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821Y1 -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821Y1
KR200165821Y1 KR2019960065352U KR19960065352U KR200165821Y1 KR 200165821 Y1 KR200165821 Y1 KR 200165821Y1 KR 2019960065352 U KR2019960065352 U KR 2019960065352U KR 19960065352 U KR19960065352 U KR 19960065352U KR 200165821 Y1 KR200165821 Y1 KR 200165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hift lever
gear shift
actuat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173U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5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시트벨트 미착용 상태에서의 차량시동시 경보음발생과 함께 기어시프트레버를 구속시켜 운전자에게 시트벨트 착용을 인식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는, 시트벨트(1)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플레이트(2)와 : 상기 플레이트(2)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 발생장치(4) 및 액추에이터(5)를 통전시키는 점프스위치(6)와, 상기 액추에이터(5)에 의해 힌지(7)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어시프트레버(8)의 기어(3)를 구속시키는 스토퍼암(9)과; 상기 액추에이터(5)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시키는 파워트랜지스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본 고안은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시트벨트 미착용 상태에서의 차량시동시 경보음발생과 함께 기어시프트레버를 구속시켜 운전자에게 시트벨트 착용을 인식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2점식, 3점식, 4점식이 있다. 이것은 지지점의 수를 말하지만 안전성에서 볼 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현재로는 3점식이 보통이며, 뒷좌석에도 시트벨트가 부착된 차가 늘고 있다. 주행중에는 시트벨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40km/h의 충돌에서도 시트벨트의 착용유무에 따라 승객의 손상은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 시동시 경보음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주었기 때문에, 단순히 경보음만으로는 운전자에게 시트벨트의 착용유무를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종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시트벨트 미착용 상태에서의 차량시동시 경보음발생과 함께 기어시프트레버를 구속시켜 운전자에게 시트벨트 착용을 인식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벨트 2 : 플레이트
3 : 기어 4 : 경보음발생장치
5 : 액추에이터 6 : 점프스위치
7 : 힌지 8 : 기어시프트레버
9 : 스토퍼암 10 : 파워트랜지스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벨트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발생장치 및 액추에이터를 통전시키는 점프스위치와;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어시프트레버의 기어를 구속시키는 스토퍼암과, 상기 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시키는 파워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트벨트 미착용 상태에서의 차량시동시 경보음발생과 함께 기어시프트레버를 구속시켜 운전자에게 시트벨트 착용을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에는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가 도시되고 있는데, 도1의 도시와 같이, 시트벨트(1)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플레이트(2)와; 상기 플레이트(2)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발생장치(4) 및 액추에이터(5)를 통전시키는 점프스위치(6)와, 상기 액추에이터(5)에 의해 힌지(7)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어시프트레버(8)의 기어(3)를 구속시키는 스토퍼암(9)과; 상기 액추에이터(5)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시키는 파워트랜지스터(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벨트(1)는 텅(11)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2)는 텅(11)이 장착되는 버클(12)에 내장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 내에는 전자석(13)과 스토퍼암(9)에 연결되는 스틸피스톤(14)이 내장된다.
상기 점프스위치(6)는, 노멀 온 타입의 릴레이로서, 코일단이 상기 플레이트(2)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며, 2개의 스위칭단자중 일단은 상기 시동스위치(16)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경보음발생단자(4) 및 파워트랜지스터(10)에 접속됩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의 오프시에는 상기 점프스위치(6)가 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시동스위치(16)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경보음발생장치(4) 및 파워트랜지스터(10)로 출력시키고, 텅(11)과 버클(12)의 결합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2)의 온 스위칭시에는 상기 점프스위치(6)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어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4) 및 파워트랜지스터(10)로의 전류 출력이 차단되게 되는 것입니다.
도1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배터리, 16은 시동스위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운전자가 운전석에 승차후 차량시동시(시트벨트(1)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배터리(15)의 전류는 버클(12)로 통전되어진다.
시트벨트(1) 미착용시 버클(12) 내부의 플레이트(2)를 하향시키지 못해 배터리(15)의 전류를 점프스위치(6)로 통전시키지 못한다.
이에 의해 점프스위치(6)가 '온'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15) 전류는 경보음 발생장치(4)와 액추에이터(5)로 통전되어진다.
액추에이터(5)의 경우 배터리(15) 전류가 파워트랜지스터(10)에 의해 증폭된 후 전자석(13)에 인가되어 전자석(13)이 자화되어지고, 이에 의해 스틸피스톤(14)이 좌에서 우로 이동되어 스토퍼암(9)을 힌지(7)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어(3)를 구속함에 의해 기어시프트레버(8)가 구속되어진다.
한편, 시트벨트(1)의 착용시에는, 텅(11)이 플레이트(2)를 하강시켜 단자에 접촉함에 의해 전류를 점프스위치(6)로 통전시켜 점프스위치(6)를 '오프' 상태로 절환시킴 따라 경보음발생장치(4) 및 액추에이터(5)로 출력되던 전류가 차단되고, 이에 의해 스틸피스톤(14)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스토퍼암(9)이 기어(3)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킨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에서의 차량시동시 경보음발생과 함께 기어시프트레버를 구속시켜 운전자에게 시트벨트 착용을 인식시킬 수 있는 등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시트벨트(1)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플레이트(2)와, 상기 플레이트(2)에 의해 작동되어 경보음발생장치(4) 및 액추에이터(5)를 통전시키는 점프스위치(6)와; 상기 액추에이터(5)에 의해 힌지(7)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기어시프트레버(8)의 기어(3)를 구속시키는 스토퍼암(9)과; 상기 엑추에이터(5)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시키는 파워트랜지스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KR2019960065352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KR200165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352U KR200165821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352U KR200165821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173U KR19980052173U (ko) 1998-10-07
KR200165821Y1 true KR200165821Y1 (ko) 2000-01-15

Family

ID=1948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352U KR200165821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258B1 (ko) * 2015-09-16 2017-01-13 (주)보부하이테크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173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65240A (en) A safety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A2262962A1 (en) Automatic power cut-off device for emergency situations
US4410061A (en) Passive seatbelt system
US3784972A (en) Seat belt system
KR200165821Y1 (ko)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US6188312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stimulate a sleepy driver
KR200208821Y1 (ko) 지게차 안전장치
US6549123B1 (en) Automobile hood safety switch
KR0134317Y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KR100349740B1 (ko) 자동차용 시동장치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0128717Y1 (ko) 차량의 브레이크등 점등 확인 장치
JPH115512A (ja) シートベルト強制装着装置
JP2001161002A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KR970026568A (ko) 브레이크 연동식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KR200288850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KR100283328B1 (ko) 급정차시 비상 경고등 자동 점등 장치
KR200195827Y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경고장치
KR19980050763U (ko) 에어백 작동신호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안전장치
KR19990011518U (ko) 시트 벨트 미착용시 과속 방지 장치
KR19990020837U (ko) 시트벨트 착용시만 시동전동기가 작동하도록 한안전장치
JPH07137603A (ja) シートベルト非着用防止・エンジン始動法
KR19980048953U (ko) 자동차 시동회로
KR970039951A (ko) 자동차 시이트벨트 강제착용장치
KR19980053565U (ko) 안전 벨트 탈착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