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690B1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90B1
KR100361690B1 KR1019960068451A KR19960068451A KR100361690B1 KR 100361690 B1 KR100361690 B1 KR 100361690B1 KR 1019960068451 A KR1019960068451 A KR 1019960068451A KR 19960068451 A KR19960068451 A KR 19960068451A KR 100361690 B1 KR100361690 B1 KR 10036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emperatur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721A (ko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65Control of cooling or lubr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2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throttl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변속시점과 오일의 온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는 오일의 온도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변속시점부터 종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현재의 드로틀 밸브 개도각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오일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변속시점보다 조기 또는 지연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변속기의 작동유체인 오일의 온도에 따라 오일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시기를 조절하여 변속패턴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기관은, 기관의 탄성영역(elastic range of engines), 즉 기관성능곡선에서 최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속도에서부터 최대 출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속도까지를 일컫는 기관의 탄성영역내에서 주로 운전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발진시, 가속시 및 등반시에 구동륜의 최대 견인력이나 최대 출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변속비가 1이하일 경우, 즉 기관의 회전속도에 비해 출력축 회전속도가 같거나 높을 경우엔 가속 능력과 등반 능력이 크게 저하되므로 기관과 구동륜 사이에 변속기를 설치하여 기관의 출력과 회전속도를 구동륜에 필요한 수준으로 변환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변속기는 기관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변환시켜 전달하고, 정차시 기관의 공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륜의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후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 방식에 따라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대별할 수 있는데, 수동 변속기의 경우는 운전자가 부하상태 및 차속에 적절한 상태로 변속조작을 해야하는 것인데 반하여 자동 변속기는 수동식 클러치 조작기구가 생략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만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운전이 간편하고 편안하다는 장점 이외에도 엔진이나 구동장치에 무리한 힘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등의 좋은점이 많아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변속기는 통상, 유체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장치를 조합하고 유압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조건과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 변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4단 자동 변속기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발진 클러치로서의 기능과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체 토크 컨버터, 이 유체 토크 컨버터의 다음에 설치되어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유성기어장치, 유성기어장치를 차속이나 운전 조건에 맞추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압을 변환하여 조작하는 유압제어장치, 상기 장치들을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 및 모드, 예컨대 파킹, 후진 및 전진 고속주행 등과 같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레버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체 토크 컨버터는 펌프 임펠러, 터빈 러너, 스테이터 등의 3개의 날개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펌프 임펠러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터빈 러너는 변속기 입력축에, 그리고 스테이터는 일방향 클러치를 거쳐 하우징에 각각 장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오일이 들어 있다.
유성기어장치는 선기어와, 링기어와, 유성기어 캐리어와, 이들 기어들을 구동 또는 피동축에 연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마찰작동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찰 작동요소로는 클러치, 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며, 이들 마찰작동요소는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면서 선기어, 링기어 및 유성기어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피동축에 연결 또는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유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엔진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이 증속되거나 감속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 방향이 바뀌어 추진축의 종감속기어장치로 전달되는 바, 이와 같은 차속 및 부하 상태에 따른 변속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N레인지(중립)
이 레인지는 모든 마찰작동요소가 작동하지 않아 유성기어세트를 이루는 구성 요소, 즉 선기어, 링기어 및 유성기어 캐리어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입력축의 동력은 출력축에 전달되지 않는다.
② P레인지(주차)
이 레인지는 ①항의 N레인지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시프트 레버를 P레인지로 하면 오일 디스트리뷰터의 바깥쪽 톱니바퀴에 파킹 홀이 끼워짐과 아울러 출력축이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또 저속 후진 브레이크가 작용하여 뒤 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한다.
③ D레인지(1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일방향 클러치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되는데,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링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감속 전달된다.
④ D레인지(2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2-4단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되는데, 링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상태에 있게되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유성기어 캐리어로 전달되나,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가 제 1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의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소정의 속도로 감속되어 제 2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 2 유성기어세트를 보면, 그의 선기어와 링기어의 양측을 통한 동력의 입력이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입력된 동력은 유성기어 캐리어를 거쳐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이 레인지에서도 동력은 감속은 있으나,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이 있음으로써 1속의 경우보다는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다.
⑤ D레인지(3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코우스팅 클러치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동시에입력된다. 이때,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로 입력된 동력은 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자유 상태에 있으므로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링기어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의 과정을 통하여 제 2 유성기어세트에서는 선기어와 링기어를 통한 동력의 입력이 있게 되므로, 이 제 2 유성기어세트가 직결되어 입력된 동력의 가감없이 유성기어 캐리어를 통하여 그대로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⑥ D레인지(4속상태)
이 레인지에서는 전진용 클러치와 2-4단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 캐리어로 입력되는데, 이때 이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가 2-4단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링기어를 통하여 증속 출력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되는 동력은 제 2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동력의 증,감속 없이 제 1 유성기어 세트에서 증속된 상태로 출력축으로 전달되어 오버 드라이브를 이루는 것이다.
⑦ R레인지(후진)
이 레인지에서는 후진용 클러치와, 저속 및 후진용 브레이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은 제 1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로 입력된다.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가 저속 및 후진용 브레이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그 방향이 바뀌어 감속된 상태로 링기어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언더 드라이브 상태의 후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각각의 속도단을 조합시키는변속동작은 오일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동 변속기는 유압을 차량의 주행속도와 엔진 부하, 및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는 장치와, 이러한 유압 제어장치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 (TCU:Transmission Control Uint, 이하 TCU라 영문표기함)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TCU는 작동유체인 오일(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이하 ATF라 영문표기함)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또는 개도각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변속기의 작동유체인 ATF의 특성중의 하나가 바로 점도이다. 점도는 주지된 사실대로, 끈끈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변속기의 특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즉, 클러치 및 브레이크 밴드의 내구성, 기어장치의 내구성, 변속충격, 및 기어 작동에 따른 소음 발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ATF는 적당한 점도로 유지되어야만, 자동변속기의 성능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가 있는데, 점도는 주위 온도에 따라 심하게 변화하게 된다. 즉, 점도는 온도와 반비례하여, 온도가 낮으면 점도는 상승하고, 반대로 온도가 높으면 점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변속패턴이 ATF의 점도와 상관없이 실행되었다. 따라서, 겨울철에 온도가 매우 낮아지게 되어 ATF의 점도가 상승되면, ATF의 압력이 급증하게 되어 변속충격이 매우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성능 및 승차감이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변속패턴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ATF의 점도, 즉 온도에 따라 변속패턴을 달리 하여, ATF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변속충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시점과 오일의 온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는 오일의 온도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변속시점부터 종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현재의 드로틀 밸브 개도각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오일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변속시점보다 조기 또는 지연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솔레노이드 밸브를 조기에 작동시키는 오일의 온도는 -19℃ 이하이고, 지연시켜 작동시키는 오일의 온도는 6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오일의 온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조기 또는 지연시키므로써, 오일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어 변속충격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T1에서 변속시점이 TCU에 입력되고, 단계 ST2에서 오일(ATF)의 온도가 TCU에 입력된다. 그런 다음, 단계 ST3에서 TCU가 ATF의 온도가 정상인지를 판별한다. 판별기준이 되는 온도는 20℃에서 65℃ 사이로서, 이 범위내로 ATF의 온도가 유지되면, 정상으로 판정하고 단계 ST2부터 다시 실행한다.
만일,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즉 19℃ 이하이거나 66℃ 이상인 경우에, 단계 ST4에서 TCU가 초기에 입력된 변속시점부터 변속이 완료된 종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단계 ST5에서 드로틀 밸브 개도각이 TCU에 입력된다.
최종적으로, 단계 ST6에서 TCU가 ATF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ATF의 온도가 19℃ 이하이면 ATF의 점도가 높아진 것을 의미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앞당겨 실행시킨다. 반면에, ATF의 온도가 66℃ 이상이면 ATF의 점도가 낮아진 것을 의미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TF의 온도, 즉 점성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지연 또는 조기에 작동시키게 되므로써, ATF의 압력이 상승되어 변속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자동변속 차량의 주행성능 및 승차감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변속시점과 오일의 온도가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에 입력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는 오일의 온도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변속시점부터 종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현재의 드로틀 밸브 개도각을 입력받은 다음, 상기 오일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 변속시점보다 조기 또는 지연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제어 유니트가 솔레노이드 밸브를 조기에 작동시키는 오일의 온도는 -19℃ 이하이고, 지연시켜 작동시키는 오일의 온도는 6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19960068451A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036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451A KR100361690B1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451A KR100361690B1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21A KR19980049721A (ko) 1998-09-15
KR100361690B1 true KR100361690B1 (ko) 2003-03-03

Family

ID=3749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451A KR100361690B1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77B1 (ko) 2006-07-28 2007-11-3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저속 주행시 솔레노이드밸브 과열 방지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726A (ja) * 1985-09-30 1987-04-06 Aisin Seiki Co Ltd 油温上昇防止モ−ド付自動変速機
JPS63280949A (ja) * 1987-05-12 1988-11-17 Fuji Heavy Ind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23754A (ja) * 1988-06-14 1990-01-09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時ライン圧制御装置
JPH05272623A (ja) * 1992-03-24 1993-10-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726A (ja) * 1985-09-30 1987-04-06 Aisin Seiki Co Ltd 油温上昇防止モ−ド付自動変速機
JPS63280949A (ja) * 1987-05-12 1988-11-17 Fuji Heavy Ind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23754A (ja) * 1988-06-14 1990-01-09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時ライン圧制御装置
JPH05272623A (ja) * 1992-03-24 1993-10-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77B1 (ko) 2006-07-28 2007-11-3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저속 주행시 솔레노이드밸브 과열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2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701B2 (en)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CN102947623B (zh) 车辆用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
WO1992021898A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of automatic speed changer for vehicle
KR960007107B1 (ko) 기어식 유단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36169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오일 온도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JPH098909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90000156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0418662B1 (ko) 자동변속차량의엔진과열방지방법
KR1998004972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JP285184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773141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方法
JPS6235151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KR19980050549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d 레인지 상태로 정지시 진동 저감방법
KR19980049722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로크 업 클러치 강제 작동방법
US5807208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vehicle
KR19980049723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비포장도로에 대한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998005054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배기가스 저감식 변속패턴 제어방법
JP254698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H0442600Y2 (ko)
KR100215928B1 (ko) 수동변속 레인지가 설정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매뉴얼 밸브 조 작기구
KR100217072B1 (ko)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9980060223U (ko) 자동변속 차량의 과속 방지식 변속장치
KR19980028287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KR1998002828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KR0162795B1 (ko)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