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115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115A
KR19980056115A KR1019960075379A KR19960075379A KR19980056115A KR 19980056115 A KR19980056115 A KR 19980056115A KR 1019960075379 A KR1019960075379 A KR 1019960075379A KR 19960075379 A KR19960075379 A KR 19960075379A KR 19980056115 A KR19980056115 A KR 1998005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redecoder
driver
low predecoder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일
배일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115A/ko
Publication of KR1998005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115A/ko

Links

Landscapes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로 디코더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로 디코더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고 집적화에 따라 특히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 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로 프리디코더의 레이 아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 아웃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로 프리디코더의 레이 아웃에 관한 것이다.
로 프리디코더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로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회로이다. 따라서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수는 입력 포트에 입력되는 데이터 수에 비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 집적화에 따라 주어진 면적에 더 많은 셀 어레이들과 더 많은 제어 회로들이 집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서 회로 내에 불필요한 데이터라인의 감소와 구조에 따른 회로 배치의 변화가 가해지고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장치(CPU) 및 외부 장치의 클럭에 동기되어 내부 신호들을 제어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는 뱅크(Bank) 개념을 도입하여 비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여러 개를 합쳐 놓은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칩 내부의 회로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로 프리디코더(Row Predecoder)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Row Predecoder Driver) 회로의 논리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 프리디코더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 회로는 로 프리디코더(100)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10)를 구비한다.
로 프리디코더(100)는 로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로 프리디코더(100)는 n 개의 로 어드레스 데이터들을 입력하여 2n개의 데이터를 출력 신호들로서 출력한다.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10)는 로 프리디코더(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하여 이들을 구동하여 출력한다.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은 로 디코더(미도시)로 전달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로 프리디코더와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의 레이 아웃 배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 프리디코더(130)와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40)는 레이 아웃 상에서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 프리디코더(130)와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40)의 배치 영역은 로 디코더(150)의 배치 영역과 수직 방향으로 병렬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이 버싱 라인(Bussing Line)(160)을 거쳐서 로 디코더(150)의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로 어드레스도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버싱 라인은 심각한 레이 아웃 면적의 증가를 초래한다. 특히 로 디코더가 위치하는 영역은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뱅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들의 레이 아웃이 밀집된 지역이다. 따라서 버싱 라인들이 차지하는 레이 아웃 면적은 더욱 증가되어 지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로 프리디코더와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 회로들이 차지하는 레이 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로 프리디코더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의 회로의 논리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로 프리디코더의 레이 아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 프리디코더의 레이 아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로 디코더, 로 디코더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 및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레이 아웃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로 프리디코더(200),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 및 로 디코더(220)를 구비한다.
로 프리디코더(200)는 로 어드레스(Ra0 내지 Ran)를 입력하여 이들을 디코딩하여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의 입력단자로 입력시킨다.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는 로 프리디코더(200)로부터의 출력들을 입력하여 이들을 구동하여 출력하여 로 디코더(220)의 입력 단자들로 입력시킨다.
로 프리디코더(200)는 레이 아웃 상에서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는 레이 아웃 상에서 로 디코더(22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210)로부터의 출력들이 로 디코더(220)의 입력 단자들로 입력되기 위해서 레이 아웃 상에서 버싱 라인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로 디코더의 수직 상부에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를 레이 아웃시킴으로써 버싱 라인의 필요가 없게 되어 레이 아웃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로 디코더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를 로 디코더가 위치하는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하고, 또한 로 프리디코더를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가 위치하는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하므로써, 칩 회로의 고 집적화에 따라, 특히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 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로 디코더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 디코더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 및
    상기 로 프리디코더 드라이버의 수직 상부에 레이 아웃되어 있는 로 프리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960075379A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장치 KR1998005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79A KR19980056115A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79A KR19980056115A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115A true KR19980056115A (ko) 1998-09-25

Family

ID=6639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379A KR19980056115A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330B1 (ko) 반도체집적회로
KR10023160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력소모 방지 장치
KR100205667B1 (ko) 마이크로컴퓨터
JP2005235239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KR10046320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패드 및 주변 회로 레이아웃
GB2336924A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ommon pin for address and data
KR017242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JP4015986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9980056115A (ko) 반도체 장치
KR0155170B1 (ko) 반도체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US5742539A (en) Integrated circuit for content addressable memory
US683328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variable pin locations
KR100211768B1 (ko) 삼중 금속층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0183847B1 (ko) 레이아웃의 면적을 줄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86102B1 (ko)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다접점 제어장치
US6532179B2 (en) Input signal receiv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849963B1 (ko) 집적 회로
US603222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imultaneously write capability
KR19980065642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JP2002164431A (ja) フィールドプログラマブルゲートアレイ装置
JPH0689584A (ja) 半導体メモリ
KR19990036591U (ko) 반도체 칩의 구조
KR200331154Y1 (ko) 반도체기억소자
KR20060091362A (ko) 본딩 패드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패드 배치 회로
US668718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