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350U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350U
KR19980047350U KR2019960060506U KR19960060506U KR19980047350U KR 19980047350 U KR19980047350 U KR 19980047350U KR 2019960060506 U KR2019960060506 U KR 2019960060506U KR 19960060506 U KR19960060506 U KR 19960060506U KR 19980047350 U KR19980047350 U KR 19980047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motor
steering shaft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0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350U/ko
Publication of KR19980047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35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62D5/0412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the axes of motor and steering column being parallel
    • B62D5/0415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the axes of motor and steering column being parallel the axe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조향축이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를 일단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랙을 연결하는 제 2 조향축의 외부하우징에 구동모터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는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프라인 하우징을 형성하고, 모터의 출력구동부가 회전시 스프라인 하우징에 끼움결합된 상기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을 회전시켜 랙을 유동하는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릴레이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본 고안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조향축이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를 일단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랙을 연결하는 제 2 조향축의 외부하우징에 구동모터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는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프라인 하우징을 형성하고, 모터의 출력구동부가 회전시 스프라인 하우징에 끼움결합된 상기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을 회전시켜 랙을 유동하는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릴레이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로써,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 조향기어, 조향 링크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조향축을 거쳐서 그의 하단에 장치된 조향기어에 전달되며, 이 기어의 회전으로 피트먼 암을 움직인다. 이 운동은 또다시 링크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앞바퀴에 전달되며, 바퀴를 선회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한편, 조향의 조작을 조향기어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의 편의를 위해 통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자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2분할 하고 있으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을 일정각도로 움직이는 틸트 기능을 삽입시킨다.
따라서 최초 운전시 운전석 시트의 상태와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 및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전후 및 상하로 가변시켜 운전하기 편한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할 수 있는 틸트(tilt)기능과 스티어링 휠을 상하로 가변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기능을 갖는 관절형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12)과 상기 스티어링 휠(12)의 조작을 바퀴에 전달되도록하는 스티어링 컬럼(14)과, 텔레스코픽기능을 위하여 스티어링 컬럼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어퍼 메인축과 로어 메인축은 세레이션으로 결합되며, 전후 유동을 가능토록 바디와 스티어링 컬럼 사이를 연결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16, 17)와, 상하 및 전후로 세팅후 이를 고정하는 고정레버(13)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11)에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15는 차량충돌후 2차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어퍼 샤프트 튜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에 있어서의 관절형 스티어링 컬럼은 고정레버(13)를 위로 회전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컬럼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전후 이동일 때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1)을 중심으로 이동 하되, 스티어링 컬럼 중간에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16)와 파워 스티어링 유니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7)의 회전지지 작용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하로 움직일 때는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세레이션 결합된 어퍼 메인축과 로어 메인축을 일정길이 분리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세팅작업이 끝나면 고정레버를 아래로 하강시켜 움직인 상태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으로 경차량에 사용되는 스티어링 칼럼 조작 보조장치로써, 제 1 조향축(1)에 피니언 기어(2)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를 모터(3)의 워엄기어(4)로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모터(3)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신호를 인가받아 스티어링 휠(12)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때 모터(3)의 회전력이 빠르기 때문에 모터(3)의 종축 회전력을 피니언 기어(2)의 평축회전력으로 변환시키면서 동시에 일정속도로 감속시켜 조향축의 회전력을 보조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면 스티어링 휠을 이용하여 조향력을 제공할 때 손에 많은 힘이 들지않고, 쉽게 돌릴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조향축 구동용 모터와 차량의 릴레이 박스가 서로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스티어링 칼럼 주변에 설치되는 릴레이와 케이블 및 컨넥터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으로 인한 워엄기어의 회전으로 릴레이 박스가 망가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제 2 조향축에 모터를 설치하고, 하부에 스프라인 하우징 형태로 제작하여 제 2 조향축에 형성된 스프라인 축에 끼움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 박스를 보호하면서 종래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축을 구동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제 1 조향축이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를 일단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랙을 연결하는 제 2 조향축의 외부하우징에 구동모터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는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프라인 하우징을 형성하고, 모터의 출력구동부가 회전시 스프라인 하우징에 끼움결합된 상기 제 2 조향축의 스프라인 축을 회전시켜 랙을 유동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일 관절형 스티어링 컬럼의 구조도.
도 2는 일반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칼럼의 구조도.
도 3은 일반적인 스티어링의 주변 릴레이 배치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칼럼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조향축 2: 피니언 기어
3: 모터 3-1: 스프라인 하우징
4: 워엄기어 5: 유니버셜 조인트
6: 제 2 조향축 6-1: 스프라인 축
7: 랙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제 1 조향축(1)이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5)를 일단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랙(7)을 연결하는 제 2 조향축(6)의 외부하우징에 구동모터(3)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3)는 제 2 조향축(6)의 스프라인 축(6-1)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프라인 하우징(3-1)을 형성하고, 모터의 출력구동부가 회전시 스프라인 하우징(3-1)에 끼움결합된 상기 제 2 조향축(6)의 스프라인 축을 회전시켜 랙(7)을 유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면 제 1 조향축(1)이 구동되고 동시에 유니버셜 조인트(5) 및 제 2 초향축(6)을 거쳐 랙(7)을 구동시켜 휠의 조향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3)는 스티어링 휠(12)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 2 조향축(6)에 제공한다.
상기 모터(3)는 제 2 조향축(6)의 외주에 결합되어 제 2 조향축(6)의 스프라인 축(6-1)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장치는 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릴레이와 조향축 구동용 모터가 간섭이 일어나지만, 본 고안은 상기 모터의 작용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또한 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각종 릴레이단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 2 조향축에 모터를 설치하고, 하부에 스프라인 하우징 형태로 제작하여 제 2 조향축에 형성된 스프라인 축에 끼움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 박스를 보호하면서 종래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축을 구동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 1 조향축(1)이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5)를 일단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랙(7)을 연결하는 제 2 조향축(6)의 외부하우징에 구동모터(3)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3)는 제 2 조향축(6)의 스프라인 축(6-1)에 끼움결합되도록 스프라인 하우징(3-1)을 형성하고, 모터의 출력구동부가 회전시 스프라인 하우징(3-1)에 끼움결합된 상기 제 2 조향축(6)의 스프라인 축을 회전시켜 랙(7)을 유동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KR2019960060506U 1996-12-28 1996-12-2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KR199800473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506U KR19980047350U (ko) 1996-12-28 1996-12-2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506U KR19980047350U (ko) 1996-12-28 1996-12-2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350U true KR19980047350U (ko) 1998-09-25

Family

ID=539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506U KR19980047350U (ko) 1996-12-28 1996-12-28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3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5755A (zh) * 2019-09-06 2019-11-12 上海联适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系统及其自动驾驶转向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5755A (zh) * 2019-09-06 2019-11-12 上海联适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系统及其自动驾驶转向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684A (en) Vehicle steering mechanism
US5002142A (en) Vehicle steering system
EP2033874B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CN105172877B (zh) 单一电机式的电机驱动柱装置
JPH0372510B2 (ko)
JP2600334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9980047350U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KR19980047351U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기어 부착구조
JP2690230B2 (ja) ステアリング伝達装置
WO2020213546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0130512B1 (ko) 자동차 조향장치
KR19980033789U (ko) 단일 관절형 스티어링 칼럼
JP2947815B2 (ja) 車両の操舵装置
KR200340027Y1 (ko) 전동식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9980035575A (ko) 3절링크형 조향조작장치
JP2946530B2 (ja) 船外機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85629Y1 (ko) 자동 조향장치
JP2773246B2 (ja) 船外機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23725B1 (ko) 제롤 베벨기어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조향장치
KR890001635Y1 (ko)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KR20050060876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회전수 제한장치
KR19990015759U (ko) 스티어링 칼럼 콜랩스장치
KR960006459Y1 (ko) 자동차의 조향핸들(steering wheel) 자동복원장치
KR20230130874A (ko)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KR19980067145A (ko) 자동차의 충격흡수형 편심 조향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