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58B1 -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58B1
KR101696258B1 KR1020150130938A KR20150130938A KR101696258B1 KR 101696258 B1 KR101696258 B1 KR 101696258B1 KR 1020150130938 A KR1020150130938 A KR 1020150130938A KR 20150130938 A KR20150130938 A KR 20150130938A KR 101696258 B1 KR101696258 B1 KR 10169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nsor
black box
vehicl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희
Original Assignee
(주)보부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부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보부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13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8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sensing the amount of belt winded on re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6Unlocking devices for re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시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를 고의로 해제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부가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고, 버클 센서로부터 안전벨트 결속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탑승자의 이미지와, 상기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 상기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버클이 결속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non-wearing of the seat belt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시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를 고의로 해제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부가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는 차량의 급제동시, 추돌, 충돌시에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충격력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치명적인 부상을 막아주고, 물속 추락이나 전복시 2차 충격이 적기 때문에 의식을 빨리 회복하여 신속한 탈출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운전 중 불필요한 동작이 방지되어 올바른 운전 자세와 안정감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시야를 넓혀주고 운전 피로를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채 사고를 당할 경우, 탑승자는 핸들 및 대시보드 또는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유리창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2차 충격을 당하게 되어, 교통사고시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안전벨트는 그 착용의 번거로움과 안전벨트 착용시의 불편함 때문에 착용을 기피하는 운전자가 종종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미착용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동작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의 착용을 종용하는 종래의 장치는, 단지 안전벨트의 착용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경보음만 발생될 뿐 실질적인 강제수단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안전벨트의 버클에 착용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안전벨트의 클립이 결속되지 않은 채 운전하면 경찰서 등 관계기관에 이를 통보하여 벌과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안전벨트의 착용을 종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벨트 착용 유도 시스템은, 안전벨트의 클립과 동일한 모양의 모형을 안전벨트 버클에 삽입하는 등의 기피가 가능하여 운전자들이 이러한 클립 모형만을 끼우고 운행하게 되어 회피가 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완전한 착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하고, 또한, 운행이 시작된 후 안전벨트의 착용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주도록 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을 강제화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0956181(등록번호) 2010.04.27.
본 발명은, 전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시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를 고의로 해제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부가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고, 버클 센서로부터 안전벨트 결속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탑승자의 이미지와, 상기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 상기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버클이 결속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는 열화상의 촬영이 가능하며,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열화상을 입력받아 상기 탑승자의 이미지 추출 결과로부터 상기 탑승자의 머리 부분 체온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체온이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는 1열 좌석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와, 2열 좌석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의 운행 도중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 알전벨트의 권출량을 센싱하는 권출 센서;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무게값을 입력받고, 상기 버클 센서로부터 안전벨트 결속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권출 센서로부터 안전벨트의 권출량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무게 센서의 무게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권출 센서의 권출량이 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버클이 결속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버클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바이패스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무게 센서의 무게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바이패스 센서의 센싱값이 감지되면, 상기 권출 센서의 권출량이 설정값 이하 또는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버클이 결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더라도, 1회에 한하여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이패스 센서는 키박스 형태로 상기 안전벨트 버클에 구비되며, 차량의 키가 삽입된 후 회전되면 센싱값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의 운행 도중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시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열 뿐만 아니라 2열 이상의 좌석에도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함으로써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를 고의로 해제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부가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의무화 시스템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의무화 시스템의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의무화 시스템의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의무화 시스템의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블랙박스(100)에 전송하는 카메라(200)와,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300)와,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고, 버클센서로부터 안전벨트 결속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100)와, 블랙박스(100)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200)는,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을 블랙박스(100)에 알리는 역할을 하며, 차량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1열 및 2열 또는 그 이상의 좌석을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200)는 탑승자의 화상 영상 뿐만 아니라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여 블랙박스(100)에 전송함으로써, 블랙박스(100)로 하여금 좌석에 안착된 대상이 사람인지 화물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200)는 블랙박스(100)의 판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 좌석의 열별로 별도의 카메라(200)가 설치되며, 일반 4~5인승 세단 및 SUV의 경우 1열 좌석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210)가 차량 내부 천장의 전단 또는 앞유리의 내측 상단 부위에 설치되며, 2열 좌석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220)가 차량 내부 천장의 중단 부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3열 이상의 좌석이 설치된 차량의 경우 제 3 카메라(200)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200)가 시트의 열당 하나의 카메라(200)가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버클 센서(300)는, 안전벨트의 클립이 버클에 장착되었는지의 유무를 센싱하여 블랙박스(100)에 센싱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안전벨트의 버클에 구비된다. 이러한 버클 센서(300)는 각 좌석의 안전벨트 버클마다 구비된다.
블랙박스(100)는, 카메라(200)로부터 화상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을 입력받고, 버클 센서(300)로부터 안전벨트 결속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역할을 하며, 판별 결과에 따라 기어 조작부(500)의 록 설정 및 록 해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블랙박스(100)는 카메라(200)로부터 화상 영상을 입력받아 탑승자의 좌석 착석 여부와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블랙박스(100)는 사람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의 이미지를 복수개 저장하고 있으며, 화상 영상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된 이미지와 대조함으로써 사람이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블랙박스(100)는 카메라(200)로부터 열화상 영상을 입력받아 탑승자가 사람인지 화물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블랙박스(100)는 화상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이미지 중 사람의 머리 부분에 해당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열화상 영상의 온도, 즉 사람의 머리 부분 체온을 분석한 후 분석된 체온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체온은 사람의 평균 체온인 36.5도씨의 오차 범위 1도씨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나 오차 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블랙박스(100)는 버클 센서(300)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안전벨트가 제대로 결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블랙박스(100)는 화상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이미지의 판별 결과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고, 열화상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탑승자의 머리 부분 체온이 설정 범위 이내이며, 버클 센서(300)의 입력 정보를 토대로 버클이 결속된 것으로 판별되면 기어 조작부(500)의 록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때, 기어 조작부(500)의 록의 설정 및 해제는 블랙박스(100)가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ECU 등 차량 제어 장치(400)로 판별 결과를 전송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로 하여금 기어 조작부(500)의 록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한편, 블랙박스(100)는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되어 차량이 운행되는 도중 카메라(200) 또는 버클 센서(300)로부터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안전벨트의 착용이 해제되었음을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한다. 그리고,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시간을 측정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과태료의 부과 등 불이익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변에는 일정 거리마다 교통 정보 수집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수신하여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는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 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의 차량 넘버, 미착용 좌석 위치, 현재 GPS위치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서,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으로 하여금 안전벨트 미착용 과태료 부과시 어느 지점에서 어느 좌석의 안전벨트가 미착용이었는지를 함께 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어 조작부(500)는, 기어가 주차모드 또는 중립모드로부터 후진모드 또는 주행모드로 변환되도록 하는 기어박스 또는 미션의 기어변환장치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자동차의 기어봉에 연결된 어느 특정한 부속품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어 조작부(500)의 록 설정, 록 해제는 현재 시판되는 차량의 쉬프트록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으로서,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설정된 경우 기어는 주차모드 또는 중립모드로부터 후진모드 또는 주행모드로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설정된 경우 차량이 시동되더라도 주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기어 조작부(500)는 블랙박스(100) 또는 블랙박스(1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록이 설정 또는 해제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이 켜진 이후 카메라(200)의 촬영이 시작되고,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화상 영상 및 열화상 영상이 블랙박스(100)에 전송된다. 또한, 버클 센서(30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이 블랙박스(100)에 전송된다. 이후 블랙박스(100)로부터 탑승자가 탑승해있고, 안전벨트의 착용이 완료된 것으로 판별되면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가 설정시간 이상 감지된 경우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처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카메라(200)의 촬영 시점과 버클 센서(300)의 측정 시점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시점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600)와,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300)와, 안전벨트의 권출량을 센싱하는 권출 센서(310)와, 무게 센서(600)로부터 무게값을 입력받고, 버클 센서(300)로부터 안전벨트의 결속 정보를 입력받으며, 권출 센서(310)로부터 안전벨트의 권출량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100)와, 블랙박스(100)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게 센서(600)는, 차량 좌석의 좌판 또는 등받이에 구비되어서 차량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블랙박스(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게 센서(600)는 차량의 각 좌석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점을 이용한 탑승의 감지만 달성하여도 무방하나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여 전송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버클 센서(300)는, 안전벨트의 클립이 버클에 장착되었는지의 유무를 센싱하여 블랙박스(100)에 센싱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안전벨트의 버클에 구비된다. 이러한 버클 센서(300)는 각 좌석의 안전벨트 버클마다 구비된다.
권출 센서(310)는, 안전벨트의 권출 롤러에 구비되며, 안전벨트의 권출 정도를 센싱하여 블랙박스(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권출 센서(310)는 권출 롤러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방식 또는 안전벨트의 면에 구비된 체크포인트를 카운트하여 측정하는 방식 등 안전벨트의 권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무게 센서(600)로부터 무게값을 입력받아 각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인식하고, 권출 센서(310)로부터 안전벨트의 권출량 정보를 입력받아 무게가 인식된 좌석의 안전벨트가 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버클 센서(300)로부터 안전벨트의 결속 여부가 입력되면,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착용하였는지의 유무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에 따라 기어 조작부(500)의 록 설정 및 록 해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블랙박스(100)는 무게 센서(600)의 무게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 우선 좌석에 물체가 올려져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이때, 사람이 아닌 화물일 경우, 또는 응급 환자나 특정 장애를 갖는 장애인의 경우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블랙박스(100)는 해당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판별 없이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버클에 바이패스 센서(320)가 더 구비된다.
바이패스 센서(320)는 안전벨트의 버클에 키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차량의 키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내부의 센서에서 센싱값이 전송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센서(320)는 화물의 운송, 응급 환자의 후송, 특정 장애를 가진 장애인의 동승 등 부득이하게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 기어 조작부(500)의 록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러한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키를 버클에 삽입한 후 돌려 블랙박스(100)에 센싱값을 전송함으로써, 1회에 한하여 해당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유무와 관계없이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블랙박스(100)는 또한, 무게 센서(600)로부터 입력받은 무게값으로부터 탑승자의 체격을 추정한다. 무게 센서(600)로부터 탑승자의 몸무게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몸무게 대비 체격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벨트가 권출될 양을 계산하고, 설정된 오차 범위 내로 안전벨트가 권출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등뒤로 돌려서 단순히 버클에 결속하기만 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랙박스(100)는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되어 차량이 운행되는 도중 카메라(200) 또는 버클 센서(300)로부터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안전벨트의 착용이 해제되었음을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한다. 그리고,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시간을 측정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과태료의 부과 등 불이익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블랙박스(100)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재개되더라도, 안전벨트를 착용 해제한 후 모형 버클 등을 결속하는 등의 회피 동작을 차단하기 위하여 해당 안전벨트의 권출량이 차량 운행 시작 시점에 측정된 안전벨트의 권출량과 차이를 보이는 경우 역시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로변에는 일정 거리마다 교통 정보 수집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수신하여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는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 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의 차량 넘버, 미착용 좌석 위치, 현재 GPS위치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서,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으로 하여금 안전벨트 미착용 과태료 부과시 어느 지점에서 어느 좌석의 안전벨트가 미착용이었는지를 함께 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어 조작부(500)는, 기어가 주차모드 또는 중립모드로부터 후진모드 또는 주행모드로 변환되도록 하는 기어박스 또는 미션의 기어변환장치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자동차의 기어봉에 연결된 어느 특정한 부속품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어 조작부(500)의 록 설정, 록 해제는 현재 시판되는 차량의 쉬프트록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으로서,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설정된 경우 기어는 주차모드 또는 중립모드로부터 후진모드 또는 주행모드로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설정된 경우 차량이 시동되더라도 주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기어 조작부(500)는 블랙박스(100) 또는 블랙박스(1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록이 설정 또는 해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이후 무게 센서(600)의 센싱이 시작되고, 권출 센서(310)의 권출량이 블랙박스(100)에 전송된다. 또한, 버클 센서(30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이 블랙박스(100)에 전송된다. 이후 블랙박스(100)로부터 탑승자가 탑승해있고, 안전벨트의 착용이 완료된 것으로 판별되면 기어 조작부(500)의 록이 해제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가 설정시간 이상 감지된 경우 블랙박스(100)는 이러한 정보를 도로변에 일정 지점마다 설치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과태료 등의 불이익을 처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시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열 뿐만 아니라 2열 이상의 좌석에도 안전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함으로써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이 시작된 이후 안전벨트를 고의로 해제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불이익을 부가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100 : 블랙박스 200 : 카메라
300 : 버클 센서 310 : 권출 센서
320 : 바이패스 센서 500 : 기어 조작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량 좌석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안전벨트의 결속 유무를 센싱하는 버클 센서;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량을 센싱하는 권출 센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에 키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차량의 키가 삽입된 후 회전되면 센싱값을 발생시키는 바이패스 센서;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무게값을 입력받고, 상기 버클 센서로부터 상기 안전벨트의 결속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이패스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권출 센서로부터 상기 안전벨트의 권출량 정보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를 판별하는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판별 결과에 따라 록의 설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어 조작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무게 센서의 무게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권출 센서의 권출량이 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안전벨트가 결속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무게 센서의 무게값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바이패스 센서의 센싱값이 감지되면, 상기 권출 센서의 권출량이 설정값 이하 또는 상기 버클 센서의 입력 정보가 상기 안전벨트가 결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더라도, 1회에 한하여 상기 기어 조작부의 록을 해제하도록 하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의 운행 도중 안전벨트의 착용 해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를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제공하는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KR1020150130938A 2015-09-16 2015-09-16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KR101696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38A KR101696258B1 (ko) 2015-09-16 2015-09-16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38A KR101696258B1 (ko) 2015-09-16 2015-09-16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58B1 true KR101696258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938A KR101696258B1 (ko) 2015-09-16 2015-09-16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7222B2 (en) * 2018-04-11 2020-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to restrict vehicle seat movement
KR20210102501A (ko) * 2017-07-11 2021-08-19 웨이모 엘엘씨 차량 점유율 확인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17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JP2004161087A (ja) * 2002-11-12 2004-06-10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警報装置
KR100956181B1 (ko) 2008-03-03 2010-05-04 안진득 자동차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KR20100063394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17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기어시프트레버 연동식 시트벨트 제어장치
JP2004161087A (ja) * 2002-11-12 2004-06-10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警報装置
KR100956181B1 (ko) 2008-03-03 2010-05-04 안진득 자동차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KR20100063394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01A (ko) * 2017-07-11 2021-08-19 웨이모 엘엘씨 차량 점유율 확인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2355969B1 (ko) 2017-07-11 2022-02-08 웨이모 엘엘씨 차량 점유율 확인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0647222B2 (en) * 2018-04-11 2020-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to restrict vehicle seat mov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6491B2 (en) Occupant detection
US10493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oper application of a seat belt in a vehicle
CN105636829B (zh) 车辆辅助系统以及车辆
KR20100063394A (ko)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56181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EP2937251B1 (en) Seat belt posi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JP4355899B2 (ja) 車両デバイス制御装置
US7698037B2 (en) Seatbelt device for vehicle
EP2527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correct fastening of a seat belt
JP2006256597A (ja) 車両用乗員検知装置
KR101696258B1 (ko)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스템
EP2899062A1 (en) Seat bel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buckled state for a driver seat
JP2018176971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WO2017010115A1 (ja) 座席の位置判定装置
US6655718B2 (en) Safety restraint device for police vehicle
JP2016222145A (ja) 乗員拘束制御装置
CN110497880B (zh) 车辆座椅安全带装置
EP2839997B1 (en) Arrangement for control of vehicle seat belt alert arrangement, a seat, a vehicle, a method and use of the arrangement
KR10232230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JP2005280483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7137649B2 (en) Safety restraint device for police vehicle
US10906491B2 (en) Safety and comfort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device
JP200713717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2011129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EP2899061A1 (en) Seat bel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buckled state for a drive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