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064U -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064U
KR19980048064U KR2019960061222U KR19960061222U KR19980048064U KR 19980048064 U KR19980048064 U KR 19980048064U KR 2019960061222 U KR2019960061222 U KR 2019960061222U KR 19960061222 U KR19960061222 U KR 19960061222U KR 19980048064 U KR19980048064 U KR 199800480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relay
worn
vehic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064U/ko
Publication of KR19980048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06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inhibiting the starter motor, e.g. by controlling ignition or park lo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8Current for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벨트를 미 착용시에는 경고등을 울리고 쉬프트 레버 스위치 신호가 차량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량의 출발을 방지하는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릴레이에 접속되며 타단이 접지되며 시동키가 켜진 상태에서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안전 벨트 스위치와, 입력 일단이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가 온 될 때 상기 전원 전류를 접지시키는 릴레이와, 일단이 상기 전원과 릴레이의 접지 단자의 접속부에 접속되며 출력이 모터 제어기에 접속되어 릴레이 동작시 전원 전류가 접지되어 입력 신호가 후단에 접속되지 않게되는 쉬프트 레버 스위치와, 상기 쉬프트 레버 스위치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레버 변동에 의해서 차량 구동 모터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와, 상기 모터 제어기 후단에 접속되어 챠량을 구동하는 차량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벨트를 미 착용시에는 경고등을 울리고 쉬프트 레버 스위치 신호가 차량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량의 출발을 방지하는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 사고에서 상당 부분이 안전 벨트 미 착용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나라에서는 법규로서 안전 벨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운전자가 이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순간적으로 이를 망각하고 운행을 한다는 것이다. 일단 차량을 운행하면 운전중에 안전 벨트를 착용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또한 운전중에 안전 벨트를 착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까지 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 과 같은 경고등을 사용하였다. 상기 경고등은 전원에 접속되어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채 시동키를 온 할 때 점등되고, 안전 벨트를 착용할 때 접지되어 경고등이 오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안전 벨트 경고등은 보통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의 일부분에 위치해서 급히 시동을 걸고 출발할 때에는 미처 보지 못하고 간과하는 때가 자주있다. 이러한 때는 안전 사고를 당할 때 치명상을 입을 수 있고 또한 단속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안전 벨트 미 착용시에는 경고등과 아울러서 차량이 출발되지 않게 된다면 운전자는 이를 간과함이 없이 안전 벨트를 필히 착용하여 이러한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 벨트를 미 착용하게 되면 시동을 걸어도 쉬프트 레버 스위치 신호가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지 않아서 모터가 구동되지 않아서 차량 출발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릴레이에 접속되며 타단이 접지되며 시동키가 켜진 상태에서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안전 벨트 스위치와, 입력 일단이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가 온 될 때 상기 전원 전류를 접지시키는 릴레이와, 일단이 상기 전원과 릴레이의 접지 단자의 접속부에 접속되며 출력이 모터 제어기에 접속되어 릴레이 동작시 전원 전류가 접지되어 입력 신호가 후단에 접속되지 않게되는 쉬프트 레버 스위치와, 상기 쉬프트 레버 스위치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레버 변동에 의해서 차량 구동 모터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와, 상기 모터 제어기 후단에 접속되어 챠량을 구동하는 차량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에는 경고등이 접속되어 안전 벨트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시동키가 작동될 때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 벨트 미착용시 점등되는 경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전 벨트 스위치 20: 경고등
30: 릴레이 40: 쉬프트 레버 스위치
50: 모터 제어기 60: 차량 구동 모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안전 벨트에 부착된 안전 벨트 스위치(10)는 오픈 온 스위치이다. 따라서 시동키가 온된 상태에서 안전 벨트가 착용되지 않으면 안전 벨트 스위치(10)가 온 되어 전원에 접속된 경고등(20)을 점등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 벨트가 착용되지 않아서 안전 벨트 스위치(10)가 온 되면 릴레이(30)가 작동하여 접점(B)이 온 된다. 이때 상기 릴레이의 후단이 접지되므로, 쉬프트 레버 스위치(40) 출력 신호는 모터 구동 제어기로 전달되지 않아서 차량 구동 모터를 구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챠량 운전자가 시동을 켠채 쉬프트 레버를 조작하여도 모터(60)를 구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제 운전자가 출발에 앞서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10)가 오프되어 경고등(20)이 오프된다. 동시에 상기 릴레이(30)가 오프되어 접점(B)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접지 단자가 떨어지고 쉬프트 레버가 동작함에 따라 스위치 레버 스위치 출력 신호가 후단의 모터 제어기(50)에 전달된다. 모터 제어기는 스위치 레버 스위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구동 모터(60)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차량은 전후방으로 출발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가 쉬프트 레버 스위치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릴레이 동작시 전원 전류를 접지시켜서 상기 레버의 입력 신호가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레이가 쉬프트 레버 스위치의 후단에 접속되어 안전 벨트 스위치가 착용되지 않았을 때 상기 레버 스위치 출력 신호를 접지시켜서 모터 구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기 자동차에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채 시동을 켜면 경고등이 점등됨과 동시에 릴레이를 통해서 쉬프트 레버 스위치 신호를 접지시키므로 차량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지 않게된다. 따라서 차량은 출발하지 않게 된다. 운전자는 이를 간파하고 안전 벨트를 착용하므로 안전 운행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전기 자동차를 예를 들어서 설명되었지만 약간의 변경만 가하면 이는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자동차에서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릴레이에 접속되며 타단이 접지되며 시동키가 켜진 상태에서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안전 벨트 스위치와, 입력 일단이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가 온 될 때 상기 전원 전류를 접지시키는 릴레이와, 일단이 상기 전원과 릴레이의 접지 단자의 접속부에 접속되며 출력이 모터 제어기에 접속되어 릴레이 동작시 전원 전류가 접지되어 입력 신호가 후단에 접속되지 않게되는 쉬프트 레버 스위치와, 상기 쉬프트 레버 스위치 후단에 접속되어 상기 레버 변동에 의해서 차량 구동 모터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와, 상기 모터 제어기 후단에 접속되어 챠량을 구동하는 차량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벨트 스위치에는 경고등이 접속되어 안전 벨트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시동키가 작동될 때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KR2019960061222U 1996-12-30 1996-12-30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KR199800480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222U KR19980048064U (ko) 1996-12-30 1996-12-30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222U KR19980048064U (ko) 1996-12-30 1996-12-30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64U true KR19980048064U (ko) 1998-09-25

Family

ID=5399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222U KR19980048064U (ko) 1996-12-30 1996-12-30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0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47A (ko) * 2015-03-16 2016-09-26 이지환 안전벨트 연동형 엔진 시동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247A (ko) * 2015-03-16 2016-09-26 이지환 안전벨트 연동형 엔진 시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8562B2 (en) Seat belt buckle engagement detector and seat belt system
KR19980048064U (ko)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JPH07251711A (ja)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0156408B1 (ko) 자동 비상등 작동시스템
KR100349740B1 (ko) 자동차용 시동장치
KR0184363B1 (ko) 차량의 등화장치점등시 도어로크방지시스템
KR19980051387U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시동 금지 장치
KR200170783Y1 (ko)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KR970039951A (ko) 자동차 시이트벨트 강제착용장치
KR19980056804A (ko) 전기자동차의 출발 방지 장치
KR19990020837U (ko) 시트벨트 착용시만 시동전동기가 작동하도록 한안전장치
KR100238415B1 (ko) 야간 정지시 턴 시그널 램프 제어 장치
KR970006296Y1 (ko) 차량의 후진등 제어회로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0175677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 확인장치
KR960004324Y1 (ko) 기어걸림 경고장치
KR19980048953U (ko) 자동차 시동회로
KR0149102B1 (ko) 공압작동식 변속장치 장착 차량의 리어스타트 장치
KR20020092759A (ko) 안전벨트 시동스위치
KR19980048698U (ko) 전기자동차의 출발 방지 장치
KR19980024246U (ko) 자동차용 체인지레버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9980023730U (ko) 헤드라이트 자동 온오프 장치
KR19980078217A (ko)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