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534U -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534U
KR19980043534U KR2019960056650U KR19960056650U KR19980043534U KR 19980043534 U KR19980043534 U KR 19980043534U KR 2019960056650 U KR2019960056650 U KR 2019960056650U KR 19960056650 U KR19960056650 U KR 19960056650U KR 19980043534 U KR19980043534 U KR 19980043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crossbar
mounting bracket
mounting structure
inner panel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6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534U/ko
Publication of KR19980043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3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 충돌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측면 지지구조를 갖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카울 크로스바(1)가 상부 장착 브라켓(2)과 하부 장착 브라켓(3)을 통해 내측 패널(4)에 접속되어 있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있어서, 내측 패널(4)과 외측 패널(5) 사이의 공간에는 완충 브라켓(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서포트(7)와 하부 서포트(8)가 상부 장착 브라켓(2)과 하부 장착 브라켓(3)을 감싸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바(1)와 내측 패널(4)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충돌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측면 지지구조를 갖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카울 크로스바가 설치되어 측면 충돌 하중을 흡수하여 측면 충돌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카울 크로스바는 상부 장착부와 하부 장착부에 의해 내측 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내외측 패널들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어,측면 충돌시 카울 크로스바가 충분히 지지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측면충돌시 핸들의 떨림이 심해지고 또한 충격하중으로 인해 승객이 사고를 당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울 크로스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에너지 분산효과에 의해 측면 충돌시의 충격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측면 지지구조를 갖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울 크로스바2 : 상부 장착 브라켓
3 : 하부 장착 브라켓4 : 내측 패널
5 : 외측 패널6 : 완충 브라켓
7 : 상부 서포트8 하부 서포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는, 카울 크로스바가 상부 장착 브라켓과 하부 장착 브라켓을 통해 내측 패널에 접속되어 있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있어서,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완충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서포트와 하부 서포트가 상부 장착 브라켓과 하부 장착 브라켓을 감싸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바와 내측 패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를 단면도로 각각 나타낸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바(1)는 상부 장착 브라켓(2)과 하부 장착 브라켓(3)을 통해 내측 패널(4)에 접속되어 있고, 내측 패널(4)과 외측 패널(5) 사이의 공간에는 완충 브라켓(6)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장착 브라켓(2)과 하부 장착 브라켓(3)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크로스바(1)를 수용하도록 통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장착 브라켓(2)과 하부 장착 브라켓(3)을 감싸도록 상부 서포트(7)와 하부 서포트(8)가 카울 크로스바(1)와 내측 패널(4)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이 상부 서포트(7)와 하부 서포트(8)도 결합하였을 때 통형을 이루어 내부에 상하부 장착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 충돌시 외측 패널(5)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면, 이 충돌하중이 외측 패널(5) 과 내측 패널(4)내부의 완충 브라켓(6)에 전달되어 이 완충 브라켓(6)에 의해 충돌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여 완화한 뒤 내측 패널(4)에 전달되고, 상하부 장착 브라켓(2,3)과 상하부 서포트(7,8)에 의해 충돌에너지를 2차로 고르게 분산시킨 다음, 카울 크로스바(1)에 전달됨으로써, 카울 크로스바(1)가 충돌하중 지지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측면충돌에 저항함으로써 핸들 떨림을 억제하고 측면 충돌로 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의하면, 측면 충돌시 내외측 패널 사이의 완층 브라켓과, 상하부 서포트에 의해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카울 크로스바가 충돌하중 지지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측면충돌에 저항함으로써 핸들 떨림을 억제하고 측면 충돌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카울 크로스바가 상부 장착 브라켓과 하부 장착 브라켓을 통해 내측 패널에 접속되어 있는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에 있어서,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완충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서포트와 하부 서포트가 상부 장착 브라켓과 하부 장착 브라켓을 감싸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바와 내측 패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KR2019960056650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KR19980043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50U KR19980043534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50U KR19980043534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34U true KR19980043534U (ko) 1998-09-25

Family

ID=5399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650U KR19980043534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5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7935A (zh) * 2014-12-08 2017-08-18 Lg电子株式会社 包含非磁性合金的热压变形的磁体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7935A (zh) * 2014-12-08 2017-08-18 Lg电子株式会社 包含非磁性合金的热压变形的磁体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3534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100325724B1 (ko) 루프레일의 보강구조
KR0140207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262191B1 (ko) 자동차의 카울 박스(cowl box) 구조
KR19980046265U (ko) 자동차의 후방범퍼 취부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100232472B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200150764Y1 (ko) 캡 오버형 트럭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48339U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프레임구조
KR19990030693U (ko) 프론트사이드맴버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44834U (ko)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KR19980029298U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Impact Bar)의 보강구조
KR19980027406U (ko) 자동차 프론트임팩트시 완충용 보강구조
KR19980038599A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장치
KR19980026480U (ko) 원박스형 차량의 사이드 패널 보강구조
KR19980026507U (ko) 프레임 장착 차량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33001U (ko) 자동차 크로스멤버 체결구조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44378U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범퍼
KR19980044316U (ko) 자동차의 범퍼장치
KR20000004058U (ko) 자동차의 카울탑 보강구조
KR19980048338U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