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579A - 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579A
KR19980047579A KR1019960066085A KR19960066085A KR19980047579A KR 19980047579 A KR19980047579 A KR 19980047579A KR 1019960066085 A KR1019960066085 A KR 1019960066085A KR 19960066085 A KR19960066085 A KR 19960066085A KR 19980047579 A KR19980047579 A KR 19980047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ork table
support fram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성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579A/ko
Publication of KR1998004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579A/ko

Link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의 성격에 따라 테이블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특징에 의한 작업 테이블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정렬공(11)이 형성된 선반(10)과, 상기 정렬공(11)을 통하여 작업물이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선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1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경사각 조절수단과,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작업물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반을 작업자가 작업하기 손쉬운 위치로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테이블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3A도 및 제 3B도는 본 발명 중심축 연결부재를 나타낸 각각의 실시예;
제 4A도 및 제 4B도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선반11:정렬공
21:고정편22:고무패드
23:너트30:고정프레임
41:중심축42:연결부재
43:실린더51:공압 또는 유압 공급라인
52:조작부재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성격에 따라 테이블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테이블을 일정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고정된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었다. 따라서 정해진 작업에는 편리할 수 있으나 다른 작업에 사용하게 되면 불편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테이블에서 여러 가지 공정의 작업을 병행할 경우 이러한 요로소 말미암아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물의 공정을 간편하게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작업 테이블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정렬공이 형성된 선반과, 상기 정렬공을 통하여 작업물이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선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을 전후 또는 좌우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경사각 조절수단과,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ㄱ자 모양으로 벤딩된 고정편과, 이 고정편의 하단에 상기 정렬공에 삽입되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나사부와, 상기 벤딩된 부위에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피고정물에 접하는 고무패드와, 상기 선반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부위 상하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이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은 선반의 하단 중심과 지지프레임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지지고정하는 중심 연결부재와, 상기 선반하단의 전후 및 좌우의 중심부에 각각 고정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전후 좌우 4개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볼 조인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위해 각각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라인과, 상기 공압라인을 제어하는 조작부재로 구성된다.
이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전후 실린더 또는 좌우 실린더를 동시에 동작시키되 일측의 실린더가 이완되면 타측의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테이블에 형성된 정렬홀과 고정부재를 통하여 일정 위치의 고정과 하단에 연결된 실린더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작업 테이블은 소정 크기를 갖는 선반(10)과, 상기 선반에 고정되어 작업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선반(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선반(10)이 상기 지지프레임(30)에 유동되도록 연결하는 중심축(41) 및 4개의 실린더(42)와, 상기 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10)은 상기 고정부재(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정렬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는 ㄱ자 모양으로 벤딩되고 하단이 상기 정렬공(11)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나사부(21a)가 형성된 고정편(21)과, 피작업물에 접촉되는 고정편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된 고무패드(22)와, 상기 고정편을 선반(1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23)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41)은 상기 선반(10)이 이 중심축을 자유자재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선반과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상·하 중심축(41a), (41b)을 연결부재(42)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제 3A도 및 제 3B도는 상기 연결부재대한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는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와 볼 조인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43)를 동작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급라인(51)과, 각각 실린더(43)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조작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재(52)는 전후 실린더 또는 좌우 실린더(43)를 동시에 동작시키되 일측의 실린더가 이완되면 다향된 타측의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제어한다. 조작부재로는 조작레버 또는 조작스위치를 사용한다.
제 2도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작업 테이블의 조립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도는 상기 고정부재를 통한 피작업물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하고자 하는 피 작업물을 선반(1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할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의 정렬공(11)에 고정편(21)의 나사부(2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된 너트(23)를 풀거나 죄여 적절히 조절한다. 그리고 선반의 하단에서 하부 너트(23)를 죄여 고정부재에 패드(23)부위가 피작업물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 5A도 및 제 5B도는 각각 작업자가 선반(10)을 작업에 용이하도록 일정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조작부재(52)를 통하여 테이블을 원하는 위치로 조작한다.
만약 좌우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부재(52)에 의해 유압(또는 공압)이 공급라인(51)을 통하여 좌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중 일측의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제공되고 다른 일측의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제 5A도는 좌측으로 선반(10)이 경사지도록 조작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부재(52)를 조작하여 전방에 위치한 실린더에 피스톤이 신장되도록 유압을 제공하고 후방에 위치한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수축되도록 조작하면 된다(데 5B도 참조). 선반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실린더가 제 5B도의 경우와 반대로 조작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 및 동작관계를 갖는 본 발명은 작업물이 일정위치에 고정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반의 작업자가 작업하기 손쉬운 위치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므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정렬공(11)이 형성된 선반(10)과,
    상기 정렬공(11)을 통하여 작업물이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선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1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하는 경사각 조절수단과,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ㄱ자 모양으로 벤딩된 고정편(21)과, 이 고정편의 하단에 상기 정렬공(11)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나사부(21a)와, 상기 벤딩된 부위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피고정물에 접하는 고무패드(22)와, 상기 선반(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부(21a)의 상·하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23)로 구성되는 작업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은 선반(10)의 하단 중심과 지지프레임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지지고정하는 중심축(41)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2)와, 상기 선반하단의 전후 및 좌우의 중심부에 각각 고정된 연결브라켓(12)과,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된 전후 좌우 4개의 실린더(43)로 구성된 작업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2)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사용한 작업 테이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2)는 볼 조인트를 사용한 작업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43)의 동작을 위해 각각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라인(50)과, 상기 공압라인을 제어하는 조작부재(50)로 구성된 작업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는 전후 실린더 또는 좌우 실린더를 동시에 동작시키되 일측의 실린더가 이완되면 타측의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제어하는 작업 테이블.
KR1019960066085A 1996-12-16 1996-12-16 작업 테이블 KR19980047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085A KR19980047579A (ko) 1996-12-16 1996-12-16 작업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085A KR19980047579A (ko) 1996-12-16 1996-12-16 작업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579A true KR19980047579A (ko) 1998-09-15

Family

ID=6644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085A KR19980047579A (ko) 1996-12-16 1996-12-16 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5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79A (ko) * 2014-06-27 2016-01-06 김정환 금속 플레이트 자동절제장치
CN110014089A (zh) * 2019-04-16 2019-07-16 象山华隆模架有限公司 一种斜度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79A (ko) * 2014-06-27 2016-01-06 김정환 금속 플레이트 자동절제장치
CN110014089A (zh) * 2019-04-16 2019-07-16 象山华隆模架有限公司 一种斜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44B1 (ko) 클램핑 장치
US6973856B2 (en) Screw tightening apparatus
KR0138722B1 (ko) 작업기의 전도 보호구조(Roll Over Protection System)
US5429336A (en) Wall rack having a turnable support frame and a plastic bushing in a pivot seat thereof
US5383706A (en) Adjusting assembly for bicycle seat
KR19980047579A (ko) 작업 테이블
US4570914A (en) Power operated clamp
US2925001A (en) Portable drill press device
GB9813055D0 (en) Detachable front loader
JP2001211517A (ja) 配電線作業ロボット
JP2001334426A (ja) 汎用式治具における機種切換装置
JP2559651Y2 (ja) 田植機の植付部支持構造
US20130153727A1 (en) Infinite axial adjustment mount
JPH06143063A (ja) 卓上ロボット装置
CN216179929U (zh) 定位夹具
JP2947406B2 (ja) 組立ロボット用ワ−ク位置決め装置
CN213258170U (zh) 一种灵活调整支撑位置的支撑装置
CN219036141U (zh) 可调式驱动装置
CN210677831U (zh) 一种球头钻孔用专机
JPH0635356U (ja) 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KR960008715Y1 (ko) 작업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앵글도자
CN114619323A (zh) 一种治具
CN111941464A (zh) 一种焊接机器人组装平台
KR0159196B1 (ko) 전,후 및 상,하이동 조절가능한 작업 다이장치
JPH0664900A (ja) フォークシ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