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31Y1 - 톱밥 제조기 - Google Patents

톱밥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31Y1
KR930000931Y1 KR2019900016751U KR900016751U KR930000931Y1 KR 930000931 Y1 KR930000931 Y1 KR 930000931Y1 KR 2019900016751 U KR2019900016751 U KR 2019900016751U KR 900016751 U KR900016751 U KR 900016751U KR 930000931 Y1 KR930000931 Y1 KR 930000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wood
sawdust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707U (ko
Inventor
김원두
전병우
Original Assignee
김원두
전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두, 전병우 filed Critical 김원두
Priority to KR2019900016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31Y1/ko
Publication of KR920007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2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shav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밥 제조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횡단면도.
제3도는 압지로울러에 유삽된 압지판의 평면도.
제4도는 압지로울러의 종단면도.
제5도(a)는 나무를 압지하지 않은 통상 상태의 단면도, (b)는 나무를 압지판이 압지한 상태단면도, (c)는 압지로울러와 압지판이 동시에 상승되어 나무를 압지한 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2' : 원형톱날
3 : 주동축 4 : 압지로울러
5 : 콘베어 6 : 연동축
7 : 연결판 8, 8' : 축공
9, 9' : 압지판 10, l0' : 축봉
l1 : 돌출턱 12, l2' : 스프링
본 고안은 목재소나 목공소등에서 목재를 절단하고 남은 목재조각이나 폐목등을 톱밥으로 제조하는 톱밥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송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는 나무를 압지하여 톱날에 안내하는 압지로울러를 상하 승강 자재되게 구성하여 나무크기에 관계없이 긴밀히 압지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나무를 한대의 톱밥제조기로서 효과적으로 톱밥을 제조코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밥은 목재소등에서 나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얻게되므로 톱밥의 분량이 한정되어 다양한 용도를 충족하기에는 분량면에서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나무조각등을 수개의 톱날에 의해 절단하여 인위적으로 톱밥을 제조하므로서 부족한 양을 충당하고 있는바 공지된 톱밥제조기는 그 구조상 절단할 나무의 크기가 거의 일정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불규칙한 크기로 생산되는 나무에 따라 대처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나무를 규격별로 분리해야 하고 이에따라 크기별로 수대의 기계를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기계구입비의 부담이 과중하였으며 또한 불편하고 번거러운등 여러가지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압지로울러에 수개의 압지판을 스프링으로 탄지되게 유설하여 압지로울러 및 압지판이 나무 크기에 따라 승강 자재 되게하므로서 나무크기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톱밥을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기대(1)의 일측에 다수개의 원형톱날(2)(2')을 일정간격으로 축설하고 그 전방에 주동축(3)의 연동으로 회전되는 압지로울러(4)와 콘베어(5)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압지로울러(4)를 축착한 연동축(6)을 주동축(3)과 연결판(7)으로 연결하여 압지로울러(4)가 주동축(3)을 중심으로 승강자재되게 구성하고 압지로울러(4)에는 2개 1조의 축공(8)(8')을 상하 좌우로 적정간격이 유지되게 관통시키되 상하 어긋나게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압지판(9)(9')을 양단에 각각 착설한 축봉(10)(10')을 유삽하고, 축공(8)(8') 내부의 축봉(10)(10')외주에는 중간의 돌출턱(11)을 중심으로 두개의 스프링(l2)(12')을 끼워 넣어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콘베어로울러이고, 14는 나무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기대(1)의 콘베어(5)상에 톱밥을 제조할 나무(14)을 올리게 되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콘베어(5)로 이송되어 압지로울러(4)에 의해 압지된 상태에서 원형톱날(2)(2')에 의해 나무가 절단되어 톱밥이 얻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은 나무를 압지된 상태로 원형톱날(2)(2')에 안내시키는 압지로울러(4)에 축공(8)(8')을 상하 좌우로 관통시켜 이에 축봉(10)(10')을 유삽하고 압지로울러(4)의 외면으로 돌출된 그 양단에 압지판(9)(9')을 착설함과 동시에 축공(8)(8')내부의 축봉(10)(l0')외주에는 중간의 돌출턱(11)을 중심으로 두개의 스프링(12)(12')을 끼워 넣어서 되는 것이므로 압지판(9)(9')을 가압하면 축공(8)(8')을 따라 스프링(l2)(12')을 탄압하면서 승강 되어진다.
따라서 콘베어(5)를 따라 나무가 이송되면 제5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나무의 두께만큼 압지판(9)(9')을 부착한 축봉(10)(l0')이 돌출턱(11)의 위에 있는 스프링(l2)(12')을 압축시키면서 상승되고 동시에 스프링(12)(12')이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압지판(9)(9')이 제5도의 (b)와 같이 나무(l4)를 압지하게 되므로 나무(14)는 긴밀히 압지된 상태에서 원형톱날(2)(2')로 이송되어진다.
이와 같이 압지판(9)(9')은 나무의 두께만큼 스프링(12)(12')을 압축시키면서 승강 자재되므로 크고 작은 나무를 용이하게 압지할 수 있어 한대의 기계로서 여러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압지판(9)(9')이 상하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크고 작은 나무를 동시에 압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 톱밥제조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지로울러(4)는 그 연동축(6)이 주동축(3)과 연결판(7)으로 연결되어 주동축(3)을 중심으로 승강자재하게 되어 있으므로 압지로울러(4)의 외면으로 돌출된 축봉의 길이보다 더 두꺼운 나무가 송급될 때에는 제5도의 (c)와 같이 압지판(9)(9')뿐 아니라 압지로울러(4) 자체가 상승되어 나무를 동시에 압지하게 되므로 나무를 압지할 수 있는 두께의 폭이 커서 압지범위가 매우 넓은 잇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압지로울러(4)에 관통된 축공(8)(8')이 방사상으로 그리고 좌우로 다수개 뚫리게 되므로 서로 통하지 않도록 제3도와 같이 엇갈리게 뚫어 설치하여야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나무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압지로울러(4)가 승상자재되어 여러 규격의 나무를 압지할 수 있으므로 한대의 기계로서 톱밥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톱밥제조효과가 좋은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기대(1)의 일측에 다수개의 원형톱날(2)(2')을 일정간격으로 축설하고 그 전방에 주동축(3)의 연동으로 회전되는 압지로울러(4)와 콘베어(5)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압지로울러(4)를 축착한 연동축(6)을 주동축(3)과 연결판(7)으로 연결하여 압지로울러(4)가 주동축(3)을 중심으로 승강자재되게 구성하고 압지로울러(4)에는 2개 1조의 축공(8)(8')을 상하 좌우로 적정간격이 유지되게 관통시키되 상호 어긋나게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압지판(9)(9')을 양단에 각각 착설한 축봉(10)(10')을 유삽하고 축공(8)(8') 내부의 축봉(10)(10')외주에는 중간의 돌출턱(l1)을 중심으로 두개의 스프링(12)(12')을 끼워 넣어서 되는 톱밥 제조기.
KR2019900016751U 1990-10-30 1990-10-30 톱밥 제조기 KR930000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751U KR930000931Y1 (ko) 1990-10-30 1990-10-30 톱밥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751U KR930000931Y1 (ko) 1990-10-30 1990-10-30 톱밥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707U KR920007707U (ko) 1992-05-19
KR930000931Y1 true KR930000931Y1 (ko) 1993-03-02

Family

ID=1930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751U KR930000931Y1 (ko) 1990-10-30 1990-10-30 톱밥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42B1 (ko) * 2015-05-14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707U (ko)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390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paonskaerande soenderdelning av stockar i allsidigt bearbetade traeprodukter.
CA2343583A1 (en) A process for cutting out panels or the like
WO1987000116A1 (en) Method and tool for punching plaster plates
CN106827072A (zh) 定尺寸木材切割机
JPS6248561B2 (ko)
KR930000931Y1 (ko) 톱밥 제조기
WO2005087459A1 (en) Method and plant for sawing a log
CN210361711U (zh) 一种木板输送切割的辅助固定装置
US4206670A (en) Device for the longitudinal shortening of panels in panel cutting machines
ES470886A2 (es) Mejoras introducidas en el objeto de la patente principal num.446.602,por Ÿ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madera util a base de troncos redondos
JPS6014686B2 (ja) 凹溝を有する無機質板の製造法
DE10200506104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längen von Strängen
US4828642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arquet flooring blocks
CN108515800A (zh) 木头印章自动烫印机
CA1040070A (en) Machine for hewing small square timber
CN218593202U (zh) 一种木料加工用木板切条设备
US2694531A (en) Machine for manufacture of chips or shavings of wood waste and other wood material
US375812A (en) hareis
CN215549222U (zh) 一种横向分板机构
CN211806722U (zh) 一种密度纤维板生产用削片设备
CN217573245U (zh) 一种木工机械设备专用盖板
CN210939396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切纸机
TW262427B (en) Process of preparing lumber
CN206982891U (zh) 一种框锯机
SU1502302A1 (ru) Лини изготовлени короткомерной пилопрод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