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552U -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552U
KR19980046552U KR2019960059705U KR19960059705U KR19980046552U KR 19980046552 U KR19980046552 U KR 19980046552U KR 2019960059705 U KR2019960059705 U KR 2019960059705U KR 19960059705 U KR19960059705 U KR 19960059705U KR 19980046552 U KR19980046552 U KR 199800465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am
wheel
driv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택선
Original Assignee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원석
Priority to KR2019960059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552U/ko
Publication of KR19980046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5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lectrically 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각종 센서에 의해 구동 휠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을 구동시켜 랫치 휠을 구속시키도록 하는 시트 벨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캠으로 랫치 휠을 구속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 탑승객이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켜 차 실내의 구조물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 벨트는 자동차의 주행중 추돌 이나 충격시 등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2 차적인 상해에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시트 벨트는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지지 점의 수에 따라서 2 점식 시트 벨트, 3 점식 시트 벨트, 4 점식 시트 벨트로 대별되고 있는데, 안전성이 측면에서는 3 점식 이상의 시트 벨트가 가장 바람직하며, 현재로는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과 동시에 리어 시트에도 시트 벨트가 장착되는 자동차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시트 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40Km/h의 충돌 시에서도 안전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탑승자의 부상 정도는 많은 차이가 생긴다.
상기 2 점식 시트 벨트는 시트 벨트로 허리 좌·우에 2 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라고 하며, 랩은 시트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허리부터 무릎 관절 부분까지를 말한다.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는 일반 자동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트 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 점과 어깨 위쪽 1 점에 고정시켜 탑승자를 3 점으로 시트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 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 점식 시트 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는 랩 벨트만을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는 랩 벨트가 복부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트 벨트는 자동차에 탑승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시트 벨트가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오토매틱 벨트가 있는데, 이러한 오토매틱 벨트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매는 조작이 필요 없으며 자동적으로 장착됨으로 패시브 벨트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한 시트 벨트는 벨트를 당겨사용한후 놓으면 자동적으로 감아 주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되고, 또한 벨트를 장착했을 때 압박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벨트가 감겨지는 힘을 적게 하는 텐션리듀서라는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리트랙터는 비 로크식과 긴급 로크식으로 대별되는데, 비 로크식은, 어깨, 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로크되고, 긴급 로크식은 정차중 또는 보퉁 주행 중에는 벨트가 자유로이 신축할 수 있으나, 충돌시 자동차에 큰 감속 도가 가해진 경우나 벨트의 인출 가속도가 큰 경우에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시트 벨트 구속 장치는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리트랙터 및 랫치 휠(1)과 캠(2), 구동 휠(3), 그리고 구동 휠(5)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4), 캠(2)을 고정하는 핀(5) 및 이들을 포함하는 브래킷(6)으로 구성되고, 각종 센서에 의하여 구동 휠(5)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휠(5)이 캠(2)을 구동시켜 랫치 휠(3)을 구속시키도록 작동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트 벨트 구속 장치는 차량의 급 제동시나 웨빙이 긴급히 인출될 경우에만 시트 벨트가 구속되어 고속 주행 중의 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시트에 붙잡아 두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2 차적인 안전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 탑승객이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켜 차 실내의 구조물에 부딪치게 되어 부상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센서에 의해 구동 휠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을 구동시켜 랫치 휠을 구속시키도록 하는 시트 벨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캠으로 랫치 휠을 구속되게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허브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허브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허브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차속 센서12 : 액츄에이터
13 : 랫치 휠14 : 구동 휠
15 : 캠16 : 핀
17 : 리턴 스프링18 : 브래킷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 및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는 구동 휠(14)에 차속 센서(11)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12)를 장착하여서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 휠(14)이 설치되는 브래킷(18)으로는 랫치 휠(13)과, 구동 휠(14)에 복원력을 주는 리턴 스프링(17)과 캠(15) 및 이 캠(15)을 브래킷(18)에 고정시키는 핀(16)으로 구성된다.
차속 감지 센서(11)가 일정 속도(예: 40Km) 이상을 감지 하면 액츄에이터(12)를 동작시켜 캠(15)으로 랫치 휠(13)을 구속 하도록 하고,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계속하여 구속 상태를 유지하여 고속 주행 중 사고시 탑승객들을 시트에 구속되게하여 내부의 구조물에 부딪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속도를 줄여서 일정 속도 이하 일 때에는 차속 센서(11)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12)를 작동시켜 구동 휠(14)을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한다.
다시 설명하면 각종 센서에 의해 구동 휠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을 구동시켜 랫치 휠을 구속시키도록 하는 시트 벨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캠으로 랫치 휠을 구속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차속 감지 센서가 설정된 속도 이상을 감지하면 구동 휠에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동작시켜 캠으로 랫치 휠을 구속하도록 하고,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계속하여 구속 상태를 유지하여 고속 주행 중 사고시 탑승객들을 시트에 구속되게 하여 내부의 구조물에 부딪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 그리고 급 제동시 발생되는 관성에 의해 탑승객이 전방으로 향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2 차적인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 센서에 의해 구동 휠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을 구동시켜 랫치 휠을 구속시키도록 하는 시트 벨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캠으로 랫치 휠을 구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KR2019960059705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KR199800465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705U KR1998004655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705U KR1998004655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52U true KR19980046552U (ko) 1998-09-25

Family

ID=5399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705U KR19980046552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5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GB1601104A (en) Safety restraint apparatus
KR19980046552U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풀림 방지 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6520Y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구조
KR19980033894U (ko) 보조 벨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벨트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970000952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10027190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용 어저스터의 충격력 흡수구조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386032B1 (ko) 자동차용 시트밸트 로드 리미트장치
KR0166178B1 (ko) 자동차 시트 벨트 로커에 설치한 로드 리미터
KR10023964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의 긴급 권취장치
KR100371540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19980022819A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풀림 방지 장치
KR200152759Y1 (ko) 자동차 시트용 안전벨트 구조
KR19980044217U (ko) 차량의 안전 시트 벨트 장치
KR19980059553A (ko) 충돌 감응형 안전벨트 룩킹장치
KR19980040612U (ko) 충돌감응형 안전벨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