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740B1 - 자동차용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740B1
KR100349740B1 KR1019990056719A KR19990056719A KR100349740B1 KR 100349740 B1 KR100349740 B1 KR 100349740B1 KR 1019990056719 A KR1019990056719 A KR 1019990056719A KR 19990056719 A KR19990056719 A KR 19990056719A KR 100349740 B1 KR100349740 B1 KR 100349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passenger
switch
driver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504A (ko
Inventor
윤승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7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회로를 개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강제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동장치{Star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회로를 개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강제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동장치는 배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스타터 모터 및 마그네틱 스위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이 되면 스타터 모터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솔레노이드 플렌져와 클러치쉬프트 레버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 피니언과 링기어가 맞물리게 되는 동시에, 마그네틱 스위치와 접촉되어 스타터 모터가 작동되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리트렉터, 웨빙가이드, 후크 및 버클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승객은 시트에 앉아 버클을 체결하고 후크로 자신의 체격에 맞게 조절하여 시트벨크를 착용한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승객은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무의식적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게 되는 한편, 법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감시자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으며, 또한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이를 경고하는 경고등이 있지만 강제성을 띠지 않게 되므로써, 상단수의 운전자 또는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운행 중 사고를 당해 중상 또는 사망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차량을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강제성을 띤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회로를 개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강제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 수단이 설치된 후크 고정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크 몸체 2 : 후크 고정부
3 : 고정 립 4 : 이동 립
5 : 힌지핀 6 : 스프링
7a, 7b : 접점단자 8 : 메인 스위치
8a : 오프접점 8b : 온접점
9a, 9b : 다이오드 10 : 제어 수단
11 트랜지스터 12 : 릴레이 X
13 : 릴레이 Y 14 : 경고등
15a : SW 1 15b : SW 2
16 : 승객 버클착용 감지스위치 17 : 운전자 버클착용 감지스위치
17a : 비착용접점 17b : 착용접점
18 : 승객탑승 감지스위치 18a : 비탑승접점
18b : 탑승접점 19 : 스타트 릴레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그니션 스위치(I.G SW)의 온 동작으로 시동을 걸어주는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I.G SW)의 동작으로 직접 시동을 걸어줄지 아니면 운전자 및 승객의 탑승 유무에 따라 시동을 온/오프시킬지를 선택하여 주는 메인 스위치(8)와, 상기 메인 스위치(8)의 온접점에 의해 승객의 탑승 유무를 제어하여 스타트 릴레이(19)를 구동시키는 제어 수단(10)과, 승객의 탑승, 버클 착용 및 후크의 고정 상태를 감지하는 승객상태 감지수단과, 운전자의 버클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운전자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 수단(10)은 운전자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7)의 온 동작으로 릴레이 Y(13)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11)와, 상기 트랜지스터(11)의 온으로 구동되는 릴레이 Y(13)와, 상기 메인 스위치(8)의 오프접점과 다이오드(9a) 사이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구동됨으로서 전원을 스타트 릴레이(19)로 공급시켜 종래의 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X(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객상태 감지수단은 승객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는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와, 승객의 버클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승객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6)와, 후크의 고정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수단(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수단(15)은 후크 고정부(2)의 고정 립(3)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힌지핀(5)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후단이 접지된 이동 립(4)과, 상기 이동 립(4)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 립(4)과의 접촉으로 페회로가 형성되는 접점단자(7a,7b)와, 상기 이동 립(4)의 후단과 후크 고정부(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 립(4)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 주고, 도 2는 본발명의 스위치 수단이 설치된 후크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시동을 걸어주기 않아 운전자 또는 승객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 스위치(I.G SW) 후단에 전원을 인가해주어 시동을 걸게 하는 오프접점(8a)과,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을 체결하지 않았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시동을 차단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온접점(8b)을 포함한 메인 스위치(8)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스위치(8)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 운전자가 오프접점(8a)에 스위치를 접점시키면 종래와 같이 작동되어 스타트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것이 스타터 모터를 구동하여 시동이 걸리게 된다.
단, 이 때 상기 스타터 모터 앞단에 설치된 스타트 릴레이(19)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제어 수단(10)의 릴레리 X(12)가 구동되어야 하고, 상기 릴레이 X(12)를 경유하여 공급된 전원이 스타트 릴레이(19)의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스위치의 접점이 닫히게 되어 상기 스타트 릴레이(19)를 통해 전원이 스타터 모터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메인 스위치(8)를 온접점(8b)에 놓게 되면, 종래와는 달리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시동이 걸리게 된다.
상기 메인 스위치(8)의 온접점(8b)을 통해 들어온 전원은 다이오드(9b)를 경유하여 스타트 릴레이(19)의 일측 접점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의 일측은 경고등(14)을 통해 운전자가 버클을 착용했는지 착용하지 않았는지를 감지하는 운전자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7)로 공급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운전자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7)에서 운전자가 버클을 착용하였을 때에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도통되어 릴레이 Y(13)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트랜지스터(11)로 공급되고, 또다른 일측은 상기 트랜지스터(11)의 도통으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코일을 여기시켜 스위치 접점을 닫아주어 스타트 릴레이(19)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릴레이 Y(13)에 공급된다.
만일 운전자가 버클을 착용하지 않았다면, 스위치가 비착용접점(17a)에 접촉되어 접지로 전류가 흘러 경고등(14)을 발광시켜 운전자에게 주위를 환기시켜준다.
그러나, 운전자가 버클을 착용하면, 스위치가 착용접점(17b)에 접촉되어 전원이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단에 공급되고, 이 전원에 의해 트랜지스터(11)가 도통된다.
한편, 운전자 옆 좌석에 승객의 탑승을 유무를 갑지하기 위한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가 후단은 접지되고, 비탑승접점(18a)은 후술하는 스위치 수단(15)의 SW 1(15a)에 연결되고, 탑승접점(18b)은 스위치 수단(15)의 SW 2(15b))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클 후크의 고정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후크 고정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 수단(15)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수단(15)은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벨트를 걸어주는 후크 몸체(1)상의 후크 고정부(2)에 설치된다.
후크 고정부(2)를 살펴보면, 상기 후크 고정부(2)와 고정되게 고정 립(3)이설치되고, 상기 고정 립(3)과 대향되면서 중간부가 상기 후크 고정부(2)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후단은 접지가 된 이동 립(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 립(4)의 좌우에는 접점단자(7a,7b)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 립(4)의 좌우 회전에 의해 이동할 때에 이동 립(4)의 끝단이 접점단자(7a,7b)와 접촉이 되어 폐회로가 구성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립(4)의 후단과 후크 고정부(2)와의 사이에는 스프링(6)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립(4)을 당겨주어 평상시에 항상 접점단자(7a)에 접촉되도록 탄성지지된다.이에 따라, 버클 후크를 후크 고정부(2) 내에 격납시킨 상태에서는 스위치 수단(15)의 SW1(15a)은 온되고 SW2(15b)는 오프되는 한편, 버클 후크를 후크 고정부(2)에 격납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위치 수단(15)의 SW1(15a)은 오프되고 SW2(15b)는 온된다.
따라서, 운전자 옆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는 비탑승접점(18a)이 온되고, 스위치 수단(15)으로 접지가 인가된다.그러나, 후크가 비격납시에는 SW1(15a)이 오프되므로, SW1(15a)에서 릴레이Y(13)로 접지회로가 구성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Y(13)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만일, 후크를 격납시키게 되면 SW1(15a)이 온되면서 시동을 위한 회로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 옆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는 탑승접점(18b)이 온되고, 벨트 착용과 함께 승객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6)도 온되며, 후크가 비격납시에는 항상 SW2(15b)가 온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11)와 릴레이Y(13)를 경유하여 들어온 전원이 폐회로로 구성(배터리 → 메인 스위치의 온접점(8b) →트랜지스터(11) →릴레이Y(13) →스위치 수단(15)의 SW2(15b) →승객 버클착용 감지스위치(16)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의 탑승접점(18b) →접지)되어 상기 릴레이Y(13)가 구동되면서 릴레이Y(13)의 스위치가 접점되어 스타트 릴레이(19)를 구동시켜 준다.
한편, 메인 스위치(8)의 각 접점(8a,8b)의 도선 끝단부에는 다이오드(9a,9b)가 설치되어 상기 각 접점(8a,8b)의 한쪽을 통해 들어온 전원이 다른쪽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동장치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버클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회로를 개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강제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그니션 스위치의 동작으로 시동을 걸어주는 수단과, 버클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과, 버클의 착용상태를 감지하여 그 착용유무에 따라 시동을 걸어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승객의 탑승상태를 감지하는 승객탑승 감지스위치(18)와 버클 후크의 고정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수단(15)의 신호를 제공받아 승객의 탑승유무와 버클 후크의 고정유무에 따라 시동을 걸어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15)은 후크 고정부(2)의 고정 립(3)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힌지핀(5)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후단이 접지된 이동 립(4)과, 상기 이동 립(4)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 립(4)과의 접촉으로 페회로가 형성되는 접점단자(7a,7b)와, 상기 이동 립(4)의 후단과 후크 고정부(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 립(4)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동장치.
KR1019990056719A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시동장치 KR100349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19A KR10034974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19A KR10034974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04A KR20010055504A (ko) 2001-07-04
KR100349740B1 true KR100349740B1 (ko) 2002-08-22

Family

ID=1962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719A KR10034974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19B1 (ko) * 2017-12-28 2019-07-17 이정일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04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9962C (en) Motor vehicle lighting system
KR100349740B1 (ko) 자동차용 시동장치
EP1803615A2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JPH07251711A (ja)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0131253B1 (ko) 드라이버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KR100280681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0140740Y1 (ko) 자동차용시이트트랙해제제어장치
KR200165821Y1 (ko)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KR19980048064U (ko) 전기 자동차의 안전 벨트 미 착용시 출발 방지 장치
KR970039951A (ko) 자동차 시이트벨트 강제착용장치
KR19990020837U (ko) 시트벨트 착용시만 시동전동기가 작동하도록 한안전장치
JP2008230338A (ja) 車両の照明装置
JPH0811679A (ja) シートベルト着用確認装置及び該装置用セイフティリレー
JPH115512A (ja) シートベルト強制装着装置
KR20020092759A (ko) 안전벨트 시동스위치
KR19980051387U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시동 금지 장치
KR200175677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 확인장치
KR200288850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KR200243989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미착용 알림장치
KR0126025Y1 (ko) 기어위치 검출을 위한 시동 통제장치
KR200192743Y1 (ko) 차량용 다기능 제어장치
KR0129125Y1 (ko) 차량의 자동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9980037383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KR970026559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당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