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503U - 자동차의 아암부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암부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4503U KR19980054503U KR2019960067695U KR19960067695U KR19980054503U KR 19980054503 U KR19980054503 U KR 19980054503U KR 2019960067695 U KR2019960067695 U KR 2019960067695U KR 19960067695 U KR19960067695 U KR 19960067695U KR 19980054503 U KR19980054503 U KR 1998005450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 bush
- inner pipe
- present
- ar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28—End stop features or buff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B60G2800/246—Underst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아암부쉬는 러버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인너파이프를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러버의 양측에서 인너파이프에 삽입되어 부쉬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스토러를 구비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선회시의 롤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이 토우인되어 언더스티어의 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선회제동시에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암 부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승용차의 경우 전륜에 맥퍼슨 타입, 후륜에 트레일링 암 타입 또는 세미 트레일링 암 타입 등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즉, 최대한의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륜과 후륜의 운동 특성에 적합한 현가 장치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멤버(6)와 너클(3)에 부쉬(7)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로워 아암(5)과, 상기한 너클(3)과 연결된 드라이브축(1)과, 상기 너클(3)에 결합되어 있는 쇽업소버(4)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크로스메버(6)와 너클(3)에 연결되는 로워 아암 부시(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 아암(5)의 종단에 형성된 아우터 파이프(72)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7b)에 삽입된 러버(8)와, 상기한 러버(8)의 중앙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코르스멤버(6)에 형성된 브라켓(9)에 체결부재(10)으로 연결된 인너파이프(71)로 구성되어 있다.
즉, 로워 아암(5)이 타이어의 승강에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1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과 아울러 회전 시 진동을 상기 러버(8)가 흡수하여 진동 전달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아암부쉬는 인너파이프(71)와 러버(8)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부쉬를 사용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선회시나 롤링 현상이 발생하고 선회제동시에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아암 부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선회제동시에 롤링현상의 방지 및 제동안정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아암부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아암 부쉬는, 러버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인너파이프를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러버의 양측에서 인너파이프에 삽입되어 부쉬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아암 부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전체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로워암5b:제2마운팅부
7:부쉬71:인너파이프
72:아우터파이프8:러버
20:스토퍼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아암 부쉬를 도시한 전체 조립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아암부쉬는 러버(8)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인너파이프(71)를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러버(8)의 양측에서 인너파이프(71)에 삽입되어 부쉬(7)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스토퍼(20)를 구비하여 구성하여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아우터 파이프(72)의 내부에 러버(8)를 삽입시킨 후 상기한 러버(8)의 중앙으로 인너 파이프(71)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중 노면의 굴곡 등에 의해 로워 아암(5)이 승강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한 로워 아암(5)을 크로스멤버(6)에 연결하는 부시(7)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부시(7)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면 고정봉(10)과 브라켓(9)을 중심으로 인너, 아우터 파이프(71,72)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바, 회전 시 인너, 아우터 파이프(71,72)의 사이에 개재된 러버(8)는 인너, 아우터 파이프(71,72)와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인너파이프(71)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러버(8)와 연동되고 또한 스토퍼(20)에 의해 부쉬(7)의 변형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너, 아우터 파이프(71,72)와 러버(8)가 연동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러버(8)의 마모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함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아암부쉬에 의하면, 러버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인너파이프를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러버의 양측에서 인너파이프에 삽입되어 부쉬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선회시의 롤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이 토우인되어 언더스티어의 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선회제동시에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
- 러버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인너파이프를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러버의 양측에서 인너파이프에 삽입되어 부쉬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암부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695U KR200174691Y1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의 아암부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695U KR200174691Y1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의 아암부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503U true KR19980054503U (ko) | 1998-10-07 |
KR200174691Y1 KR200174691Y1 (ko) | 2000-04-01 |
Family
ID=1948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7695U KR200174691Y1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의 아암부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4691Y1 (ko)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7695U patent/KR2001746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4691Y1 (ko) | 200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10109510A (ja) |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US5411285A (en) | Rear suspension for vehicle | |
KR960005902B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200174691Y1 (ko) | 자동차의 아암부쉬 | |
KR0118507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200292103Y1 (ko) |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부시 | |
JP2000016042A (ja) |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KR100316892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 |
KR100456896B1 (ko) |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 |
KR960003495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100451090B1 (ko) |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 |
KR100192407B1 (ko) |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 |
KR100207104B1 (ko) | 자동차용 조향륜 현가장치 | |
KR0184106B1 (ko) | 자동차용 로워 아암연결구조 | |
KR100506651B1 (ko) |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 |
KR19990028172U (ko) |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 |
KR0153192B1 (ko) | 트레일링 아암의 취부구조 | |
KR0136256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슬립부시 | |
KR960005202Y1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 |
KR960003493Y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100422485B1 (ko) |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부재의 부시구조 | |
KR200174300Y1 (ko) | 자동차 리어엑슬 콘트롤 암 | |
KR19980021242U (ko) | 자동차용 로워아암 고정 구조 | |
KR19990023949U (ko) | 자동차의 프론트 현가장치 | |
KR19980043895A (ko) | 현가 아암장착용 부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