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999A -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999A
KR19980043999A KR1019960061990A KR19960061990A KR19980043999A KR 19980043999 A KR19980043999 A KR 19980043999A KR 1019960061990 A KR1019960061990 A KR 1019960061990A KR 19960061990 A KR19960061990 A KR 19960061990A KR 19980043999 A KR19980043999 A KR 1998004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orrugated cardboard
main line
lin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기찌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만기찌
썬엔지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만기찌, 썬엔지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만기찌
Priority to KR101996006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999A/ko
Publication of KR1998004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999A/ko

Link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지의 단목과 일치된 괘선을 따라 구부릴 때, 정확하게 구부릴 수 있는 괘선 및 괘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뻗은 본선부에 인접해 이 본선부 평행방향으로 단속되는 형상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 찌부러뜨려 인접부를 형성함으로서 괘선을 구부려 골판지의 중심이 서로 충돌해 찌부려질 때, 인접부에 의해 중심의 평균강도가 저하되므로 쉽게 찌부려지게 하여 접히는 선이 벌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구부려지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본 발명은 종이상자 제조에 있어서 골판지의 접는선을 단목(段目) 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구부릴 경우에 이용되는 구부림 괘선(罫線) 및 구부림 괘선을 만드는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로 종이상자를 제조하려면 통상 다음과 같다. 우선 골판지로 제1도에 표시한 종이상자 소재(1)를 만든다. 즉, 제1도처럼 본떠뚫어 괘선 (2), (3), (4), (5), (6), (7)을 만든다. 이들 괘선은 선형태로서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선이다. 이 종이상자 소재 (1)을 그림의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며 틀기벨트로 괘선 (5), (7)을 따라 구부리고, 접착부 (8)을 접착시켜 제2도에 나타난 종이상자 (9)를 제조한다. 그리고 종이상자 제조업체에서는 통상 제2도를 완성품으로 해서 판매한다.
종이상자 (9)는 정상적으로 만들면 그림에 도시한 것처럼 되지만, 제3도의 종이상자 (9a), 제4도의 (9b), 제5도의 (9c) 같은 불량품이 발생되기 쉽다. 종이상자 (9a)는 이송할 때 뒷부분이 넓어진 것으로, 피쉬텔 현상이라고 한다. 종이상자 (9b), (9c)는 접착부 (8) 부분에 형성되야할 폭(10b), (10c)가 정상보다 커지거나 작아진 것이다.
종이상자 소재(1), 종이상자 (9)에서는 쌓아올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도에서처럼 골판지 단목이 가로방향으로 된다. 이 제조공정에 있어서 괘선 (5), (7)은 구부려지는 구부림 괘선으로 방향은 골판지의 단목과 일치된다. 골판지의 단목과 일치된 괘선을 따라 구부릴 경우, 구부림선이 불안정하며 정상적으로 구부려지지 않아 상기한 불량품을 내기 쉽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형성된 괘선을 구부릴 때, 제6도에 나타난 것처럼 괘선 안쪽의 괘선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골판지 (11)의 중심(中芯) (12)가 눌려 찌부러지는데 이 중심의 요철(凹凸)이 많으면 괘선에 대해 대칭이 아니므로 접히는 선이 실제로는 괘선 위치에서 이동되는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괘선 (5), (7)의 접히는 선이 벌어져 종이상자 (9b), (9c)가 발생된다. 틀기벨트 등으로 구부리므로 앞쪽에서 점차 구부려지게 되어 접히는 선이 점점 경사가 지는 종이상자 (9c)가 발생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금까지는 구부림 괘선의 인접부분을 눌러 찌부려 두는 것 즉, 괘선부를 인접부를 포함해 폭 넓게 눌러찌부리는데 그 중에서도 괘선부분을 보다 세게 누르는게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럴 경우 중심의 영향은 감소되지만, 괘선부분이 불분명해져서 접히는 선이 인접부분으로 벌어지기 쉬워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판지의 단목과 일치된 괘선을 따라 구부릴 경우에 정확하게 괘선을 구부릴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괘선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얻는 것도 목적이다.
제 1 도는 통상적인 종이상자 소재로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을 표면화시킨 평면도이다. 골판지 표면을 일부 벗겨 단목을 노출시켜 나타냈다.
제 2 도는 앞 그림의 종이상자 소재를 구부려 완성시킨 정상적인 상자의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제1도의 종이상자 소재를 구부려 완성시킨 불량품 상자의 평면도이다.
제 4 도는 제 1도의 종이상자 소재를 구부려 완성시킨 다른 불량품 상자의 평면도이다.
제 5 도는 제 1도의 종이상자 소재를 구부려 완성시킨 또다른 불량품의 평면도이다.
제 6 도는 골판지를 단목방향 괘선을 따라 구부릴 때의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구부림 괘선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종이상자 소재의,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을 표면화시킨 평면도이다.
제 8 도는 앞 그림의 구부림괘선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 9 도는 앞 그림의 A-A선에 따른 단면도(端面道)이다.
제 10 도는 제8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앞 그림과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제10도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구부림괘선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 14 도는 발명의 구부림괘선 형성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제 15 도는 본 발명의 구부림괘선 형성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6 도는 본 발명의 구부림괘선형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7 도는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8 도는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9 도는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종이상자 소재21,22···구부림 괘선
27,27a,27b,27c···본선부28,28a,28b,28c···인접부
29···단목30···구부림괘선 형성장치
31···안빌32···골판지
33···날대44···보조기구
45···본선부용 누름날46···인접부용 누름날
50···구부림괘선 형성장치51···안빌
52···골판지53···날대
54···보조기구55···본선부용 누름날
56···인접부용 누름날57···자형
58···凹구59···평면상부
60···구부림괘선 형성장치61···안빌
62···골판지63···날대
64···보조기구65···본선부용 누름날
66···인접부용 누름날67···자형
68···凹구69···평면상부
70···구부림괘선 형성장치71···안빌
72···날대73···보조기구
74···본선부용 누름날75···인접부용 누름날
76···자르기날77···골판지
80···구부림괘선 형성장치81···안빌
82···날대83···보조기구
84···본선부용 누름날 85···인접부용 누름날
86···자르기날87···자형
88···골판지
본 발명은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뻗어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본선부와, 본선부에 인접해 이 본선부를 따라 단속되는 형태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인접부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이다.
이 인접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여러가지가 가능하다. 즉, 인접부의 폭, 평면형상, 본선부 평행방향으로 단속되는 간격, 본선부를 따라 인접부가 존재하는 비율, 눌려찌부려뜨리는 깊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하게 설정할 수도 있지만, 부분마다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실제로는 종이의 두께나 성질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 중 하나로써,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뻗어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본선부와, 본선부와 교차되는 단직선을 본선부를 따라 다수 나열한 형상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인접부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이 포함된다.
상기한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은 보통은 평면이지만, 본선부가 구부릴 때에 바깥이 되는 면으로 돌출된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도 가능하며, 이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형성장치는 안빌 사이에 골판지를 끼워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본선부를 만드는 본선부용 누름날과 이 누름날과 교차되는 단직선상으로 이 누름날을 따라 다수 나열돼 골판지를 눌러찌부려뜨리는 인접부용 누름날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성장치는 안빌 사이에 골판지를 끼워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 뜨려 본선부를 만드는 본선부용 누름날과, 코르크, 고무 같은 탄성재로 만들어져 이 누름날에 인접해 다수 배열되 누름날을 따라 단속되는 형상으로 골판지를 눌러찌부려뜨리는 인접부용 누름날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이다.
상기한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은 보통의 평면상이며, 이 때문에 안빌 표면이 평면상이 된다. 그러나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본선부가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각 장치의 안빌 표면에 부착되는데, 우선 본선부용 누름날을 끼워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본선부를 돌출시키는 凹구가 있는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가 적당하며 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각 형성장치의 전체적 구성은 평판식(平板式) 본떠찍기, 회전식 본떠찍기와 함께 구성해서, 종이상자 소재의 본떠찍기 가공과 동시에 괘선형성 작업이 이뤄지는 것이 좋다.
제7~10도에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의 한 형태를, 제11~13도에 각각 다른 형태를 표시했다. 제7도에 표시한 종이상자 소재(20)의 구부림 괘선 (21), (22)는 제8~10도와 같은 구성이며, 그 밖의 괘선 (23), (24), (25), (26)은 종래와 같은 선상으로서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긴 것이다. 구부림 괘선 (21), (22)는 둘다 본선부 (27)과 인접부(28)로 이뤄진다. 본선부 (27)과 교차되는 면에서 눌러 찌부려뜨려 된다. 인접부 (28)은 본선부(27)과 교차되는 단직선을 본선부 (27)을 따라 다수 나열한 형상으로,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 찌부려뜨려 된다.
이 구부림 괘선 (21), (22)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이 구부림 괘선을 따라 구부려가면 처음엔 종래의 괘선처럼 본선부 (27)를 접히는 선으로 해서 정상적으로 구부려진다. 계속 구부려 제6도처럼 골판지중심(中芯)이 서로 충돌해 찌부러질 때, 이 구부림 괘선에서는 인접부 (28)에 의해 중심이 본선부와 같은 방향으로 이어졌다 끊어지는 식으로 찌부려져 있으므로 중심의 평균강도가 낮아져 쉽게 눌러찌부려진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난 피쉬텔 현상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작용에 덧붙여 다음과 같은 작용도 한다. 즉, 이 구부림 괘선 (21), (22)를 앞쪽에서 점차 구부릴 때 이 본선부 (27)과 인접부 (28)의 단직선 교차점에 응력(하중에 견디는 힘)이 집중되므로 이 교차점에서 점차적으로 구부림이 진행됨으로써 본선을 따라 접히는 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쉬텔현상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기한 작용으로 알 수 있듯이 인접부는 본선부에 인접해 본선부를 따라 단속되는 형상이면 좋기 때문에, 상기한 본선부에 교차되는 단직선을 다수 배열한 형상외에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접부의 폭(제8도의 좌우방향길이), 간격(제8도 단직선 간격), 존재하는 비율(제8도의 단직선 간격에 대한 단직선폭의 비율), 눌려찌부려지는 깊이(제10도의 두께 감소분)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1도에 눌러찌부려지는 깊이를 전기한 것보다 작게 설정한 별도의 형태를 나타냈다. (27a)는 본선부, (28a)는 인접부이다.
또한 본선부를 보다 강하게, 즉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에 충돌하도록 형성해도 상관없다. 제12도에 그 형태를 나타냈는데, (27b)는 본선부, (28b)는 인접부이다. 이 구성에서는 본선부가 좀 더 명확해지며, 구부릴 때 접히는 선이 벌어지기 어렵다.
제13도에 인접부의 평면형을 다른 형상으로 한 형태를 도시했다. 이 형태는 본선부 (27c)를 따라 블럭을 단속적으로 배열시킨 형태의 인접부 (28c)를 표시한 것이다. 이 인접부 (28c)는 제11도의 인접부 (28a)와 마찬가지로 눌러찌부려뜨린 깊이가 본선부 (27c)보다 작게 돼 있다. 또한 이 형태는 형성장치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제14~19도에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의 각종 형태를 나타냈다. 제14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30)은 평판식 본떠찍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장치 (30)에서 안빌(31)은 평면상으로 골판지(32)를 얹어 오르내린다. 날대(33)은 표면에 보조기구(34)가 있는데, 이 보조기구는 본선부용 누름날(35)와 인접부용 누름날 (36)을 보존유지 시키며, 또한 통상적인 누름날이나 자르기날 (도면에 표시안됨)도 보존유지시킨다. 이 자르기날은 골판지 (32)를 제7도 형태로 자르며, 통상적인 누름날은 제7도의 괘선(23), (24), (25)를 만들고 본선부용 누름날(35)와 인접부용 누름날(36)은 제7도의 구부림 괘선 (21), (22)를 만든다.
본선부용 누름날 (35)는 골판지 (32)의 단목방향으로 뻗어 그림의 골판지 (32) 윗면에서 눌러 제8,9도의 본선부 (27)를 만든다. 인접부용 누름날 (36)은 본선부용 누름날 (35)에 교차되는 단직선상으로서, 날대 (35)를 따라 다수 배열되며 본선부용 누름날 (35)와 같은 높이로 골판지 (32)를 눌러 제8,10도의 인접부 (28)를 형성한다.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3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지므로, 평판식 본떠뜨기를 평상시처럼 사용해 안빌 (31) 위에 골판지(32)를 올려 상승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본떠뚫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제7~10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을 만들 수 있다.
제15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40)은 평판식 본뜨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위의 장치 (30)과 거의 같다. 이 장치(40)에서 안빌(41)은 평면상으로 골판지 (42)를 얹어 오르내리게 하며, 날대(43)은 표면에 보조기구 (44)가 있어서 본선부용 누름날 (45)와 통상적인 누름날 및 자르기날 (도면에 표시안됨)을 보존유지시킨다. 또한 보조기구 (44)의 표면에는 코르크,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만든 다수의 블럭이 본선부용 누름날 (45)를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히 접착되어 인접부용 누름부 (46)이 형성된다.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4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지므로, 평판식 본떠뜨기를 평상시처럼 사용해 안 빌 (31) 위에 골판지 (42)를 올려 상승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본떠뚫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본 발명인 구부림 괘선을 만들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구부림 괘선을 제13도와 같이 표시했다. 즉 본선부용 누름날 (45)가 본선부 (27c)를 형성해 인접부용 누름부 (46)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인접부 (28c)를 형성한다.
제16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50)은 평판식 본떠뜨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앞서 나온 장치 (30)과 거의 같다. 이 장치(50)에서 안빌(51)은 평면상으로 골판지 (52)를 얹어 오르내리게 하며, 날대(53)은 표면에 보조기구 (54)가 있어서 본선부용 누름날 (55)와 인접부용 누름날 (56) 그리고 통상적인 누름날 및 자르기날 (그림에 표시안됨)을 보존 유지시킨다.
본선부용 누름날(55), 인접부용 누름날 (56)은 앞서 나온 장치(30)과 같지만, 본선부용 누름날(55)가 인접부용 누름날(56)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안빌(51) 위에는 자형(雌型)(57)이 장치돼 있는데, 이 자형 (57) 중앙에는 V자형 凹구(58)이 본선부용 누름날 (55)를 맞물리게 하며, 높은 평면상부 (59), (59)가 인접부용 누름날 (56)을 닿게 하도록 배치된다.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5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지므로 평판식 본떠뜨기를 평상시처럼 사용해 안빌(51) 위에 골판지 (52)를 얹어 상승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본떠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본 발명인 구부림 괘선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구부림 괘선은 제12도에서처럼 본선부 (27b)가 아래면 즉, 구부릴 때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되는 식이다.
제17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60)은 평판식 본떠뜨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앞서 나온 장치 (40), (50)과 거의 같다. 이 장치(60)에서 안빌(61)은 평면상으로서 골판지 (62)를 얹어 오르내리게 하며, 날대(63)은 표면에 보조기구 (64)가 있어서 장치(40)과 같은 본선부용 누름날 (65)와 인접부용 누름부 (66), 그리고 통상적인 누름날 및 자르기날 (도면에 표시안됨)을 보존 유지시킨다.
또한 안빌 (61) 위에는 자형(67)이 장치 돼 있는데, 이 자형 (67)에는 본선부용 누름날 (65)를 맞물리게 하는 凹구 (68)과 인접부용 누름부(66)을 닿게 하는 높은 평면상부 (69), (69)가 형성돼 있다.
이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6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평판식 본떠뜨기를 평상시처럼 사용해 안빌(61) 위에 골판지 (62)를 얹어 상승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본떠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본 발명인 구부림 괘선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구부림 괘선은 평면형이 제13도와 같고, 단면형은 제12도에서처럼 본선부가 아래면 즉, 구부릴 때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되는 식이 된다.
그리고 제15도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40)의 인접부용 누름부 (46)의 높이나 탄성을 적절히 설정하면 제10도에서처럼 단면도가 본선부와 인접부의 눌러찌부러진 깊이가 같아질 수도 있다. 또한 제16도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50)의 본선부용 누름날 (55) 인접부용 누름날(56)을 제14도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4)의 자형이 없는 평면상의 안빌(41)과 같이 사용하면, 제11도에 나타난 인접부(28a)의 눌러찌부러진 깊이를 본선부 (27a)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제18도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70)은 회전식 본떠뜨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14도의 평판식 본떠뜨기와 일체화시킨 장치(30)과 같은 기능을 지닌다. 이 장치(70)에서 안빌(71), 날대(72)는 둘다 원통형이다. 날대(72)는 표면에 인접부용 누름날(75), 그리고 통상적인 누름날(도시 안됨) 및 자르기날 (76)이 딸려 있다. 이들은 제14도의 장치(30)을 원통면으로 했을 뿐 같은 구성이다.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7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회전식 본뜨기를 보통 때처럼 사용해서 안빌(71), 날대(72)를 회전시키면서 이 사이에 골판지 (77)를 끼워 이동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오려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제7~10도와 같은 구부림 괘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19도에 나타난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80)은 회전식 본떠뜨기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장치 (70)과 거의 같으며 제16도의 평판식 본떠뜨기와 일체화시킨 장치(50)과 동일한 기능을 지닌다. 이 장치 (86)에서 안빌(81), 날대(82)는 둘다 원통형이다. 날대 (82)는 표면에 보조기구 (83)이 있는데 이 보조기구에 본선부용 누름날 (84), 인접부용 누름날 (85)와 통상적인 누름날(도시안됨) 및 자르기날 (86)이 딸려 있다. 안빌 (81) 표면에는 凹구, 높은 평면 상부를 지닌 자형 87이 장치돼 있다. 이들은 제16도의 장치(50)을 원통면으로 했을 뿐 같은 구성이다.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8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회전식 본떠뜨기를 보통 때처럼 사용해서 안빌(81), 날대(82)를 회전시키면서 이 사이에 골판지를 끼워 이동시키면, 종이상자 소재를 오려내 괘선을 만들고 동시에 제12도의 같은 구부림 괘선 즉,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본선부가 돌출되는 괘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 회전식 본뜨기와 같이 제16, 제17의 형성장치를 회전식 본뜨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모두 제7도에 나타난 형상의 종이상자 소재를 예로 든 것이지만 다른 형상의 종이상자 소재로도 본 발명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은 상술한 것처럼 본선부에 인접한 인접부를 지닌 구성으로 돼 있으므로, 구부려지며 골판지의 중심이 서로 충돌해 찌부러질 때 인접부에 의해 중심의 평균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눌려찌부려진다. 이 때문에 접히는 선이 벌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구부려진다. 또한 인접부는 중심을 단속적으로 찌부려뜨리고 있으므로 본선부가 불분명해져 접히는 선이 벌어지는 일도 없다.
더욱이 인접부가 본선부에 교차되는 단직선상이라면 종이상자 제조시에 구부림 괘선을 앞쪽에서 점차 구부릴 때에 응력이 본선부와 인접부 교차점에 집중되는데, 이 교차점에서 점점 구부림이 진행하도록 되므로 접히는 선이 본선부를 따라 확실히 형성되며 피쉬텔현상이 보다 쉽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은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 인접부를 형성하므로, 완성된 상자의 바깥면에 인접부가 노출되는 일 없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부림 괘선은 골판지를 눌러찌부려뜨려 괘선을 형성할 때, 본선부용 누름날에 인접부용 누름날과 누름부를 덧붙였을 뿐 종전대로의 방법이나 장치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실용화하기도 용이하다.

Claims (8)

  1.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뻗어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본선부와, 본선부와 인접해 이 본선부를 따라 단속(끊어졌다 이어짐)되는 형태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인접부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2. 제 1항에 있어서,
    본선부가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된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3.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뻗어 구부릴 때에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본선부와, 본선부와 교차되는 단직선을 본선부를 따라 다수 나열한 형상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생기는 인접부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4. 제 3항에 있어서,
    본선부가 구부릴 때에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된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5. 안빌 사이에 골판지를 끼워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본선부를 만드는 본선부용 누름날과, 이 누름날과 교차되는 단직선상으로 이 누름날을 따라 다수 나열되어 골판지를 눌러찌부려뜨리는 인접부용 누름날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 괘선 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안빌 표면에 장치되어 본선부용 누름날을 끼워 본선부를 구부릴 때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시키는 凹구가 있는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형성장치.
  7. 안빌 사이에 골판지를 끼워 골판지의 단목방향으로 구부릴 때 안쪽이 되는 면에서 눌러찌부려뜨려 본선부를 만드는 본선부용 누름날과, 코르크, 고무 같은 탄성재로 만들어져 이 누름날에 인접해 다수 배열되어 누름날을 따라 단속되는 형태로 골판지를 눌러찌부려뜨리는 인접부용 누름날로 이뤄진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안빌 표면에 장치되어 본선부용 누름날을 끼워 본선부를 구부릴 때 바깥쪽이 되는 면으로 돌출시키는 凹구가 있는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형성장치.
KR1019960061990A 1996-12-05 1996-12-05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KR19980043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90A KR19980043999A (ko) 1996-12-05 1996-12-05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90A KR19980043999A (ko) 1996-12-05 1996-12-05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99A true KR19980043999A (ko) 1998-09-05

Family

ID=6647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990A KR19980043999A (ko) 1996-12-05 1996-12-05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9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37A1 (ko) * 2014-12-11 2016-06-16 (주)선우판지 괘선 보강부를 가진 골판지로 이루어진 포장용기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37A1 (ko) * 2014-12-11 2016-06-16 (주)선우판지 괘선 보강부를 가진 골판지로 이루어진 포장용기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43297A3 (en) Process for producing punched grooved parts and a punching and grooving tool for making the same
DE112005003504T5 (de) Automatische Biegemaschine für einen Bandstahlstanzstempel und der Bandstahlstanzstempel
KR100443318B1 (ko) 회전 절삭 공구
EP0297324A1 (en) Knife for blanking in sheet
KR19980043999A (ko) 골판지의 구부림괘선 및 그 형성장치
US4012978A (en) Die cutting rule
JPS5831254B2 (ja) 接続用シ−ト状金属製品の製造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圧断器具
US4665779A (en) Method for making stripping dies
FI85236C (fi) Bandstaolsstansverktyg med ett elastiskt profilband.
JP5307638B2 (ja) 罫線形成用溝部材
WO2020017584A1 (ja) 段ボールシート用抜き型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向け打ち抜き方法
JPH0970905A (ja) 段ボール紙の折り曲げ罫線及びその形成装置
JP2020011368A (ja) 段ボールシート用抜き型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向け打ち抜き方法
JP6656452B2 (ja) 段ボールシート用抜き型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向け打ち抜き方法
CN215903648U (zh) 一种用于凹凸模切工艺的装置
CN219007183U (zh) 一种纸板防爆线开槽刀及纸箱成型机
FI69587B (fi) Omslipbart skaer foer traespaonskaerningsmaskiner
JP3908329B2 (ja) ジッパー打ち抜きブレード及び打ち抜き型
JP3114581U (ja) 段ボールシートの打抜き型
JP2010082716A (ja) カートンブランク用打ち抜き型における打ち抜き刃の構造
JPH10244498A (ja) 打抜機用雌型及び打抜方法
JPS625919Y2 (ko)
JP3041886U (ja) 打抜型
KR930000931Y1 (ko) 톱밥 제조기
JP4480364B2 (ja) 熱プレスによる罫線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