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723A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723A
KR19980049723A KR1019960068453A KR19960068453A KR19980049723A KR 19980049723 A KR19980049723 A KR 19980049723A KR 1019960068453 A KR1019960068453 A KR 1019960068453A KR 19960068453 A KR19960068453 A KR 19960068453A KR 19980049723 A KR19980049723 A KR 1998004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road
control unit
planetary gea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723A/ko
Publication of KR1998004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723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변속시점에 타이머가 작동되고, 현재 차속과 드로틀 밸브 개도각, 및 가속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된 후,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차속과 드로틀 밸브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입력된 가속도를 비교하여 현 도로가 비포장도로인지를 판별한 다음,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변속단을 저속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포장도로에서 자동변속기의 변속을 방지하여 저속으로 주행하도록 변속패턴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기관은, 기관의 탄성영역(elastic range of engines), 즉 기관성능곡선에서 최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속도에서부터 최대 출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속도까지를 일컫는 기관의 탄성영역내에서 주로 운전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발진시, 가속시 및 등반시에 구동륜의 최대 견인력이나 최대 출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변속비가 1이하일 경우, 즉 기관의 회전속도에 비해 출력축 회전속도가 같거나 높을 경우엔 가속 능력과 등반 능력이 크게 저하되므로 기관과 구동륜 사이에 변속기를 설치하여 기관의 출력과 회전속도를 구동륜에 필요한 수준으로 변환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변속기는 기관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변환시켜 전달하고, 정차시 기관의 공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륜의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후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 방식에 따라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대별할 수 있는데, 수동 변속기의 경우는 운전자가 부하상태 및 차속에 적절한 상태로 변속조작을 해야하는 것인데 반하여 자동 변속기는 수동식 클러치 조작기구가 생략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만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운전이 간편하고 편안하다는 장점 이외에도 엔진이나 구동장치에 무리한 힘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등의 좋은점이 많아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변속기는 통상, 유체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장치를 조합하고 유압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조건과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 변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른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4단 자동 변속기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발진 클러치로서의 기능과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체 토크 컨버터, 이 유체 토크 컨버터의 다음에 설치되어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유성기어장치, 유성기어장치를 차속이나 운전 조건에 맞추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압을 변환하여 조작하는 유압제어장치, 상기 장치들을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 및 모드, 예컨대 파킹, 후진 및 전진 고속주행 등과 같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레버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체 토크 컨버터는 펌프 임펠러, 터빈 러너, 스테이터 등의 3개의 날개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펌프 임펠러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터빈 러너는 변속기 입력축에, 그리고 스테이터는 일방향 클러치를 거쳐 하우징에 각각 장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오일이 들어 있다.
유성기어장치는 선기어와, 링기어와, 유성기어 캐리어와, 이들 기어들을 구동 또는 피동축에 연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마찰작동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찰 작동요소로는 클러치, 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며, 이들 마찰작동요소는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면서 선기어, 링기어 및 유성기어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피동축에 연결 또는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유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엔진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이 증속되거나 감속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 방향이 바뀌어 추진축의 종감속기어장치로 전달되는 바, 이와 같은 차속 및 부하 상태에 따른 변속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N레인지(중립)
이 레인지는 모든 마찰작동요소가 작동하지 않아 유성기어세트를 이루는 구성 요소, 즉 선기어, 링기어 및 유성기어 캐리어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입력축의 동력은 출력축에 전달되지 않는다.
② P레인지(주차)
이 레인지는 ①항의 N레인지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시프트 레버를 P레인지로 하면 오일 디스트리뷰터의 바깥쪽 톱니바퀴에 파킹 홀이 끼워짐과 아울러 출력축이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또 저속 후진 브레이크가 작용하여 뒤 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한다.
③ D레인지(1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일방향 클러치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되는데,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링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감속 전달된다.
④ D레인지(2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2-4단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되는데, 링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상태에 있게되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유성기어 캐리어로 전달되나,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가 제 1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의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소정의 속도로 감속되어 제 2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 2 유성기어세트를 보면, 그의 선기어와 링기어의 양측을 통한 동력의 입력이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입력된 동력은 유성기어 캐리어를 거쳐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이 레인지에서도 동력은 감속은 있으나,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이 있음으로써 1속의 경우보다는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다.
⑤ D레인지(3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코우스팅 클러치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동시에 입력된다. 이때,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로 입력된 동력은 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자유 상태에 있으므로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링기어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의 과정을 통하여 제 2 유성기어세트에서는 선기어와 링기어를 통한 동력의 입력이 있게 되므로, 이 제 2 유성기어세트가 직결되어 입력된 동력의 가감없이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그대로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⑥ D레인지(4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2-4단 브레이크가 작용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로 입력되는데, 이때 이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가 2-4단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링기어를 통하여 증속 출력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되는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동력의 증,감속 없이 제 1 유성기어세트에서 증속된 상태로 출력축으로 전달되어 오버 드라이브를 이루는 것이다.
⑦ R레인지(후진)
이 레인지에서는 후진용 클러치와, 저속 및 후진용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된다.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가 저속 및 후진용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그 방향이 바뀌어 감속된 상태로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언더 드라이브 상태의 후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각각의 속도단을 조합시키는 변속동작은 오일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동 변속기는 유압을 차량의 주행속도와 엔진 부하, 및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는 장치와, 이러한 유압 제어장치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이하 TCU라 영문표기함)를 포함하고 있다.
TCU는 드로틀 밸브의 개도각과 차속에 따라 변속패턴, 즉 저속에서 고속으로의 변속 또는 고속에서의 저속으로의 변속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때는 저속이어야만 주행 성능이 좋아지고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우수한데, 종래에는 TCU의 변속패턴이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져 고속단이 3속 또는 4속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변속패턴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포장도로에서는 변속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저속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키고 엔진 브레이크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시점에 타이머가 작동되고, 현재 차속과 드로틀 밸브 개도각, 및 가속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된 후,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차속과 드로틀 밸브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입력된 가속도를 비교하여 현 도로가 비포장도로인지를 판별한 다음,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변속단을 저속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비포장도로 여부를 판별한 후, 현재 차속이 15km에서 30km 사이이면 2속으로 고정시키고, 15km 이하이면 1속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현재 도로 상태가 비포장인지를 판별하여, 변속단을 1속이나 2속인 저속으로 고정시켜 변속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주행성능이 개선되고 엔진 브레이크가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T1에서 변속시점부터 타이머가 작동된다.
그런 다음, 단계 ST2에서 차속이 TCU에 입력되고, 단계 ST3에서 드로틀 밸크 개도각이 입력되며, 또한 단계 ST4에서 G값이 입력된다.
여기서, G값이란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가속도로서, 도로의 상태가 비포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일반 도로에서는 차속과 드로틀 밸브 개도각에 비해서 일정 이상으로 가속되는데 비해서, 비포장도로에서는 차속과 드로틀 밸브 개도각이 증가되어도 가속도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가속도인 G값으로 피포장도로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TCU에는 G값에 대한 기준치인 Gs값이 미리 설정되어서, 단계 ST5에서 G값과 Gs값을 비교하여, 현재 도로상황이 비포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만일, G값이 Gs값보다 작으면, 비포장도로가 아니므로 단계 ST4부터 재실행된다.
G값이 Gs값보다 크면 비포장도로이므로, 단계 ST6에서 현재의 변속단이 TCU에 입력되고, 단계 ST7에서 현재 차속(V)과 기준치를 비교하게 된다.
즉, V값이 TCU에 설정된 15km 이하이면, 비포장도로에서도 노면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계 ST8에서 변속단을 1속으로 고정시켜 자동적으로 변속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V값이 15km에서 30km 사이이면, 비포장도로의 노면 상태가 최악의 조건인 것은 아니므로, 단계 ST9에서 변속단을 2속으로 고정시켜 변속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비포장도로 여부를 판정하여, 변속단을 저속으로 고정시켜 자동으로 변속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필요 이상으로 속도가 빨라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저속 운행을 하게 되므로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우수하게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변속시점에 타이머가 작동되고, 현재 차속과 드로틀 밸브 개도각, 및 가속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된 후,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차속과 드로틀 밸브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입력된 가속도를 비교하여 현 도로가 비포장도로인지를 판별한 다음,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변속단을 저속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비포장도로 여부를 판별한 후, 현재 차속이 15km에서 30km 사이이면 2속으로 고정시키고, 15km 이하이면 1속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19960068453A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9980049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453A KR19980049723A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453A KR19980049723A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23A true KR19980049723A (ko) 1998-09-15

Family

ID=6644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453A KR19980049723A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7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8861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パワートレーン
US718918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2728862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パワートレーン
KR10036169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9980049723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0418662B1 (ko) 자동변속차량의엔진과열방지방법
KR19980050549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d 레인지 상태로 정지시 진동 저감방법
KR100217072B1 (ko)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998004972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9980049722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로크 업 클러치 강제 작동방법
JPS6235151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3402121B2 (ja) 変速機を有する車両の制御装置
JP254698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KR0183222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US5807208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vehicle
KR1998005054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배기가스 저감식 변속패턴 제어방법
KR950011261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JP3457397B2 (ja) 自動変速機
KR0168387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540797B1 (ko)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KR100221079B1 (ko) 전자제어식 자동 변속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제어방법
KR19980028287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KR1998002828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KR100435642B1 (ko)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