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593U -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 Google Patents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593U
KR19980050593U KR2019960063764U KR19960063764U KR19980050593U KR 19980050593 U KR19980050593 U KR 19980050593U KR 2019960063764 U KR2019960063764 U KR 2019960063764U KR 19960063764 U KR19960063764 U KR 19960063764U KR 19980050593 U KR19980050593 U KR 199800505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brake cable
fixing guide
cable fix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국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3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593U/ko
Publication of KR19980050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5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패널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가이드를 합성 수지재인 ABS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구조로서 원가 절감과 작업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게한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합성 수지 재질의 사다리형 몸체(1) 양측부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102)을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절개부(2)가 형성된 고정공(3)을 각각 구성하고 하부에는 후크(4)를 형성하여 패널 센터 플로우(103)의 홀(103a)에 끼움설치하여 고정되도록함을 특징으로한 일체형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이다.

Description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본 고안은,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패널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의 바닥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를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면이 절개부(101)를 형성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123)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패널 센터 플로우(103)에 CO2 용접(104) 고정시켜 왔다.
이와같은 종래구성은 패널 센터 플로우 CO2 용접 고정하므로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장착 위치 맞춤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패널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 수지 재질의 사다리형 몸체 양측부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이 삽설되어 관통되도록 삽입공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패널의 홀에 고정되도록 후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한 일체형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를 제공하므로서 목적은 달성된다.
도1은 종래 구성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4는 도3의 A-A선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다리형 몸체2; 절개부
3; 케이블 고정공4; 후크
5; 가이드102;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103; 패널 센터 플로우103a; 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며 도4는 도3의 A-A선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다리형의 몸체(1) 양측부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102)을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절개부(2)가 형성된 케이블 고정공(3)을 구성하고 하부에는 패널 센터 플로우(103)의 홀(103a)에 고정되도록 후크(4)를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몸체(1)는 합성 수지 재질인 ABS수지로 성형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널 센터 플로우(103)의 홀(103a)에 가이드(5)의 후크(4)를 삽설하여 고정시킨 다음 몸체(1) 양측부에 형성된 절개부(2)로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102)을 밀어 넣어 케이블 고정공(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일체형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는 합성 수지재인 ABS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한 구조이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고 또한 패널의 홀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한 후크를 형성하므로서 작업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은,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패널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 가이드를 금속 재질대신 합성 수지재인 ABS 수지를 사용하여 패널에 간편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므로 원가 절감과 작업성 향상이 되도록 한데 목적을 둔 것이다.

Claims (1)

  1. 합성 수지 재질의 사다리형 몸체(1) 양측부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102)을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절개부(2)가 형성된 고정공(3)을 각각 구성하고 하부에는 후크(4)를 형성하여 패널 센터 플로우(103)의 홀(103a)에 끼움설치하여 고정되도록함을 특징으로한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KR2019960063764U 1996-12-30 1996-12-30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KR199800505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764U KR19980050593U (ko) 1996-12-30 1996-12-30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764U KR19980050593U (ko) 1996-12-30 1996-12-30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93U true KR19980050593U (ko) 1998-10-07

Family

ID=5400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764U KR19980050593U (ko) 1996-12-30 1996-12-30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5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3983A (ko) 연결재
KR19980050593U (ko) 일체형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 가이드
JP2005248981A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2564344Y2 (ja) 自動車における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GB2367856A (en) Bumper fixing clip
JP2519212Y2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固定構造
FI92625C (fi) Ovenpainike tai vastaava
JP2894604B2 (ja) マンホ―ル等用足掛具の取付装置
KR200155195Y1 (ko) 와이어링 단자 터미널
KR200247511Y1 (ko) 와이어 하네스 그로멧용 브라케트
KR19990025219U (ko) 엠블럼 고정장치
KR200150755Y1 (ko) 후크 고정구조
KR0129087Y1 (ko) 자동차의 백밀러의 고정구조
JP3070856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KR0125146Y1 (ko) 스위치 손잡이 이탈방지구조
KR0112254Y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용 잠금장치의 취부구조
KR970005200Y1 (ko) 차량용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체결구조
KR0121362Y1 (ko) 차량용 보조 핸들
KR0139513Y1 (ko) 도어트림 고정용 클립
KR900005764Y1 (ko) 자동차용 로드 홀딩 클립(Rod Holding Clip)
JPH0323793Y2 (ko)
KR20210112033A (ko) 언더커버 체결용 클립
KR970006041Y1 (ko) 자동차용 도어 안전 록 구조
JPS582114Y2 (ja) スイツチボツクス
KR980001664A (ko) 차량의 루프랙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