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282A -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282A
KR19980054282A KR1019960073417A KR19960073417A KR19980054282A KR 19980054282 A KR19980054282 A KR 19980054282A KR 1019960073417 A KR1019960073417 A KR 1019960073417A KR 19960073417 A KR19960073417 A KR 19960073417A KR 19980054282 A KR19980054282 A KR 1998005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bumper
shock
frame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282A/ko
Publication of KR1998005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282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프런트범퍼 스테이는 정면충돌시에 범퍼스테이 및 프런트프레임에 충돌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전달이 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이 미약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프런트범퍼를 프런트프레임(10)에 연결시켜 주는 스테이(28)를 통해 외부충격이 프런트프레임(10)의 인너프런트프레임(12)에 가해지게 되면 인너프런트프레임(12)은 아웃프런트프레임(14)에 삽입이 되면서, 인너프런트프레임(12)의 후단부가 아웃프런트프레임(14)의 계단식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후단부에 의해 충격이 여러번에 걸쳐 흡수하게 됨으로, 차실측에 탑승한 승차자의 안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레인포스먼트 프론트 범퍼에 스테이를 삽입시켜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이중결합구조로 형성하여 충격흡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범퍼는 자동차의 앞뒤에서 보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는 강철재로 보디에서 약간 튀어 나온 정도였으나, 미국에서 대형 범퍼가 사용되게 되어 현재는 에너지 흡수 범퍼라고 불리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우레탄 등이 쓰이며, 충격흡수의 정도가 커져 있으나 동시에 보디와 일체화 한 디자인 등에 의하여, 장식을 겸한 부품으로 되어가고 있다.
에너지 흡수 범퍼(ENERYGY ABSORBENT BUMPER)는 저속으로 충돌했을 때 차체가 손상받지 않도록, 또는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기계적 에너지를 흡수하는 범퍼이며, 북미에서는 8Km/h 충돌에너지 흡수 범퍼의 설치가 법으로 의무화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4Km/h로 완화되었다. 각 메이커가 여러 가지 범퍼를 개발하고 있으나, 크게 나누어 우레탄 등의 완충재를 쓰는 것(예:우레탄 범퍼)과 오일의 점도를 이용한 것(예 : 매나스코식 범퍼)이 있다.
예시도면 도 1 은 종래의 차량범퍼의 분리사시도로서 차체의 전면에 레인포스먼트 프론트 범퍼(3), 에너지 업소버폼 프론트 범퍼(4), 페이스 프론트 범퍼(5)가 일체로 결합되어 프론트 범퍼(1)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범퍼는 예시도면 도 2 의 종단면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에너지 업소버 프론트 범퍼(4)의 제작방법은 발포금형에 액체 우레탄을 부어 화학성분에 의해 발포시켜 일정형상을 얻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범퍼(1)와 프런트 프레임(2) 간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범퍼스테이(6)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런트범퍼 스테이는 정면충돌시에 프론트범퍼스테이(6) 및 프런트프레임(2)에 충돌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전달이 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이 미약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스테이에 부착되는 프런트 프레임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레인포스먼트 프런트 범퍼에 스테이를 삽입시켜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이중결합구조로 형성하여 충격흡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부가 스테이와 보울트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부착시키되, 상기 프런트 프레임을 인너프런트프레임과 아웃프런트프레임으로 형성시켜 이중구조를 갖추도록 하고, 아웃프런트프레임의 후단부를 계단식으로 협소하게 형성하여 인너프런트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범퍼스테이 및 프런트프레임에 충돌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전달이 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이 미약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프런트범퍼를 프런트프레임에 연결시켜 주는 스테이를 통해 외부충격이 프런트프레임의 인너프런트프레임에 가해지게 되면 인너프런트프레임은 아웃프런트프레임에 삽입이 되면서, 인너프런트프레임의 후단부가 아웃프런트프레임의 계단식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후단부에 의해 충격이 여러번에 걸쳐 흡수하게 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범퍼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범퍼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가 부착되는 프런트 프레임의 일부분 종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런트프레임,12 - 인너프런트프레임,
14 - 아웃프런트프레임,16 - 일차충격흡수부,
18 - 이차충격흡수부,20 - 삼차충격흡수부,
22 - 경사부,24 - 수평부,
26 - 충격흡수재.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너프런트프레임(12)과 아웃프런트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프런트프레임(10)을 형성시키되, 아웃프런트프레임(14)의 후단부를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외주면을 다단식으로 절곡시켜, 일차충격흡수부(16), 이차충격흡수부(18), 삼차충격흡수부(20)를 형성하고, 각각 그 내측면이 경사부(22)와 수평부(24)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4)에는 충격흡수재(26)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범퍼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8은 프런트프레임(10)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스테이, 30은 상기 스테이(28)와 프런트프레임(10)을 일체로 결합시켜 주는 결합보울트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가 부착되는 프런트프레임의 일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범퍼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3 의 A - A선 단면도이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10)은 결합보울트(30)에 의해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 범퍼와 결합되는 스테이(28)와 일체로 결합이 된다.
상기 결합보울트(30)에 의해 결합된 프런트프레임(10)은 인너프런트프레임(12)과 아웃프런트프레임(14)으로 형성시켜 이중 구조를 갖추도록 하되, 상기 아웃프런트프레임(14)은 그 후단부가 점차적으로 협소해 지도록 외주면이 다단식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다단식으로 절곡된 후단부에는 프론트 측으로부터 일차충격흡수부(16)는 이차충격흡수부(18) 및 삼차충격흡수부(20)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그 내측면이 경사부(22)와 수평부(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부(24)에는 충격흡수재(26)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프런트범퍼를 프런트프레임(10)에 연결시켜 주는 스테이(28)를 통해 외부충격이 프런트프레임(10)의 인너프런트프레임(12)에 전달이 되면, 상기 인너프런트프레임(12)은 아웃프런트프레임(14) 측으로 이동되어 경사부(22)를 이룬 일차충격흡수부(16)와, 이차.삼차충격흡수부(18) (20)에 의해 충격이 감소된다.
또한, 일차충격흡수부(16)와 이차충격흡수부(18)사이, 그리고 이차충격흡수부(18)와 삼차충격흡수부(20) 사이의 충격흡수재(26)에 의해 충격을 흡수시켜 직접적으로 외부충격이 차실측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범퍼를 프런트프레임(10)에 연결시켜 주는 스테이(28)를 통해 외부충격이 프런트프레임(10)의 인너프런트프레임(12)에 가해지게 되면 인너프런트프레임(12)은 아웃프런트프레임(14)에 삽입이 되면서, 인너프런트프레임(12)의 후단부가 아웃프런트프레임(14)의 계단식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후단부에 의해 충격이 여러번에 걸쳐 흡수하게 됨으로, 차실측에 탑승한 승차자의 안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너프런트프레임(12)과 아웃프런트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프런트프레임(10)을 형성시키되, 아웃프런트프레임(14)의 후단부를 점차적으로 협소해 지도록 외주면을 다단식으로 절곡시켜, 일차충격흡수부(16), 이차충격흡수부(18), 삼차충격흡수부(20)를 형성하고, 각각 그 내측면이 경사부(22)와 수평부(24)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4)에는 충격흡수재(26)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범퍼.
KR1019960073417A 1996-12-27 1996-12-27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KR19980054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417A KR19980054282A (ko) 1996-12-27 1996-12-27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417A KR19980054282A (ko) 1996-12-27 1996-12-27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282A true KR19980054282A (ko) 1998-09-25

Family

ID=6638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417A KR19980054282A (ko) 1996-12-27 1996-12-27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8B1 (ko) * 2004-10-20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8B1 (ko) * 2004-10-20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885A (en) Protective strip for a road vehicle, and a road vehicle having such a strip
KR19980054282A (ko)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KR19980045233U (ko)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KR200143699Y1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용 리브 구조
KR0171784B1 (ko) 오일댐핑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KR100513684B1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200183523Y1 (ko) 충격완화용 범퍼 어셈블리
KR200158116Y1 (ko) 자동차의 범퍼조립체
KR200154664Y1 (ko) 범퍼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19980045206U (ko) 자동차용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KR200267613Y1 (ko)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범퍼 레일
KR19980059444A (ko) 자동차용 범퍼의 보강구조
KR970039407A (ko) Gmt와 강판이 병용된 자동차의 범퍼
KR100214697B1 (ko) 차량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12884U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충격 완화 구조
KR19980043990U (ko) 프런트 범퍼 충격 흡수장치
KR19990021089A (ko) 자동차 프론트 범퍼
KR19980046347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프레임 구조
KR980007656U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KR19990034883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KR19980054893U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19980065870U (ko) 자동차용 프런트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KR980007657U (ko) 자동차의 충격완화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