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753A -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753A
KR19980042753A KR1019970062971A KR19970062971A KR19980042753A KR 19980042753 A KR19980042753 A KR 19980042753A KR 1019970062971 A KR1019970062971 A KR 1019970062971A KR 19970062971 A KR19970062971 A KR 19970062971A KR 19980042753 A KR19980042753 A KR 19980042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expansion
inlet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952B1 (ko
Inventor
무라카미다카시
야마다게이이치
오쿠다요리히토
Original Assignee
다카키고이치
가부시키가이샤간세이
하나와요시가즈
닛산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키고이치, 가부시키가이샤간세이, 하나와요시가즈, 닛산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키고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4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인플레이터의 복잡한 팽출압력설정을 완화할 수가 있고, 게다가 팽출의 방향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멘트 패널의 상면 가까이에 형성된 팽출개구에 대향되고 동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압력유제가 도입구에 공급되어 팽출할때에 그 도입구를 끼고 차량의 전후방향에 각각 신장하여 팽출전개하는 차량전방측 부위와 차량후방측 부위와를 갖도록 상기 인스트루멘트 패널내에 수납된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전방측 부위에 초기팽출시에 있어서 차량전방측 부위에의 압력유체의 도입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수단을 설치하고, 차량전방측 부위의 팽출전개를 차량후방측 부위의 팽출전개보다도 지연시켰다.

Description

에어백
본발명은 소정형상의 포목체를 포개어 맞추어서 그의 둘레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하는 것으로 봉지상으로 하고, 포목체의 일방에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동반하는 분출가스의 도입구가 형성되어 그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분출가스에 의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면근처에 형성된 팽출개구로부터 차체경사 후방을 향하여 팽출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승용차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조수석측에 에어백장치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형상이나 설치 스페이스 등의 관계로부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면 근처에 에어백의 팽출개구를 설치한 것이 있다.
한편, 에어백장치는 팽출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를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일체, 그렇지않으면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는 덮개의 이면과 대향하도록 인플레이터를 설치하여 있다.
인플레이터에는 소정형상의 포목체를 포개어 맞추어서 그 둘레가장자리부 끼리를 접합하는 것으로 봉지상으로된 에어백이 부설되어 있다. 한쪽의 포목체의 대략 중앙에는 압력유체의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의 작용에 동반하여 분출된 압력유체(예를들면, 가스)에 의하여 팽창을 개시한다. 덮개는 에어백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개열(開裂)되어 팽출개구를 개방한다.
에어백은 계속한 팽창에 의하여 팽출개구로부터 차체 경사후방을 향하여 팽출하는 것으로 조수석측의 승무원의 두부등을 받아 멈추고, 두부등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당접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그런데 에어백은 긴급시에 있어서 승무원의 두부등을 보호한다라는 관점에서 팽출을 이르는 시간을 매우 짧게 설정하여야만 된다.
여기서, 에어백의 팽창을 빨리 설정하기 위하여 압력유체의 분출압이 높아지도록 인플레이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압력유체의 분출압을 높이하면, 승무원 구속성의 조정을 위하여 인플레이터의 설정이 매우 복잡한 것으로 된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같이 팽출개구를 위로 향하게 하였을 때, 팽출개구의 상방에는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가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은 팽출개구로부터 팽출하였을 경우에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를 피하든가 강한 압력으로 부딪치지 않도록 방향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복잡한 팽출압력설정을 완화할 수가 있고 게다가, 팽출의 방향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을 도시하고,
도 1a 내지 도 1c는 지연수단의 패턴을 도시한 에어백의 배면도,
도 2a는 접어갠 상태의 에어백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IIB-IIB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같이 에어백의 팽출상태를 시계열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에어백을 수납한 상태의 에어백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다음에 본발명의 에어백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1은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 2는 자동차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3은 하이마운트식의 에어백장치이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상면(2a)에는 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장치(3)는 개구(2b)에 클립(4,4)를 통하여 유지된 수지성의 덮개(5)와, 도시하지 않은 차체의 일부(예를들면 스티어링 서포트 멤버)에 브래킷(6)을 통하여 고정된 모듈하우징(8)과, 모듈하우징(8)과 덮개(5)로 형성된 수납공간(9)내에 접어개어서 수납된 에어백(10)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모듈하우징(8)은 결합부재(7,7)을 통하여 덮개(5)의 각부(脚部)(5a, 5a)도 연결되어 있다.
덮개(5)에는 정면에서보아 H자 형상의 개열홈(5b)(전체적인 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의 개열홈(5b)은 에어백(10)의 팽창에 동반하는 압압력에 의하여 개열한다. 이 경우, 덮개(5)는 도 4에 도시한 부분의 개열홈(5b)을 자유단부로서 서로 이반(離反)하는 화살표 A,A' 방향으로 열므로써 팽출개구(5c)를 형성한다.
모듈하우징(8)은 압력유체(예를들면, 가스)를 분출하는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11)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디퓨저(12)와, 디퓨저(12)에 결합부재(13,13)을 통하여 연결된 어퍼하우징(14)을 구비하고 있다. 디퓨저(12)에는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디퓨저(12)는 인플레이터(11)로부터 분출된 압력유체의 분출량이나 분출방향을 제어한다. 그의 제어에는 디퓨저(12)의 형상, 개구(12a)의 형성위치나 면적에 의하여 행한다. 어퍼하우징(14)은 디퓨저(12)의 상부에 에어백 수납공간(9)을 형성한다. 또 어퍼하우징(14)은 결합부재(7,7)을 통하여 덮개로도 결합되어 있다.
에어백(10)은 소정형상의 포목체를 포개어 맞춘 상태에서 그의 둘레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하는 것으로 봉지상으로 되어 있다.
포목체의 한쪽에는 개구(12a)로부터 분출된 압력유체를 봉지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에어백(10)에는 도입구(10a)의 일부에 따라 연재된 봉제에 의한 지연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에어백(10)에는 장치 여유분(10b)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여유분(10b)은 개구 12a에 도입구(10a)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디퓨저(12)를 덮는다. 장치여유분(10b)은 디퓨저(12)를 덮은 상태에서 어퍼하우징(14)와 디퓨저(12)와 함께 결합부재(13,13)로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에어백(10)은 도 2a, 2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팽창전개한 상태를 기준으로하여 도입구(10a) 보다도 차체좌우에 위치하는 부분을 도입구(10a)측으로 향하여 복수로 접어갠후, 도입구(10a) 보다도 차체 상하에 위치하는 부분을 도입구 측에 향하여 긁어모아, 도입구(10a) 보다도 차체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수납공간(9)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전방에 위치한 편(팽창 전개시에 있어서 도입구(10a) 보다도 차체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로울감기,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후방(팽창 전개시에 있어서 도입구(10a) 보다도 차체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주름 꺾음하여 수납공간(9)내에 수납되어 있다. 로울감기는 팽창전개할때에 차체 상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방향으로 감겨있다. 주름꺾음은 선단(팽창 전개시에 있어서 차체하단)에서 중도부까지를 소정폭으로 번갈아 되접어 꺾는다. 이 되접어 꺾은 것은 도입구(10a) 근처의 나머지 부분에서 말려들어가고 있다. 말려들어가는 방향은 주름꺾음한 부분의 차체상방(수납 상태에서)에 도입구(10a) 근처의 부분이 위치하도록 말려들어간다.
지연수단(15)은 인플레이터(11)의 작동에 동반하는 에어백(10)의 초기 팽출시에 있어서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전방측(도 4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동시에 도입구(10a)의 근방에 위치한다.
또, 지연수단(15)의 연재방향 및 범위는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에어백(10)내에의 압력유체의 도입을 차단하는 상황이면 좋다. 이를 위하여, 도 1a 내지 1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지연수단(15)에 사용되는 실의 재질에는 나일론(상표등록)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지연수단(15)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절단되면 좋기 때문에 그의 굵기등의 설정에 의하여 적당한 재질의 것이라도 좋다.
또,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연수단(15)의 연출형상을 대략 직사각형의 도입구(10a)의 일부에 따르는 역 U자 형상으로한 경우에는 이 지연수단(15)의 설정길이를 길게하지 않더라도 에어백(10)의 팽출초기의 지연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지연효과란 도 4에 도시한 수납상태의 에어백(10)중 인플레이터(11)의 작동에 동반하는 에어백(10)의 초기 팽출시에 도입구(10a)로부터 차량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의 팽출보다도 도입구(10a)로부터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부위의 팽출을 느리게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10)은 한쪽에 도입구(10a)를 형성한 소정 형상의 포목체를 포개맞춘상태로 그의 둘레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한다. 그후에 표리를 역으로하여 둘레가장자리부의 시접이 내측으로 되도록 봉지상으로 한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장치 여유분(10b) 및 지연수단(15)을 설치한다.
다음에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입구(10a)를 형성한 포목체와 역측에서 또한 도입구(10a)의 소구방향으로 따르는 절선이 되도록 에어백(10)을 접어갰다. 그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주름꺾고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로울감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접어갠 상태에서 장치여유분(10b)내에 인플레이터(11)를 세트한 디퓨저(12)를 삽입한후, 이들과 어퍼하우징(14)을 일체로 결합부재(13,13)에 의하여 결합한다.
어퍼하우징(14)에는 미리(그렇지 않으면 상술한 상태후에) 결합부재(7,7)에 의하여 덮개(5)가 장착되고, 이 덮개(5)는 클립(4,4)를 통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11)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11)로부터 압력유체가 분출된다. 이 압력유체는 디퓨저(12)에 의하여 분출량이나 분출방향이 제어되면서 개구(12a)로부터 도입구(10a)로 향하고 도입구(10a)로부터 에어백(10)내로 압력유체가 도입된다. 에어백(10)은 이 압력유체의 도입에 동반하여 팽창한다. 에어백(10)이 팽창을 개시하면 우선 덮개(5)의 일부를 개열시켜(이 경우에는 H 형상의 개열홈에 따라) 팽출개구(5c)를 형성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팽출개구(5c)로부터 에어백(10)이 서서히 팽출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에어백(10)의 팽출초기상태를 시계열로 도시한다.
에어백(10)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지연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에어백(10)의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로울감기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1)로 부터의 압력유체는 주로, 차량 후방측으로 향하여 팽출하는 방향으로 도입하기 쉽게되어 있다.
도 3의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면(2a)으로부터 팽출한 직후는 상면(2a)의 상방에서 약간 차량 후방을 향하여 팽출한다. 그후 도 3의 2점쇄선, 3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1)의 경사면에 대략 따르도록 차체 경사후방(화살표 P1 방향)으로 크게 팽출한다.
그리고, 도입구(10a)로부터 차량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팽출이 대략 완료하면 인플레이터(11)로부터 계속하여 분출된 압력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지연수단(15)이 절단된다. 이로서 차량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본격적으로 팽창하기 시작한다.
차량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에어백(10)의 팽창은 실제의 팽출방향은 차체 경사후방이다(디퓨저(12)의 분출제어방향이 차체경사 후방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앞서 팽출하고 있었던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선단이 차체하방(화살표 P1방향)으로 향하도록 팽출이 계속된다.
따라서, 에어백(10)은 지연수단(15)에 의하여 인플레이터(11)로부터 분출된 압력유체의 도입이 단계적으로 제어된다. 즉,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먼저 도입되고,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후에 팽출한다.
에어백(10)은 실질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상면(2a)으로부터 차체 경사 후방으로 향하는 팽출이면서 그의 팽출궤적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측면에서 볼 때 곡선에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것과 같은 팽출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에어백(10)은 인플레이터(11)의 분출압력설정을 복잡하게하는 일없이 승무원측으로 향하는 팽출압력을 저감하면서 동시에 승무원의 받아냄 면적을 넓게 확보할수 있다.
이 경우,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 전방에 위치한 부위를 로울감기로하고, 도입구(10a) 보다도 차량후방에 위치한 부위를 주름꺾음하여 수납공간(9)내에 수납한 것으로 인하여 지연수단(15)과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상술한 효과를 한층 더 확실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형성되는 팽출개구(5a)가 위로 향함에도 불구하고,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1)의 부딪침을 그다지 강하게 하지 않고 끝날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도입구의 안에서 초기팽출시에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근방에 차량전방측을 팽출시키기 위한 유체의 도입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인하여 인플레이터의 복잡한 팽출압력설정을 완화시킬수 있어 게다가 팽출의 방향제어를 용이하게 할수도 있다.

Claims (6)

  1.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면 근처에 형성된 팽출개구에 대향되고 동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압력유체가 도입구에 공급되어 팽출할때에 그 도입구를 끼고, 차량의 전후방향에 각각 신장하여 팽출전개하는 차량 전방측 부위와 차량 후방측 부위를 갖도록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에 수납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방측 부위에 초기팽출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방측 부위의 압력유체의 도입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차량 전방측 부위의 팽출전개를 상기 차량 후방측 부위의 팽출전개보다도 느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차량전방측 부위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의 근방에서 또한 적어도 그의 일부가 상기 도입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도입구의 상기 차량전방측 부위 근처의 개구가장자리부 및 그의 양가장자리부에 따라 대략 U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차량 좌우 폭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차량 전방측 부위를 형성하는 한쌍의 포목체 끼리를 접합하고 동시에 소정압력에 의하여 접합을 해제하는 봉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전방측 부위는 로울감기 상태로 동시에 상기 차량후방측 부위는 주름꺾음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KR1019970062971A 1996-11-26 1997-11-26 에어백 KR10027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75996A JP3759262B2 (ja) 1996-11-26 1996-11-26 エアバック
JP96-314759 1996-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53A true KR19980042753A (ko) 1998-08-17
KR100272952B1 KR100272952B1 (ko) 2001-04-02

Family

ID=1805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971A KR100272952B1 (ko) 1996-11-26 1997-11-26 에어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2144A (ko)
JP (1) JP3759262B2 (ko)
KR (1) KR100272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40821D1 (de) * 1997-03-26 2009-06-25 Toyota Motor Co Ltd Innenfahrzeugteile mit einer airbagaustrittsklappe und giessmethode dafür
JP3405182B2 (ja) * 1998-03-27 2003-05-12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191884A (ja) * 2000-01-14 2001-07-17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4608072B2 (ja) 2000-02-25 2011-01-0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692024B2 (en) 2000-09-14 2004-02-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US6832779B2 (en) * 2000-12-28 2004-12-21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for passenger's seats
US20040251669A1 (en) * 2001-03-30 2004-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and an associated apparatus
JP2008056007A (ja) * 2006-08-30 2008-03-1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KR101033788B1 (ko) * 2008-10-14 2011-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JP5465117B2 (ja) * 2010-07-13 2014-04-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29125B2 (ja) 2010-09-29 2014-02-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765314B2 (ja) * 2012-09-28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9573552B2 (en) 2013-06-19 2017-02-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lay orifice opening
DE102013225054B4 (de) * 2013-12-05 2016-07-14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2551A1 (de) * 1977-05-18 1978-11-30 Daimler Benz Ag Aufblasbares aufprallschutzkissen
DE3818185C1 (ko) * 1988-05-28 1989-08-17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160164A (en) * 1991-06-05 1992-11-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Gas deflection device for an air bag assembly
US5421610A (en) * 1991-07-26 1995-06-06 Airbags International Limited Inflatable airbag
AU654090B2 (en) * 1992-10-16 1994-10-20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chamber passenger air bag cushion with interchamber venting
JP3078943B2 (ja) * 1993-02-26 2000-08-2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バッグの折畳み方法
US5378019A (en) * 1993-03-11 1995-01-03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rolled deployment driver's side air bag
US5395134A (en) * 1993-04-02 1995-03-07 Morton International, Inc. Passenger side air bag with controlled deploy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952B1 (ko) 2001-04-02
JPH10152008A (ja) 1998-06-09
US6042144A (en) 2000-03-28
JP3759262B2 (ja)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0021B2 (ja) 乗り物内の抑制装置
KR100272952B1 (ko) 에어백
US5178407A (en) Folded air bag
JP3456754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
US5048863A (en) Anti-collision cushion for the occupants of a motor vehicle
KR100261388B1 (ko) 측면충돌용 에어백
US7195279B2 (en) Gas flow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7878538B2 (e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KR100948387B1 (ko) 승객석 에어백
KR100500099B1 (ko) 에어백 시스템
JP2005041457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H1035382A (ja) ガスバッグ
US6848705B2 (en) Airbag cover with multi-axis deployment
US6619691B1 (en) Passenger-side airbag device
JPH1018149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
JPH0939710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5342087A (en) Air bag for vehicle safety device
JP2000247199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1171456A (ja) エアバッグ
JP200517860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336609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5178605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20060131843A1 (en) Air bag module
JP3652450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3366051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