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887A -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 Google Patents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887A
KR19980042887A KR1019970063870A KR19970063870A KR19980042887A KR 19980042887 A KR19980042887 A KR 19980042887A KR 1019970063870 A KR1019970063870 A KR 1019970063870A KR 19970063870 A KR19970063870 A KR 19970063870A KR 19980042887 A KR19980042887 A KR 1998004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jugated diene
vinyl
compoun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치야스히또
하마나까다쓰오
Original Assignee
고사이아끼오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아끼오,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아끼오
Publication of KR1998004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의 (a), (b) 및 (c) 의 총 량에 대해, (a) 20 내지 70 중량 %, (b) 5 내지 60 중량 % 및 (c) 5 내지 50 중량 % 를 포함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
(a) :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 ;
(b) : 다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b-i)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블록 공중합체에서 50 % 이하이고, 2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중합체 블록 및 하나 이상의 공액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로 얻어진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 및
(b-ii)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 ;
(c) : (A)-(B) 블록 공중합체, (A)-(B)-(C) 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인 수소화 디엔 공중합체, [여기에서 (A)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중합체 블록, (B) 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 또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랜덤 공중합체 블록, (C)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이 점차 증가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테이퍼드 블록이고,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 잔기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또는 측쇄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기의 (1) 내지 (3)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되고, 공액 디엔 부분의 이중 결합 80 % 이상이 포화되며,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600000 임;
(1) : 공액 디엔에 대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비는 5/95 내지 60/40 이고,
(2) :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에 기초한 (A)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3 중량 % 이상이고, (A) 블록 및 (C)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총함량은 50 중량 % 이하이며,
(3) : (B) 블록에서 공액 디엔 부분에 있는 비닐 결합량은 50 % 초과.

Description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는, 본 발명은 스크레치 저항성, 저온 충돌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상기 기술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에어 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충돌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 백을 장착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에어 백은 평상시에는 에어 백 커버로 조절되고, 에어 백 커버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로 만들어 진다.
통상적으로, 성형품은 사용에 있어서 스크레치 저항성 및 그에 따른 외관을 보완하기 위하여 페인트칠되고 에어 백으로 사용되나, 최근에, 성형품은 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의 목적으로 페인트칠되는 것 이외에 에어 백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에어 백 커버의 우수한 외관을 위하여, 성형 과정, 스크레치 저항성, 저온 충돌성 등에서 유동성 향상이 더욱 요구된다.
JP-A-52-116537, JP-A-04-314648 등에 가교 결합된 올레핀-기재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또는 스티렌-기재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에어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로 만들어진 에어 백 커버는 외관 및 스크레치 저항성이 불충분하다.
게다가, 최근에는, 폴리프로필렌에 적합한 수소화 디엔-기재 공중합체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데, JP-A-06-136191 에 수소화 디엔-기재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기재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기재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된 충돌 저항에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JP07-188508A 에 수소화 디엔-기재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기재 수지 및 스티렌-기재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 유연성이 좋고 고탄성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레치 저항성, 저온 충돌 저항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에어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a), (b) 및 (c) 의 총 량에 대해, (a) 20 내지 70 중량 %, (b) 5 내지 60 중량 % 및 (c) 5 내지 50 중량 % 를 포함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
(a) :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 ;
(b) : 다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b-i)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블록 공중합체에서 50 % 이하이고, 2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중합체 블록 및 하나 이상의 공액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로 얻어진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 및
(b-ii)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 ;
(c) : (A)-(B) 블록 공중합체, (A)-(B)-(C) 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인 수소화 디엔 공중합체, [여기에서 (A)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중합체 블록, (B) 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 또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랜덤 공중합체 블록, (C)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이 점차 증가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테이퍼드 블록이고,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 잔기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또는 측쇄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기의 (1) 내지 (3)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되고, 공액 디엔 부분의 이중 결합 80 % 이상이 포화되며,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600000 임;
(1) : 공액 디엔에 대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비는 5/95 내지 60/40 이고,
(2) :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에 기초한 (A)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3 중량 % 이상이고, (A) 블록 및 (C)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총함량은 50 중량 % 이하이며,
(3) : (B) 블록에서 공액 디엔 부분에 있는 비닐 결합량은 50 % 초과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에어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 (a)는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2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2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예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1-데센,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1-옥텐 등과 같은 것이고, 그에 따른 바람직한 예는 에틸렌을 포함하고 이러한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 하나이다.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의 용융 유속 속도는 0.1 내지 100 g/1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g/10 분 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 (b)로 사용된 성분 (b-i)는 2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중합체 블록 및 하나 이상의 공액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로 얻어진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이다. 중합체 블록의 총 수는 보통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성분 (b-i)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특정 예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스티렌이 산업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성분 (b-i)에서 공액 디엔 화합물의 특정 예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2-네오펜틸-1,3-부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2-시아노-1,3-부타디엔 등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이 산업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50 중량 % 이하이다. 여기에서,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공액 디엔의 중합화에 더한 1,2- 또는 3,4-부가비를 의미한다.
성분 (b-i)에서 공액 디엔 화합물에 대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35/75 이다. 비가 너무 작으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장력이 낮아지고, 그에 따른 저온 충돌 저항성도 낮아진다. 반면에, 비율이 너무 높으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유연성은 나빠져서, 그에 따른 저온 충돌 저항성도 나빠진다. 또한, 비닐 결합량이 50 % 초과일 때, 저온 충돌 저항성이 나빠진다.
성분 (b-i)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 초과, 15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20000 이다. 분자량이 너무 크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서 분산 입자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충돌 저항성도 나빠지며 유동성도 감소한다.
성분 (b-ii)은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이다.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가 예시되어 있다.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에서 α-올레핀의 예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켄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12 의 α-올레핀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비공액 디엔은, 예시된 바와 같이, 예컨데, 1,4-헥사디엔과 같은 직쇄 비공액 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5-에틸리덴-2-노보넨과 같은 시클릭 비공액 디엔이다.
성분 (b-ii) 은 저온 충돌 저항성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 (C)는 (A)-(B) 블록 공중합체, (A)-(B)-(C) 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이고[여기에서, (A)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블록, (B)는 공액 디엔 공중합체 블록 또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랜덤 공중합체 블록, (C)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테이퍼드 블록을 나타내고,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 잔기를 매개로하여 견고하게 또는 측쇄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기의 (1) 내지 (3)을 만족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되고, 공액 디엔 부분에서 이중 결합의 80 % 이상이 포화되며,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600000 이다.
(1) : 공액 디엔에 대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비는 5/95 내지 60/40 이고,
(2) :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에 기초한 (A)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결합량은 3 중량 % 이상이고, (A) 블록 및 (C)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총 함량은 50 중량 % 이하이며,
(3) : (B) 블록에서 공액 디엔 부분에서 비닐 결합량은 50 % 초과이다.
성분 (c)에서 블록 공중합체에서 공액 디엔에 대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비(블록 공중합체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는 5/95 내지 60/40이고,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15/85 이다. 중량비가 너무 낮으면, 성분 (c) 의 점착성이 증가되어 제조에 있어서 작동성이 나빠진다. 반면에, 비율이 너무 높으면, 성분 (c)의 경도가 증가되어 그에 따른 유연성 및 충돌 저항성이 감소된다.
성분 (c)에서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에 기초한 (A) 블록에서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3 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 이다. 함량이 너무 낮으면, 성분 (c)의 점착성이 증가되어, 제조에 있어서 작동성이 나빠진다.
(c) 성분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A) 블록 및 (C)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총 함량은 50 중량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이다. 함량이 너무 높으면, (c) 성분의 경도가 증가하여, 유연성 및 충돌 저항성이 감소될 수 있다.
성분 (c)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B) 블록에서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5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 초과이다. 함량이 너무 낮으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유연성 및 스크레치 저항성이 나빠진다.
성분 (c)에서, 상기 언급한 블록 공중합체에서 공액 디엔 부분에서 이중 결합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 포화된다. 포화비율이 너무 낮으면, 열 저항성 및 날씨 저항성이 나빠진다.
성분 (c)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6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 이다.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결과 성형품은 점착성을 가질 수 있고 낮은 충돌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유동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성분 (a)의 20 내지 70 중량 %, 성분 (b)의 5 내지 60 중량 % 및 성분 (c)의 5 내지 50 중량 % (여기에서 (a)+(b)+(c)=100 중량 %)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성분 (a)의 25 내지 55 중량 %, 성분 (b)의 15 내지 50 중량 % 및 성분 (c)의 15 내지 45 중량 %를 포함한다. 성분 (a)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열저항성, 유동성 및 스크레치 저항성이 나빠지고, 반면, 성분 (a)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유동성 및 충돌 저항성이 나빠진다. 성분 (b)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저온 충돌 저항성이 나빠진다. 성분 (b)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유동성 및 충돌 저항성이 감소한다. 성분 (c)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스크레치 저항성 또는 유동성이 나빠지고, 성분 (c)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저온 충돌 저항성이 나빠지고 결과 성형품의 고정성이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JIS K7203 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200 kg/cm2초과, 바람직하게는 3000 kg/cm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0 kg/cm2이하의 굴곡 계수를 갖는다. 굴곡 계수가 너무 높으면, 저온 충돌 저항성 및 스크레치 저항성이 나빠진다.
상기 기술한 다양한 조성물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항산화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염료, 충진제 및 연소 지연제를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윈 스크류 사출 성형기, 밴버리(Banbury) 혼합기 등을 사용한 용융 반죽법을 언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동적 가교 결합과 같은 복잡한 제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소위 단순 혼합에 의해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성물은 제조 비용의 측면에 있어서도 장점을 갖는다.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훌륭한 성질들을 사용하여 만든 에어 백 커버로 제조된다. 에어 백 커버는 스크레치 저항성 및 저온 충돌 저항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 원료
하기의 원료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성물을 얻는데 사용된다.
(a)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
a-1 :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부분의 함량 ; 17 중량 %, 랜덤 공중합체 부분의 에틸렌 함량 ; 40 중량 %, 230 ℃에서 2.16 kg 부하의 MFR(melt flow rate) ; 65 g/10 분)(PP 블록(a-1))
a-2 :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부분의 함량 ; 13 중량 %, 랜덤 공중합체 부분의 에틸렌 함량 ; 40 중량 %, 230 ℃에서 2.16 kg 부하의 MFR(melt flow rate) ; 31 g/10 분)(PP 블록(b-1))
(b-i)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
b-1 : 수소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Shell Chemical Corp. 에 의해 제조된 Clayton G1657 (수평균 분자량 ; 80000, 스티렌 함량 ; 13 중량 %)(SEBS(b-1))
b-2 :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PS), Kuraray Co., Ltd. 에 의해 제조된 Septon 2063 (200 ℃에서 10 kg 부하의 MFR 은 22 g/10분이고, 스티렌 함량 13 %)(SEPS(b-2))
(b-ii)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
b-3 : Mooney 점도(ML1+4121 ℃)가 33 이고 프로필렌 함량이 27 중량 %(EPR(b-3))인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c) 수소화 디엔-기재 공중합체
c-1 : 수소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h-SBR),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에 의해 제조된 Dynalon 1320P(230 ℃에서 2.16 kg의 부하의 MFR ; 3.5 g/10분, 스티렌 함량 ; 10 중량 %, 부타디엔 부분의 수소화 비율 ; 99 %)(h-SBR(c-1))
[II] 첨가제
하기의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첨가제는 다음과 같다 :
항산화제 : Sumilizer BP-101 (Sumitomo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
0.1 중량 %
광 안정제 : Sanol LS770 (Ciba Geigy Ltd. 에 의해 제조)
0.05 중량 %
자외선 흡수제 : Sumisorb 300 (Sumitomo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
0.1 중량 %
윤활제 : 에루크 아미드 0.15 중량 %
결과 조성물을 사용하여, 주입 성형을 220 ℃의 실린더 온도 및 50 ℃의 성형 온도에서 수행하고, 물리적 성질을 측정한다.
[III] 측정 및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기술된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Melt flow rate(MFR) : JIS K7112(온도 ; 230 ℃, 부하 ; 2.16 kg)
(2) 경도 : ASTM D2240
(3) 굴곡 시험 : JIS K7203
(4) 장력 시험 : JIS K6301 (200(mm/min)의 장력 속도에서 No.3 dumbbell을 사용)
(5) 아이조드 충돌시험 : ASTM D256 (노치를 포함한 시험 피스의 두께는 12 mm)
(6) 스크레치 저항 시험 : 2 mm 두께의 압축 시트 샘플을 장치로부터 구별되는 표면성질을 사용하여 500 g 의 부하인 스크레칭 바늘로 일정한 속도로 스크레치한다 ; TRIBOGEAR(Shinto Kagaku K.K. 에 의해 제조). 형성된 홈의 깊이는 접촉형 표면 거칠음 측정장치에 의해 μm 로 측정되었다 ; Surfcom (Tokyo Seimitsu K.K. 에 의해 제조).
실시예 1
Block PP(a-1)(50 중량 %), SEBS(b-1)(25 중량 %), h-SBR(c-1)(25 중량 %) 및 첨가제를 200 ℃의 실린더 온도 세트에서 트윈 스크류 사출 성형기로 반죽하여 펠렛을 만든다. 결과 조성물을 주입-성형하어 시험 피스를 만들고, 물리적 성질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의 결과로부터, 조성물은 에어 백 커버로 사용되기에 충분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5
표 1, 2 및 3 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 피스의 제조 및 산출은 실시예 1 을 반복한다.
결과로부터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다. 실시예로부터 유동성, 저온 충돌 저항성, 스크레치 저항성 등에 있어서, 에어 백 커버로 사용되기 위한 물리적 성질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 및 2 로부터, 조성물이 에어 백 커버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성분 (a) 내지 (c) 중 어느 하나라도 결핍된 비교예는 표 3 에서 볼 수 있듯이, 에어 백 커버로 쓰이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레치 저항성, 저온 충돌 저항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에어 백 커버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Claims (8)

  1. 하기의 (a), (b) 및 (c) 의 총 량에 대해, (a) 20 내지 70 중량 %, (b) 5 내지 60 중량 % 및 (c) 5 내지 50 중량 % 를 포함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
    (a) : 폴리프로필렌-기재 수지 ;
    (b) : 다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b-i) 공액 디엔 부분의 비닐 결합량은 블록 공중합체에서 50 % 이하이고, 2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중합체 블록 및 하나 이상의 공액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로 얻어진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 및
    (b-ii) 에틸렌-α-올레핀-기재 공중합체 고무 ;
    (c) : (A)-(B) 블록 공중합체, (A)-(B)-(C) 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인 수소화 디엔 공중합체, [여기에서 (A)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 중합체 블록, (B) 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 또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랜덤 공중합체 블록, (C) 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이 점차 증가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액 디엔 테이퍼드 블록이고,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 잔기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또는 측쇄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기의 (1) 내지 (3)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되고, 공액 디엔 부분의 이중 결합 80 % 이상이 포화되며,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600000 임;
    (1) : 공액 디엔에 대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비는 5/95 내지 60/40 이고,
    (2) :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에 기초한 (A)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3 중량 % 이상이고, (A) 블록 및 (C) 블록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총함량은 50 중량 % 이하이며,
    (3) : (B) 블록에서 공액 디엔 부분에 있는 비닐 결합량은 50 % 초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b-i)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스티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b-i)에서 공액 디엔 화합물이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b-i)에서 공액 디엔 화합물에 대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중량비가 10/90 내지 50/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b-i)의 수평균 분자량이 15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ii)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JIS K7203 에 따라 측정한 유연성 계수가 3000 kg/c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8. 제 1 항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에어 백 커버.
KR1019970063870A 1996-11-28 1997-11-28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KR19980042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27996 1996-11-28
JP96-318279 199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87A true KR19980042887A (ko) 1998-08-17

Family

ID=1809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870A KR19980042887A (ko) 1996-11-28 1997-11-28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80042887A (ko)
DE (1) DE19752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6510B1 (en) 1997-11-19 2001-01-2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cover containing a block copolymer polypropylene resin blend
JP4453123B2 (ja) 1998-09-30 2010-04-21 マツダ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MXPA02007422A (es) 2000-01-31 2002-12-09 Advanced Elastomer Systems Elastomeros termoplasticos que tienen propiedades adhesivas mejoradas.
DE10218087B4 (de) 2002-04-23 2008-04-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arzzusammensetzung für ein Batteriegehäuse für eine Sekundärbatterie und Batteriegehäuse für eine Sekundärbatterie
CN102348752B (zh) * 2009-03-12 2013-07-17 旭化成化学株式会社 聚丙烯系树脂组合物、其成型品和使用其的汽车用内外装材料
WO2019119392A1 (en) * 2017-12-22 2019-06-27 Borouge Compounding Shanghai Co., Ltd. Soft polyolef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52658A1 (de) 199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282B1 (ko) 자동차내외장재용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US4687804A (en) Exterior body part for automotive vehicle
US4737536A (en) Automobile bumper formed of thermoplastic multicomponent resin
US6106011A (en) Air bag cover from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mixture and polyolefin
AU712107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automotive inner and outer trims
JP571660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US6045152A (en) Automobile safety bag assembly incorporating air bag cover of improved thermoplastic elastomer
US6812285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a powder for slush molding and skin formed therefrom
JP2001279030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9980042887A (ko) 에어 백 커버용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및 에어 백 커버
JP20130358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EP0936248B1 (en) Crystalline propylene block-copolymer composition for use in automobile parts
JP3830812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一体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用の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3041088A (ja) 自動車外装用樹脂組成物
JP3661273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1029836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10212381A (ja) エアバッグカバー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カバー
US6060551A (en) Air bag cover for passenger
EP0933394A4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KR20040084293A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 성형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EP1219506A2 (en) Air bag housing cover
JPH1087902A (ja) 架橋樹脂組成物
JP361066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2283877A (ja) 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ー
JPH10259281A (ja) 無塗装対応ポリマーアロ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