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265U -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265U
KR19980049265U KR2019960062430U KR19960062430U KR19980049265U KR 19980049265 U KR19980049265 U KR 19980049265U KR 2019960062430 U KR2019960062430 U KR 2019960062430U KR 19960062430 U KR19960062430 U KR 19960062430U KR 19980049265 U KR19980049265 U KR 19980049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casing
activated carbon
parti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2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265U/ko
Publication of KR19980049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265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탱크 또는 혼합기 형성 장치에서 발생된 증발개스를 저장하는 캐니스터측의 증발개스 포집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활성탄을 저장하고 퍼지포트 및 연료탱크 포트 그리고 에어벤트 포트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 공간을 분활하여 활성탄의 집중을 예방하기 위해 케이싱 공간을 분활하는 칸막이 또는 리퀴드 트랩이 구성되는 활성탄 저장방식의 캐니스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싱 내부 공간을 세분하여 분활하는 수개의 격벽과, 상기 격벽의 단부를 케이싱 내벽과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이 이어 지도록 하는 유체 안내로를 배치한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를 구성한 것임.

Description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본 고안은 연료탱크 또는 혼합기 형성 장치에서 발생된 증발개스를 저장하는 캐니스터측의 증발개스 포집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다.
차의 배출개스 저감대책중 증발개스 저감을 위해 연료탱크 또는 혼합기 형성장치에서 발생된 증발개스를 일시 저장해 두었다가, 기관 작동중 흡기계통으로 보내 연소 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중 활성탄 저장방식은 도 1과 같이 연료탱크(1)와 혼합기 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증발개스를 활성탄이 들어 있는 캐니스터(2)에 모이게 한 다음 퍼지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여 증발개스를 흡기관(3)을 통해 연소실로 보내 연소 시키는 방식이다.
캐니스터(2)내에는 입자상의 활성탄(4)이 충만되어 있고 기관(5)이 정지한 다음 연료탱크(1)와 혼합기 형성기구에서 발생하는 연료 증발개스는 가는 호스를 통해 캐니스터(2)내로 유입되고, 캐니스터(2)에 유입된 증발개스는 바로 활성탄(4) 입자 표면에 흡착된다.
기관이 정지중에 활성탄(4)에 흡착된 증발개스는 기관 작동중에 퍼지 컨트롤 밸브가 열리면 다시 활성탄(4)으로 부터 분리되어 흡기 다기관(3)으로 유입되게 되어 증발개스는 곧바로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고 반드시 연소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활성탄 저장 방식에서 쓰여지는 캐니스터(2) 구조는 도 2와 같이 활성탄(4)을 저장하고 퍼지포트(7) 및 연료탱크 포트(8) 그리고 에어벤트 포트(6)가 형성된 케이싱(9)과, 상기 케이싱(9)내 공간을 분활하여 활성탄(4)의 집중을 예방하기 위해 케이싱(9)내 공간을 분활하는 칸막이(10) 또는 리퀴드 트랩(LZQUZD TRAP)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활성탄 저장방식의 캐니스터(2)는 기관(5) 구동이 있을 때 퍼지 압력에 의하여 캐니스터(2)에 걸리는 부압은 연료탱크(1)측 증발개스 그리고 공기 뿐만 아니라 먼지도 흡입 하는데 이때 도 2와 같이 활성탄(4) 입자에 증발개스의 포집 경로가 생긴다.
즉, 활성탄(4) 입자측의 증발개스 포집 영역은 유효영역(A1) 및 비유효영역(A2,A3)으로 나타나는데, 포집 유효영역(A1)은 격벽(10)을 중심으로 에어벤트 포트(6)로 부터 퍼지포트(7) 및 연료탱크 포트(8)로 이어지는 영역으로 나타나 유체의 흐름 경로에 형성되고, 포집 비 유효영역(A2,A3)은 상기 유체의 흐름 경로를 제외한 부분 즉, 격벽(10)을 중심으로 내측 양측면부 및 캐니스터(2) 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9) 내부 모서리 공간이 된다.
상기 비유효 영역(A2,A3)은 유체의 흐름이 거의 없는 곳으로서 이 부분에 위치하는 활성탄(4)의 포집 역할은 정지된 상태에 있어 캐니스터(2)내 활성탄(4) 입자에 의한 포집 가능 면적을 골고루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이로인해 활성탄(4) 입자의 수용 정도로 결정되는 캐니스터(2)의 실제 포집 용량이 적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캐니스터측에 수용되는 활성탄 입자에 의한 퍼지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캐니스터 내부 공간 설계를 퍼지 용량을 증대 시키는 쪽으로 구성 하는 것이다.
도 1은 활성탄 저장 방식의 증발개스 제어장치.
도 2는 종래 캐니스터 케이싱 본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니스터 케이싱 본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흐름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a:캐니스터(CANISTER)4:활성탄
6:에어벤트포트7:퍼지포트(PURGE PORT)
9,9a:케이싱11:격벽
12:유체안내로13:곡선면
활성탄(4)을 저장하고 퍼지포트(7) 및 연료탱크 포트(8) 그리고 에어벤트 포트(6)가 형성된 케이싱(9a)과, 상기 케이싱(9a)내 공간을 분활하여 활성탄(4)의 집중을 예방하기 위해 케이싱내 공간을 분활하는 칸막이 또는 리퀴드 트랩이 구성되는 활성탄 저장방식의 캐니스터 구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도 과3 같이 캐니스터의 케이싱(9a) 내부 공간을 세분하여 분활하는 수개의 격벽(11)과, 상기 격벽(11)의 단부를 케이싱(9a) 내벽과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이 이어 지도록 하는 유체 안내로(12)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기 격벽(11)의 모서리는 곡선면(13) 처리한다.
유체 이동 경로는 에어벤트 포트(6)를 통해 퍼지공기를 유입하고, 각 격벽(11)의 유체 안내로(12)를 지나 종단측 격벽(11)에 설치된 퍼지포트(7) 및 연료탱크 포트(8)측에 형성된다.
상기 캐니스터 케이싱(9a) 내에는 도 3의 예와 같이 활성탄(4)이 수용된 6개의 방 또는 더 세분되어 증설된 방 그리고 방의 수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캐니스터 포집 용량에 따른 포집 경로를 조절한다.
상기 활성탄 저장방식의 캐니스터(2a)는 기관 구동이 있을 때 퍼지 압력에 의하여 캐니스터(2a)에 걸리는 부압은 연료탱크측 증발개스 그리고 공기 뿐만 아니라 먼지도 흡입 하는데 이때 도 4와 같이 활성탄(4) 입자에 증발개스의 포집 경로가 생긴다.
즉, 활성탄(4) 입자측의 증발개스 포집 영역은 유효영역 및 비유효영역으로 나타나는데, 포집 유효영역은 격벽(11)을 중심으로 에어벤트 포트(6)로 부터 퍼지포트(7) 및 연료탱크 포트(8)로 이어지는 영역으로 나타나 유체의 흐름 경로에 형성되고, 포집 비유효영역은 상기 유체의 흐름 경로를 제외한 부분 즉, 격벽(11)을 중심으로 내측 양측면부 및 캐니스터(2a) 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9a) 내부 모서리 공간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유효 영역은 격벽(11)의 양 모서리면에 형성되지만 이 부분을 곡선면(13) 처리 함으로서 실제 비유효 영역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유체의 이동경로를 보면 활성탄(3)이 채워진 각 격벽(11) 공간을 유체 안내로(12)를 따라 지나 오르고 내려가는 이동 경로를 나타내면서 전 면적을 고르게 포집 영역으로 활용한다.
기관측 부압이 생기면 에어벤트 포트(6)를 따라 외부 공기가 캐니스터 케이싱(9a) 내로 유입되면서 연료탱크 포트(8)로 부터 유입된 증발개스를 활성탄을 통해 퍼지 시켜 에어벤트 포트(6)를 따라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퍼지포트(7)를 통해 기관측으로 퍼지 공기를 보낸다.
이때 공기의 유동은 각 격벽(11)에 형성된 유체 안내로(12)를 따라 내려가고 올라 가는 형태로 각 격벽을 고르게 통과 하면서 각 격벽(11)에 충진된 활성탄에 고르게 흡착된다.
상기 캐니스터(2a)에 의한 증발개스 포집은 케이싱내 활성탄 점유 면적에 고르게 분포 됨으로서 케이싱내 활성탄 저장 공간이 곧 포집 가용 영역으로 되어 전체 캐니스터의 포집 용량을 증대 시키는 결과로 나타난다.
본 고안은 캐니스터측 활성탄 점유 공간을 곧 포집 가용 영역으로 활용 함으로서 활성탄의 단위 용적당 캐니스터의 포집 용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있고, 활성탄의 부분적인 이용에 의한 포집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활성탄을 저장하고 퍼지포트 및 연료탱크 포트 그리고 에어벤트 포트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 공간을 분활하여 활성탄의 집중을 예방하기 위해 케이싱 공간을 분활하는 칸막이 또는 리퀴드 트랩이 구성되는 활성탄 저장방식의 캐니스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싱(9a) 내부 공간을 세분하여 분활하는 수개의 격벽(11)과,
    상기 격벽(11)의 단부를 케이싱(9a) 내벽과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이 이어 지도록 하는 유체 안내로(12)를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격벽(11)의 모서리를 곡선면(13)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KR2019960062430U 1996-12-30 1996-12-30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KR199800492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430U KR19980049265U (ko) 1996-12-30 1996-12-30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430U KR19980049265U (ko) 1996-12-30 1996-12-30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265U true KR19980049265U (ko) 1998-10-07

Family

ID=5400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430U KR19980049265U (ko) 1996-12-30 1996-12-30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2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63B1 (ko) * 2008-04-17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캐니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63B1 (ko) * 2008-04-17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캐니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3656B1 (en) Evaporative hydrocarbon emissions filter
US5355861A (e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JPH0571432A (ja) 蒸発燃料吸着用キヤニスタ
JP2002004956A (ja) 蒸発燃料放出防止装置
JP2002030998A (ja) 車両用キャニスタ
JPH10325369A (ja) キャニスタ
JP3449008B2 (ja) キャニスタ
KR19980049265U (ko)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증대장치
JP2004225550A (ja) キャニスタ
JPH0674107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5195884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861161A (ja) エンジンの蒸発燃料排出防止装置
JPH06280693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20240115986A1 (en) Self-cleaning air filter assembly
JPH04121451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517410Y2 (ko)
KR0124898Y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장치용 캐니스터
KR200150101Y1 (ko) 캐니스터의 먼지 유입방지장치
JP2910371B2 (ja) キャニスタ
JPS599077Y2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止装置
KR200316663Y1 (ko) 활성탄이 구비된 캐치탱크
JPS60206969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8135521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455247Y2 (ko)
KR100292675B1 (ko) 퍼지효율을 향상시킨 캐니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