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19B1 -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919B1
KR102000919B1 KR1020170182507A KR20170182507A KR102000919B1 KR 102000919 B1 KR102000919 B1 KR 102000919B1 KR 1020170182507 A KR1020170182507 A KR 1020170182507A KR 20170182507 A KR20170182507 A KR 20170182507A KR 102000919 B1 KR102000919 B1 KR 10200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at
occupant
stag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199A (ko
Inventor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이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일 filed Critical 이정일
Priority to KR102017018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electr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2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s
    • B60Q2300/22Seat occup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10)가 구비된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착석센서부(20)를 통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1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벨트센서부(30)를 통해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2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3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3단계 판단이 이루어지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의 각각의 상태에 대해 화면상에서 각 단계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부(50) 상에 1단계∼3단계가 차례대로 오프(off)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on)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함으로써(touch) 차량의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하고,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니터링부(50)는 1단계∼3단계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를 포함하되,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가 on 되고,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및 2단계 감지램프(52)가 on 되며, 상기 3단계의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가 모두 on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Getting off confirm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전국적으로 운행되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버스의 사고 발생 건수가 연간 일천 여건에 달하고 있다. 이렇게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 사고의 빈발은 상당 수의 통학(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통원(학원, 체육시설)용 차량들이 안전에 무방비 상태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러한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 통학, 통원에 이용되는 차량에서 어린이가 안전한 승/하차 확인하는 것을 의무화 하도록 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2011년에 발의되었고, 2015년 초부터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대한 신고의무화가 시행되었다. 이는 승차 시 승차한 어린이 확인 및 승차 시간 기록, 하차 시 하차한 어린이 확인 및 하차 시간 기록을 의무로 부과하여서 실질적인 어린이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현실정을 살펴 보면 통학용 차량에 어린이 탑승자의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나, 어린이 교육기관에서는 인력 부족으로 차량에 어린이 탑승자의 하착 확인 여부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160225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10)가 구비된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착석센서부(20)를 통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1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벨트센서부(30)를 통해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2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3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3단계 판단이 이루어지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의 각각의 상태에 대해 화면상에서 각 단계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부(50) 상에 1단계∼3단계가 차례대로 오프(off)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on)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함으로써(touch) 차량의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하고,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니터링부(50)는 1단계∼3단계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를 포함하되,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가 on 되고,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및 2단계 감지램프(52)가 on 되며, 상기 3단계의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가 모두 on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어린이 교육 관련 종사자 들의 업무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의 실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작동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 순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시트(10),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전방카메라센서부(40) 및 모니터링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은 시트(10)가 구비된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착석센서부(2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12) 상에 어린이 탑승자가 착석하게 되는데, 이때 착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착석부(12) 상부표면에 착석센서부(20)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착석센서부(20)는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서 주로 엉덩이 부위가 착석되는 부위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어린이 탑승자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벨트센서부(3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벨트센서부(30)는 어린이 탑승자의 하차 확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 탑승자가 안전벨트(14)를 착용하였는지에 대한 유무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어린이 탑승자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방카메라센서부(4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카메라센서부(40)는 어린이 탑승자(10)를 직접적인 방식인 화면감지를 통해 탑승자의 하차 확인 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을 통해 운전자가 어린이 탑승자의 기분상태, 행동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 각각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화면부가 형성되는 모니터링부(50)가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 각각의 상태에 대해 화면 상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가 모두 off 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차량의 시동을 off 하기 위한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해야만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한다.
상기 모니터링부(50)의 다른 기능으로서, 상기 착석센서부(20)를 통해서는 어린이 탑승자가 착석부(12) 상에 제대로 앉아 있는지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벨트센서부(30)를 통해서는 어린이 탑승자가 안전벨트(14)를 하고 있는지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며, 상기 전방카메라센서부(40)를 통해서는 카메라 기능을 통해 운전자가 어린이 탑승자의 기분상태, 행동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어린이 탑승자에 대한 안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이용하여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그 일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착석센서부(20)를 통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벨트센서부(30)를 통해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 각각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부(50) 상에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가 모두 오프(off)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on)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함으로써(touch) 차량의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50)는 도 3에서와 같이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 각각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감지램프를 포함하여 각각의 온/오프(on/off) 판단 여부에 따라 감지램프가 온/오프(on/off)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의 작동 순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착석센서부(20)를 통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1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벨트센서부(30)를 통해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2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3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3단계 판단이 이루어지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의 각 단계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부(50) 상에 1단계∼3단계가 차례대로 오프(off)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on)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함으로써(touch) 차량의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상술된 일실시예 에서처럼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 각각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감지램프를 포함하여 각각의 온/오프(on/off) 판단 여부에 따라 감지램프가 온/오프(on/off)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순차적인 감지램프의 작동으로 운전자의 경계심을 유발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가 on 되고,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및 2단계 감지램프(52)가 on 되며, 상기 3단계의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가 모두 on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서의 어린이 탑승자의 감지 작동을 모니터링부(50)로 전달하여 그 모니터링부(50)의 화면을 통해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를 들면, 상기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가 모두 off 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차량의 시동을 off 하기 위한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등을 통해 즉,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고, 또한,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 등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 등에게 그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통학용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운전자 모니터링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적으로 인식시키고 나서야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 탑승자 하차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되는 여름철 질식사고 및 실종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어린이 교육 관련 종사자 들의 업무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시트 11 : 전방시트
12 : 착석부 14 : 안전벨트
20 : 착석센서부 30 : 벨트센서부
40 : 전방카메라센서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시트(10)가 구비된 차량 내에 어린이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부표면에 탑승자의 착석 압력에 의해 온(on)/오프(off)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착석센서부(20)를 통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1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시트(10)의 착석부(12) 상에 탑승자의 안전벨트(14) 착용에 따라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벨트센서부(30)를 통해 탑승자의 벨트 착용/해제 유무를 2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오프(off)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 시트(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시트(11) 후방측에 탑승자의 화면감지에 의해 온/오프 감지 작동되도록 설치된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10) 착석 유무를 3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1단계∼3단계 판단이 이루어지는 착석센서부(20), 벨트센서부(30) 및 전방카메라센서부(40)의 각각의 상태에 대해 화면상에서 각 단계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부(50) 상에 1단계∼3단계가 차례대로 오프(off)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50) 상에 시동오프작동부(58)가 생성되도록(on)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동오프작동부(58)를 터치함으로써(touch) 차량의 시동이 꺼지도록(off) 구성하고,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발광등, 알람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원 하차함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원 하차가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 교육관리자 또는 학부모에게 전원 하차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니터링부(50)는 1단계∼3단계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를 포함하되, 상기 1단계의 착석센서부(2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가 on 되고, 상기 2단계의 벨트센서부(3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및 2단계 감지램프(52)가 on 되며, 상기 3단계의 전방카메라센서부(40)에서 온(on)으로 판단되면 1단계 감지램프(51), 2단계 감지램프(52) 및 3단계 감지램프(53)가 모두 on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6. 삭제
KR1020170182507A 2017-12-28 2017-12-28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KR10200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07A KR102000919B1 (ko) 2017-12-28 2017-12-28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07A KR102000919B1 (ko) 2017-12-28 2017-12-28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99A KR20190080199A (ko) 2019-07-08
KR102000919B1 true KR102000919B1 (ko) 2019-07-17

Family

ID=6725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07A KR102000919B1 (ko) 2017-12-28 2017-12-28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406B1 (ko) 2020-01-15 2020-08-26 (주)프로맥스 통학차량의 어린이 착석확인용 시트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1752A (zh) * 2019-09-02 2021-12-10 江苏科技大学 一种基于校车安全装置巡更的实现方法
CN110949194B (zh) * 2019-12-30 2021-08-17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座椅侧面碰撞断电机构及汽车电动座椅
KR102549382B1 (ko) * 2021-02-25 2023-06-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40B1 (ko) * 1999-12-10 2002-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장치
KR20100063394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250B1 (ko)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406B1 (ko) 2020-01-15 2020-08-26 (주)프로맥스 통학차량의 어린이 착석확인용 시트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99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919B1 (ko) 어린이 통학용 차량의 하차 확인 시스템
US200401137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n operator to the presence of an occupant in a vehicle
KR101877673B1 (ko) 어린이 탑승 차량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97187B1 (ko)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9165460B2 (en)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EP2008257A2 (en) Protecting children and passengers with respect to a vehicle
CN106004653A (zh) 车内生命体征报警装置及报警方法
WO2014072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tems have been left in vehicles
KR20140132605A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CN106934988A (zh) 车辆后排遗留儿童的提醒方法和系统
WO201618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bjects have been left in unattended vehicles
BR112020019229A2 (pt) Sistema de detecção de atividades de risco ao dirigir com base no controle da posição de ambas as mãos segurando o volante.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195926B1 (ko)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WO2015118569A1 (en) Child car seat with forgotten-child alarm system
JPH08119111A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KR20090043221A (ko) 운전자 상태 맞춤형 차선 이탈 방지 경고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570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130128054A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050086107A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JP6755047B2 (ja) シートベルトの着脱状況確認装置
KR20230124813A (ko) 우회전 차량 안전 확보 시스템
KR101611926B1 (ko)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KR20130037813A (ko) 방향 지시등 시스템
CN207458294U (zh) 防儿童被困车内安全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