기 옥상 바닥면(10)과 직립측벽(22)면에 방습층(16)을 깔은 후, 각각 수평 배수판(34)과 측벽 배수판(32)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배수판(34) 위에 부직포(28)를 깔며, 그 위에 스치로폴 파쇄 입자(30)가 다수 채워진 쿠션백(12)을 층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다시 부직포(28)를 깔아서 그 위에 객토층(18)과 표토층(20)을 차례대로 채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인공 지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배수판(32)에는 배수가 잘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는 지그 재그 형태이고, 세로 방향으로는 직선 형태로서 교차된 배수홈(3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인공 지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수판(34)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돌기(4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44)의 사이 사이에는 오목한 저수공(38a)이 형성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교차된 직선 배수홈(36a)이 형성되며, 테두리면에는 상기 저수공(38a)에서 넘치게 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저수공(3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인공 지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평 배수판(34)을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측단 양쪽끝 저면에 체결홈(40)이 형성되고, 이에 끼워지는 돌출된 끼움편(42)이 반대쪽 측단 양쪽끝 상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용 인공 지반.
KR2019970000898U 1997-01-23 1997-01-23 옥상용 인공 지반 KR200146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98U KR200146295Y1 (ko) 1997-01-23 1997-01-23 옥상용 인공 지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98U KR200146295Y1 (ko) 1997-01-23 1997-01-23 옥상용 인공 지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32U true KR19980056832U (ko) 1998-10-15
KR200146295Y1 KR200146295Y1 (ko) 1999-06-15

Family

ID=1949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898U KR200146295Y1 (ko) 1997-01-23 1997-01-23 옥상용 인공 지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2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557B1 (ko) * 1999-12-30 2002-08-27 변동원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11766B1 (ko) * 2001-12-14 2003-12-24 천문규 분재용 받침대
KR100426321B1 (ko) * 1999-11-15 2004-04-13 주식회사 삼보조경건설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100661485B1 (ko) * 2004-09-18 2006-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층 저관리 옥상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529B1 (ko) 2009-02-13 2011-07-22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인공지반을 이용한 꽃밭의 조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21B1 (ko) * 1999-11-15 2004-04-13 주식회사 삼보조경건설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100349557B1 (ko) * 1999-12-30 2002-08-27 변동원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11766B1 (ko) * 2001-12-14 2003-12-24 천문규 분재용 받침대
KR100661485B1 (ko) * 2004-09-18 2006-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층 저관리 옥상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6295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2493B1 (en) Greening apparatus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JP5519100B2 (ja) 植栽基盤
JP2531542B2 (ja) 植栽装置
KR200146295Y1 (ko) 옥상용 인공 지반
CN114164844B (zh) 一种方格网式有机材护坡结构施工方法
JP3781631B2 (ja) 植栽用地盤
JPH0547575Y2 (ko)
JP2507503Y2 (ja) 屋上庭園用の人工地盤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3103300B2 (ja) 貯水設備
JP3669946B2 (ja) 構造物の緑化構造
JP3465206B2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CN105672366A (zh) 植被型散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3648662B2 (ja) 勾配屋根の覆土構造
JP3610318B2 (ja) 人工地盤緑化工法及び人工地盤緑化構造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WO2023188200A1 (ja) 植栽ユニット
JPH05284857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H1156100A (ja) 緑化ミニ庭園
JP2516715Y2 (ja) 植栽構築体
JPH04207132A (ja) 多孔配管内蔵植物植生用層状構造体及び同構造体を用いた植物植生方法
JP3584071B2 (ja) 緑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