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635Y1 -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635Y1
KR890001635Y1 KR2019860004537U KR860004537U KR890001635Y1 KR 890001635 Y1 KR890001635 Y1 KR 890001635Y1 KR 2019860004537 U KR2019860004537 U KR 2019860004537U KR 860004537 U KR860004537 U KR 860004537U KR 890001635 Y1 KR890001635 Y1 KR 890001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otor
worm
wheels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424U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김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김삼권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2019860004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635Y1/ko
Publication of KR870016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제1도는 전방향 추진차량에 있어서 차륜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통상적인 전후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b)는 측방향 추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c)는 피보트 회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 차륜 각도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전륜 각도변환기구의 일부 단면도, b)는 후륜 각도변환기구의 일부 평면도.
제3도는 후륜 각도변환기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과 함께 전방향 추진차량을 구현하는 차동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전륜 각도변환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2 : 리이드 스크류
3 : 슬라이드관 4 : 블래키트
5 : 차륜접속부 6 : 고정축
7 : 워엄휘일 8 : 워엄모우터
9 : 워엄
본 고안은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향 추진차량이라 함은 전, 후진은 물론 측방 추진 및 피보트 회전에 이르기까지 주위 어느 방향으로도 추진이 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차륜에 의해 주행되는 차량은 조향장치와 차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전륜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차동장치는 조향시 종감속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차륜주행 차량에서는 진행방향에 대한 조향이 가능할뿐, 전방향 추진은 구조상 불가능하다. 전방향 추진차량이 구비해야 할 조건은 전, 후진 주행시에는 통상적인 차량과 동일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측방추진이나 피보트 추진이 가능하도록 전후 차륜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으며, 전, 후 차륜이 상호 대향하는 측과 반대방향으로 주행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방향 추진차량은 통상적인 차량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의 전방향 조향장치와 차동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제1도 a)의 도시와 같이 구조적으로는 앞차축 A와 뒷차축 B에 각각 전, 후륜 C, D가 장치되고, 전륜C는 조향기어 E에 의해 연동되는 타이로드 F와 연결되어 통상적인 조향이 가능하고, 뒷차축 B에는 차동장치 G가 설치되어 조향시 종감속이 되도록 구성하여 전, 후진시에는 통상적인 차량과 동일한 기능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한편으로, 전, 후륜 C, D에는 제1도 b)의 도시와 같이 차체에 대해 직교하는 자세로, 또는 제1도 c)의 도시와 같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평행하는 자세가 될 수 있게 변환할 수 있어야 측방추진과 피보트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전방향 추진차량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륜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는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륜각도 변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a)의 도시와 같이 중공상 타이로드 F의 내부에 모우터(1)을 설치하고 이 모우터(1)의 회전축에 형성된 리이드 스크류(2)를, 중공상 타이로드 F의 일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관(3)에 나사 맞춤시키며, 이 슬라이드관( 3)의 돌출단부를 전륜 C의 너클아암에 연결시키는 한편, 뒷차축 B의 양단에는 제2도 b)의 도시와 같이 블래키트(4)를 설치한다.
이 블래키트(4)에 차륜접속부(5)의 고정축(6)을 추축연결하여 일체화함과 아울러, 고정축(6)의 상단에 워엄휘일(7)을 고정 부착한다.
워엄휘일(7)은 뒷차축 B에 고정 지지되는 워엄모우터(8)로부터 연장된 워엄 (9)와 치차 맞춤된다.
뒷차축 B의 내부에서 후륜 D와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켜주는 구동축(10)은 만능이음축(11)을 개재하여 후륜 D에 연결됨으로써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워엄휘일(7)에 종동되어 워엄(9)이 회전함에 따라 차륜접속부(5)가 뒷차축 B에 대해 굴곡되어도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서 타이로드 F의 모우터(1)과 뒷차축 B의 워엄모우터(8)은 운전석에서 공지의 원격제어 방식에 따라 조정되어 필요시 전, 후륜 C, D를 제1도 b) 또는 c)의 도시와 같은 자세로 변환시켜 준다.
즉, 측방추진 또는 피보트 회전을 행할 필요가 생기면 전, 후륜 C, D가 사전에 정해진 각도로 자세 변환될 때까지 모우터(1)과 워엄모우터(7)이 구동된다.
모우터(1)이 구동되면 슬라이드관(3)이 타이로드 F의 내부에서 돌출 연장되면서 전륜 C를 대칭방향으로 밀어제껴 자세가 변환되도록 해주고, 워엄모우터(7)이 구동되면 워엄휘일(7)이 선회할때 차륜접속부(5)와 함께 선회하여 후륜 D를 자세 변환시켜 주게 된다.
모우터(1)과 워엄모우터(7)의 제어는 전, 후륜 C, D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정지명령을 내리는 수단 예컨대 공지의 리미트 스잇치 혹은 펄스발생기등에 의해 간단히 행해질 수 있으며 모우터의 최초 구동신호는 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전기한 위치 감지수단과 장애를 일으키는 일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측방추진과 피보트 회전시에는 차축에 대하여 차륜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 문제는 본 고안과 함께 전방향 추진차량을 구현하는 차동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양단에 차륜접속부(5)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후차축 B의 내부에서 후륜 D를 구동시켜주는 구동축(10)을 차동장치 G와 동력연결시킴에 있어서 차동장치 G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주구동축 G1, G2와의 사이에 각각 베벨기어군 G3, G4를 개재시켜 연결하는 한편, 일측 베벨기어군 G3에는 방향전환기어 G5를 부설하여 준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차동장치 G로부터의 동력은 양 구동축(10)에서 동일 회전방향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이는 통상적인 전, 후진시의 상태가 된다.
만약 적당한 조작에 의해 방향전환기어 G5가 베벨기어군 G3사이에 개재되어 주구동축 G1의 동력이 베벨기어, 방향전환기어, 베벨기어, 동력축 순으로 전달된다면 양 동력축(10)의 회전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되어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차동장치에 의하면 측방추진이나 피보트 회전시에도 차륜은 원활하게 전동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전륜 C를 자세 변환시키기 위한 타이로드 F의 일부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타이로드 F의 내부에 슬라이드관(3)이 삽입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관(3)이 리이드 스크류(2)를 타고 이동하는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나, 모우터(1)은 타이로드 F의 외부에 설치되고, 모우터(1)의 선단측 워엄(1')가 리이드 스크류(2)의 워엄휘일(2')에 치차 연결된 구성에 다소 차이가 있다.
상기한 방식은 타이로드 F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드관(3)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차량에 적합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 변형예외에도 여러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관(3)의 이동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내에서 출몰하는 피스톤과 같은 것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 경우의 유압 공급원은 유압 모우터가 된다.

Claims (1)

  1. 모우터(1)에 의해 회전하는 리이드 스크류(2)를 타고 타이로드 F의 내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슬라이드관(3)의 선단부를 전륜 C의 너클아암과 연결시키고, 뒷차축 B의 양단에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차륜접속부(5)의 고정축(6)에 고정 부착된 워엄휘일(7)을, 뒷차축 B에 고정지지된 워엄모우터(8)의 워엄(9)와 치차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KR2019860004537U 1986-04-09 1986-04-09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KR890001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37U KR890001635Y1 (ko) 1986-04-09 1986-04-09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37U KR890001635Y1 (ko) 1986-04-09 1986-04-09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424U KR870016424U (ko) 1987-11-30
KR890001635Y1 true KR890001635Y1 (ko) 1989-04-07

Family

ID=1925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537U KR890001635Y1 (ko) 1986-04-09 1986-04-09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6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424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142A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4741409A (en) Electric steering system for automobiles
JP3521249B2 (ja) 自動車の舵取り装置
US5180180A (en) Wheel supporting apparatus
US5154437A (en)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independent steering for each wheel
US5289891A (en) Rear-wheel steering apparatus for wheeled vehicle
CA1266620A (en) Actuator for steering the rear wheels in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device for vehicle
US4842090A (en) Electrically power-assisted four-wheel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JPH0427067B2 (ko)
KR890001635Y1 (ko)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US4648614A (en) Steering system in wheeled vehicle
EP0219939B1 (en) Power-assisted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KR19980701602A (ko) 차량 조향용 모터 피동 장치(a motor-driven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US20020195294A1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KR100408775B1 (ko)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JP3725642B2 (ja) 後輪操舵装置
KR100723725B1 (ko) 제롤 베벨기어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조향장치
KR890003361Y1 (ko)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KR890003360Y1 (ko) 전방향 추진차량 차동장치
EP0075426A1 (en) Rack & pinion steering gear & vehicle fitted with same
DE3507189A1 (de) Bedienstand fuer fahrzeuge, insbesondere mehrzweckfahrzeuge
JPS6234231B2 (ko)
KR19980047350U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모터 구조
KR19980035575A (ko) 3절링크형 조향조작장치
JPH03157273A (ja) 四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