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019A -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019A
KR19980054019A KR1019960073149A KR19960073149A KR19980054019A KR 19980054019 A KR19980054019 A KR 19980054019A KR 1019960073149 A KR1019960073149 A KR 1019960073149A KR 19960073149 A KR19960073149 A KR 19960073149A KR 19980054019 A KR19980054019 A KR 1998005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ibration
roll
damping means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019A/ko
Publication of KR1998005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19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동작중 이로부터 전달되는 롤진동의 정도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감지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쇠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갖춤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1)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크로스바아(2)에 결합되어 엔진(1)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의 선단이 엔진(1)에서 발생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쇠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매개로 각기 고정되고, 이 진동완화수단은 엔진(1)의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진동흡수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엔진의 롤진동의 정도에 따라 엔진의 양측부를 차체의 크로스바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에 유압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동작중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동작중 내부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와,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부분에서 발생되는 관성력 및, 상기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축의 좌우로 흔들림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른 것등에 의해 진동과 소음이 유발되는 바, 이같이 엔진의 동작중 유발되는 진동은 가솔린엔진보다는 디젤엔진에서 더 심하게 발생되는데, 특히 엔진의 롤진동은 차체에 직접 전달되므로 운전자나 탑승한 승객에게 불안감을 주는 승차감의 저해요소로 작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은 차체에 장착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1)의 양측부로부터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면서 타단이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크로스바아(12)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3)를 매개로 고정되는 바, 이 지지부재(13)는 중간부위에 엔진(1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킬 목적으로 인슐레이터(14)가 장착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중간에 인슐레이터(14)를 개재하고서 엔진(11)의 양측부와 차체의 크로스바아(12)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3)에서는 엔진의 동작중 유발되는 롤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동작중 이로부터 전달되는 롤진동의 정도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감지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쇠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갖춤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엔진의 진등흡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엔진이 차체의 크로스바아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장치를 매개로 엔진이 차체의 크로스바아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엔진2-크로스바아
3-지지부재4-피스톤
5-스프링6-압축오일
7-하우징8, 8'-제 1, 2관로
9, 9'-제 1, 2솔레노이드밸브10-평형센서
11-콘트롤유니트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크로스바아에 결합되어 엔진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의 선단이 엔진에서 발생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쇠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매개로 각기 고정되고, 이 진동완화수단은 엔진의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진동흡수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장치를 매개로 엔진이 차체의 크로스바아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의 양측부로부터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면서 타단이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크로스 바아(2)에 결합되어 엔진(1)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의 선단이 엔진(1)에서 발생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쇄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매개로 각기 고정되는 바, 이 각각의 진동완화수단은 상기 지지부재(3)의 선단에 장착된 피스톤(4)과, 이 피스톤(4)의 저면을 스프링(5)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피스톤(4)을 감싸면서 내부에 압축오일(6)을 봉입시킨 하우징(7), 이 하우징(7) 사이 를 상/하측으로 각기 연결시켜 주는 제 1, 2관로(8, 8') 및, 이 제 1, 2관로(8, 8') 상에 각기 연결된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완화수단은 엔진(1)의 롤진동의 정도에 따라 좌/우측 하우징(7)의 내부에 압축오일(6)을 선택적으로 공급시켜 진동흡수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엔진(1)의 상부에 장착되어 롤진동의 정도를 감지하는 평형센서(10)와, 이 평형센서(10)와 연결되어 감지된 롤진동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제 1, 2관로(8, 8')를 통해 하우징(7)으로 유동되는 압축오일(6)의 양을 조절하도록 된 콘트롤유니트(1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엔진(1)의 동작중 유발되는 롤진동을 평형센서(10)가 감지하고서 이를 콘트롤유니트(11)로 신호보내게 되면, 이 콘트롤유니트(11)는 롤진동의 정도에 따라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모두 개방시켜 제 1, 2관로(8, 8')를 통해 좌/우측의 하우징(7) 사이로 유동되는 압축오일(6)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진동흡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엔진(1)의 롤진동이 적을 경우에는 콘트롤유니트(11)가 평형센서(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서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중 어느 한 곳만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좌/우측의 하우징(7) 사이로 유동되는 압축오일(6)의 양이 적으므로 미소진동의 제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반면에 엔진(1)의 롤진동이 클 경우에는 콘트롤유니트(11)가 평형센서(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서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를 모두 개방시켜 좌/우측의 하우징(7) 사이로 유동되는 압축오일(6)의 양이 최대화시켜 대진동의 제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작동중 엔진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쇄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진동감쇄수단을 매개로 엔진을 차체의 크로스바아에 지지시킴으로써, 주행중 차량의 롤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진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3)

  1. 엔진(1)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차체의 하부에 배치된 크로스바아(2)에 결합되어 엔진(1)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의 선단이 엔진(1)에서 발생된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감쇄력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진동완화수단을 매개로 각기 고정되고, 이 진동완화수단은 엔진(1)의 롤진동의 크기에 따라 진동흡수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완화수단은 지지부재(3)의 선단에 장착된 피스톤(4)과, 이 피스톤(4)의 저면을 스프링(5)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피스톤(4)을 감싸면서 내부에 압축오일(6)을 봉입시킨 하우징(7), 이 하우징(7) 사이를 상/하측으로 각기 연결시켜 주는 제 1, 2관로(8, 8') 및, 이 제 1, 2관로(8, 8') 상에 각기 연결된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엔진(1)의 상부에 장착되어 롤진동의 정도를 감지하는 평형센서(10)와, 이 평형센서(10)와 연결되어 감지된 롤진동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2솔레노이드밸브(9, 9')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제 1, 2관로(8, 8')를 통해 하우징(7)으로 유동되는 압축오일(6)의 양을 조절하도록 된 콘트롤유니트(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1019960073149A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19980054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49A KR19980054019A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49A KR19980054019A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19A true KR19980054019A (ko) 1998-09-25

Family

ID=6638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149A KR19980054019A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0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519A (en) * 1980-02-20 1981-09-12 Nissan Motor Co Ltd Engine mount of car
JPS61226332A (ja) * 1985-03-30 1986-10-08 Mazda Motor Corp パワ−ユニツトのマウンテイ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519A (en) * 1980-02-20 1981-09-12 Nissan Motor Co Ltd Engine mount of car
JPS61226332A (ja) * 1985-03-30 1986-10-08 Mazda Motor Corp パワ−ユニツトのマウンテイ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8454B2 (ja) 車輪の懸架方法及び懸架装置
EP1566330B1 (en) Wheeled vehicle with suspension units
KR950017279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6206152B1 (en) Vibratio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KR19980054019A (ko)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950026710A (ko) 현가제어장치
KR0185444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JP2000097277A (ja) 減衰力可変ダンパ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245182B1 (ko) 가변 오일 오리피스를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KR200152739Y1 (ko)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KR100233886B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완충방법 및 장치
KR10019974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
KR0176214B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JPH06229439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970005837A (ko) 자동차용 시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9980046753U (ko) 자동차 시트의 평형유지 장치
KR10029038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JPH09123975A (ja) 車両の車高調整装置
KR970034277A (ko) 2단스프링 상수 가변식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00461401B1 (ko) 차량 조향장치의 진동저감장치
KR19990049562A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19980036658U (ko) 쇽업쇼버의 고정장치
JPH10274273A (ja) 車両用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