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652U -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652U
KR19980048652U KR2019960061817U KR19960061817U KR19980048652U KR 19980048652 U KR19980048652 U KR 19980048652U KR 2019960061817 U KR2019960061817 U KR 2019960061817U KR 19960061817 U KR19960061817 U KR 19960061817U KR 19980048652 U KR19980048652 U KR 199800486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mper
outer frame
vehicle body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1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652U/ko
Publication of KR19980048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65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2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3)가 매설되어 있는 외곽틀체(4)와, 상기 외곽틀체(4)가 설치되는 차체(1)와, 상기 외곽틀체(4)와 차체(1)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범퍼 스테이(5)와, 상기 범퍼 스테이(5)내부에 홀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보강재(6)로 구성 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 충돌시 보강재(6)가 차체(1)에 직접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 함으로 차체(1)를 통해 객실내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체의 별형을 극소하시켜 승차원을 최대한 보호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본 고안은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범퍼 스테이 내에 홀을 만들고 그내부에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보강재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감소시켜 객실내로 전달되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한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차량의 대물충돌 도는 차량끼리의 충돌시에 있어서 차체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근래에는 외장 의장품으로서 조형상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또, 차체보호 성능으로 분류하면 8Km/h충돌상당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것과 그 이하의 것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범퍼의 일반적인 구조는 범퍼(2)의 외장으로 쓰이는 외곽틀체(4)와, 상기 외곽틀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3)와, 상기 외곽틀체(4)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라인호스먼트와 차체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종래 범퍼는 정면 충돌시 범퍼 스테이와 차체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충격에너지가 차체에 직접 전달되어 차체가 변형된다.
그러므로, 차체에 변형이 발생하면서 충격에너지가 직접 객실로 전달되어 승차원의 안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환화시킬 수 있는 보강부재를 범퍼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테이 내에 설치하여 승차원을 보호할 수 있는 범퍼의 충격흡수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안전도를 높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범퍼의 충격흡수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범퍼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범퍼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범퍼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범퍼
3 - 충격흡수 부재 4 - 외곽틀체
5 - 범퍼 스테이 6 - 보강재
7 - 압축 스프링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3)가 매설되어 있는 외곽틀체(4)와, 상기 외곽틀체(4)가 설치되는 차체(1)와, 상기 외곽틀체(4)와 차체(1)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범퍼 스테이(5)와, 상기 범퍼 스테이(5)내부에 홀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보강재(6)로 구성 되어진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차체(1)와 범퍼(2)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5)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차체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범퍼 스테이(5)로 부터 가해지는 그 충격을 보강재(6)가 완화시킴으로 충돌에너지가 객실내로 전달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에의 변형을 극소화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에 범퍼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자동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범퍼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범퍼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측단면도로써 범퍼 보강재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3)가 매설되어 있는 외곽틀체(4)와 차체(1)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범퍼 스테이(5)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틀체(4)와 차체(1)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5)의 내부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보강재(6)를 매설하게 되는것이다.
상기 충격흡수 부재(3)는 폴리 우레탄이나 폴리 프로필렌 등의 발포수지를 쓰며 충돌될 때 크게 부숴져 그 변형의 과정에서 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범퍼(2)의 외곽틀체(4)는 충격흡수 부재(3)와 같은 정도로 변형해서 충돌후는 복원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이나 연질의 폴리프로필렌 등 복원성이 좋은 재료가 쓰인다.
그리고, 충격 에너지는 외곽틀체(4)와 충격흡수 부재(3)를 통해 보강재(6)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6)는 그 내부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7)을 내장하여 차량의 충돌시 범퍼(2)의 변형에 의한 충돌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차체(1)에 전달도어지는 것을 감소 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6)는 범퍼 스테이(5)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재(6)의 일부가 범퍼 스테이(5) 전면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범퍼 스테이(5)전면에 홀을 성형하고 그 홀로 부터 보강재(6)의 일부가 돌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 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켜 그 충격 에너지가 객실내로 전달 되어지는것을 방지하여 차체의 변형을 극소화시켜 승차원을 최대한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 충돌시 보강재(6)가 차체(1)에 직접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 함으로 차체(1)를 통해 객실내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체의 별형을 극소하시켜 승차원을 최대한 보호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3)가 매설되어 있는 외곽틀체(4)와, 상기 외곽틀체(4)가 설치되는 차체(1)와, 상기 외곽틀체(4)와 차체(1)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범퍼 스테이(5)와, 상기 범퍼 스테이(5)내부에 홀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보강재(6)로 구성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KR2019960061817U 1996-12-30 1996-12-30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KR199800486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17U KR19980048652U (ko) 1996-12-30 1996-12-30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17U KR19980048652U (ko) 1996-12-30 1996-12-30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652U true KR19980048652U (ko) 1998-09-25

Family

ID=5400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817U KR19980048652U (ko) 1996-12-30 1996-12-30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6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8652U (ko) 범퍼의 충격흡수 장치
KR0175240B1 (ko) 강성 보강의 자동차용 임팩트 빔
KR10038035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KR200145817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200149002Y1 (ko) 자동차 범퍼 구조
KR200161432Y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20050000049A (ko) 자동차 범퍼
KR0137261Y1 (ko) 자동차의 충격완화 범퍼
KR200157406Y1 (ko) 차량용 범퍼
KR200146951Y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범퍼
KR19980059444A (ko) 자동차용 범퍼의 보강구조
KR200157407Y1 (ko) 차량용 범퍼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0154092B1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19980053030U (ko) 자동차용 범퍼의 코너부 보강구조
KR19980016979U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구조
KR20030073798A (ko) 자동차용 범퍼 보강구조
KR19980036024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9980049862U (ko) 차량 범퍼용 알루미늄 빔
KR20070021704A (ko) 에너지 압소바
KR20010046286A (ko) 충격 흡수용 댐퍼가 장착된 자동차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