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888U -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888U
KR19980043888U KR2019960057011U KR19960057011U KR19980043888U KR 19980043888 U KR19980043888 U KR 19980043888U KR 2019960057011 U KR2019960057011 U KR 2019960057011U KR 19960057011 U KR19960057011 U KR 19960057011U KR 19980043888 U KR19980043888 U KR 199800438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iper
windshield wiper
le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기
Original Assignee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원석
Priority to KR2019960057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888U/ko
Publication of KR19980043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8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 레그를 양분하여 돌기가 구비되는 힌지부로 결합함과 동시에 가변 되는 부분의 상부에 돌출 되게 클립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에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되, 일단부는 고정되는 가이드 레그에 일단부는 클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가변되는 클립을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교환시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드 실드 와이퍼는 운행중 비 또는 눈이 올 때, 윈드실드에 비 또는 눈이 묻어서 운전자의 전방 시계(視界)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윈드 실드면을 닦아 내는 일을 하는 것으로, 그 구조와 윈드 실드 와이퍼 전동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윈드 실드 와이퍼는 진공식, 전기식, 전자식으로 대별되며, 상기 전기식은 또한 복권시, 페라이트 전자식으로, 상기 전자식은 간헐식으로 대별된다.
상기 진공식은 기관의 흡입 행정에서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형식은 기관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부압이 변하고, 동력에 불균형이 있으므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전기식 윈드 실드 와이퍼는 축전지 전류에 의해 전동기는 회전시키는 것으로 강우, 강설 상태에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는 거의 전기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식 윈드 실드 와이퍼는 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부,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및 윈드실드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blade)부로 구성되어 있고, 복권식 및 페라이트 자석식은 전동기 부분만 다르고 다른 부분은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깃모양을 한 고무를 윈드실드면에 맞는 금속(블레이드 프레임)으로 지지하고 이 블레이드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윈드실드 와이퍼 서브 암이 받치고 있다. 또한 이 와이퍼 서브 암의 하단은 볼트 또는 세레이션으로 링크에 결합된다. 와이퍼 서브 암의 스프링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적절한 힘으로 윈드실드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와의 접촉 각도에 따라 마모 정도가 결정되는데 접촉 각도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적으면 닦는 상태가 나빠지며, 윈드실드와 블레이드가 마모된다. 그러므로 윈드실드와의 접촉 각도는 약 30~50°정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링크 기구는 좌·우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동 방법에는 평형 연동형, 대향형 및 와이퍼식 등이 있다. 또한 링크의 연결 방법은 자동차에 따라 다르지만 어느 것이나 강판을 프레스 한 것이 사용되고, 각 연결부에는 쿠션고무등을 끼워 마모나 헐거움이 적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윈드 와셔는 윈드실드면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장치로써, 와셔 콤프에 저장된 와셔액을 펌프로 보내 와셔 노즐에서 분사한다. 윈드실드면에 일정하게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점을 많게 하거나 또는 부채형으로 뿌리는 타입이 있으며, 와이퍼와 연동해서 블레이드의 움직이는 타이밍에 맞추어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윈드 실드 와이퍼(5)는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프레임(1)과 블레이드(2)로 구성되고, 블레이드(2)는 픽싱 레그(7) 및 가이드 레일(8)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텐셔너(9)에 의해 지지되었다.
상기 픽싱 레그(7) 및 가이드 레그(8)는 각각 픽싱홈(6) 또는 가이드 홈(3)에 구부러진 부분이 삽입되어 프레임(1)을 지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와이퍼(5)는 블레이드(2)가 사용에 의해 마모되면 픽싱 레그(7) 및 가이드 레그(8)를 포함하여 텐셔너(9)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블레이드를 협지하여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가변 되는 클립을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교환시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에 의해 마모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와의퍼의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레그를 양분하여 돌기가 구비되는 힌지부로 결합함과 동시에 가변되는 부분의 상부에 돌출 되게 클립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에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되, 일단부는 고정되는 레그에 일단부는 클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양분되는 레그중 가변되는 레그의 저면부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레그 결합부가 블레이드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종래의 윈드실드 와이퍼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윈드 실드 와이퍼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윈드 실드 와이퍼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윈드 실드 와이퍼의 일측면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레이드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일측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윈드 실드 와이퍼
(8):가이드 레드(9):텐셔너
(10):레그(12):클립
(14):탄성 스프링(16):돌기
(16-1)힌지부(18):스토퍼
(30):블레이드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는 텐셔너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또는 픽싱 레그(10)를 양분함과 동시에 전방에 돌기(16)를 구비하는 힌지부(16-1)로 결합하고, 가변되는 레그의 상부에 경사지게 클립(12)을 일체로 형성하며, 고정되는 레그와 가변되는 레그의 클립(12)에 탄성 스프링(14)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 스프링(14)은 힌지부(16-1)의 돌기(16)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고정되는 레그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타단부는 가변되는 레그의 클립(1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되는 레그의 하단부 즉, 고정되는 레그와의 경계 부분에는 하향 돌출 되는 스토퍼(18)가 형성되어 클립(12)이 탄성 스프링(14)에 의해 복원될 때 스토퍼(18)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레그 결합부가 블레이드(20)의 슬라이드 홈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블레이드(20)의 고체시 클립(12)을 고정되는 레그 방향으로 당기면 돌기 부분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블레이드(20)를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다른 블레이드를 교체하여 다시 클립(12)을 놓으면 이 클립(12)은 탄성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가 가이드 홈(22)에 삽입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비나 눈으로 윈드실드 글라스가 젖어 전방 시야가 잘 안보일 때 물방울을 닦아 내는 윈드 실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 레그를 양분하여 돌기가 구비되는 힌지부로 결합함과 동시에 가변되는 부분의 상부에 돌출되게 클립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에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되, 일단부는 고정되는 가이드 레그에 일단부는 클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양분되는 가이드 레그중 가변되는 가이드 레그의 저면부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가이드 레그 결합부가 블레이드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블레이드가 마모되어 교체할 때 픽싱 레그 및 가이드 레그에 형성된 클립을 당겨서 블레이드가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블레이드를 위치시켜 클립을 놓으면 이 클립은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어 블레이드는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교체 작업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블레이드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제적 부담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비나 눈으로 윈드실드 글라스가 젖어 전방 시야가 잘 안보일 때 물방울을 닦아 내는 윈드 실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와의퍼의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레그를 양분하여 돌기가 구비되는 힌지부로 결합함과 동시에 가변되는 부분의 상부에 돌출 되게 클립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에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되, 일단부는 고정되는 레그에 일단부는 클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에 블레이드 착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분되는 레그중 가변 되는 레그의 저면부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레그 결합부가 블레이드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KR2019960057011U 1996-12-26 1996-12-26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KR199800438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011U KR19980043888U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011U KR19980043888U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88U true KR19980043888U (ko) 1998-09-25

Family

ID=5399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011U KR19980043888U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8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06B1 (ko) * 2008-05-2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레이드의 균일하중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06B1 (ko) * 2008-05-2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레이드의 균일하중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29612A1 (en) Multiple blade windshield wiper
US6763546B1 (en) Self-contained automatic windshield maintenance system
KR200418593Y1 (ko)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43888U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의 블레이드 착탈 구조
KR200188919Y1 (ko) 착탈식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95675Y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85426Y1 (ko) 착탈식 와이퍼 블레이드
KR100196565B1 (ko) 차량용 윈도우 와이퍼 브레이드
KR19980043889U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착탈 구조
KR19980024608U (ko)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
KR0126272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구조(A structure of a wiper blade of an automobile)
KR19980039964U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의 구조
KR200157123Y1 (ko) 와이퍼 누름압 조절장치
KR19980039284A (ko) 자동차용 와셔 노즐
KR19980046549U (ko) 자동차 윈드실드 와이퍼의 히팅 장치
KR200153100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파킹 장치
KR19980030690U (ko)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70792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17079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191831Y1 (ko) 고무날의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와이퍼
KR19980037240U (ko) 다중 블레이드를 갖는 자동차 윈드 실드 와이퍼
KR1003970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KR19980035271U (ko)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와이퍼 암
KR20020016149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30692U (ko)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