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671A - 접속 케이블과 통신 장치와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케이블과 통신 장치와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671A
KR19980042671A KR1019970062124A KR19970062124A KR19980042671A KR 19980042671 A KR19980042671 A KR 19980042671A KR 1019970062124 A KR1019970062124 A KR 1019970062124A KR 19970062124 A KR19970062124 A KR 19970062124A KR 19980042671 A KR19980042671 A KR 1998004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line
cable
signal lines
high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211B1 (ko
Inventor
후지모리다카히로
요시노가즈오
구사가야야스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4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공통 모드시의 신호선 간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한다. IEEE 1394 규격의 6핀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선(11) 및 2세트의 신호선(12,13)이 내장되어 있고, 6 개의 도선(전원선(ll) 2개, 신호선(12,13) 각 2개, 합계 6개)에 대응하는 6 개의 전기적인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는 선단부(l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6핀 케이블(1)의 신호선(12,13)에는, 신호선(12,13)의 주위에 폐자로를 형성하고 있는 페라이트 비즈(14,1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속 케이블과 통신 장치와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접속 케이블과 통신 장치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신호선에 각각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閉磁路)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배치하여, 신호선의 2개의 도선에서의 신호의 동상 성분에 기인하는, 신호선 간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하는 접속 케이블과 통신 장치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 비디오 기기 등의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서, IEEE 1394 고성능 직렬 버스 규격(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23에는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각각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워크스테이션(101), 퍼스널 컴퓨터(l02), 하드디스크(103), 프린터(104), 스캐너(105), 전자 카메라(106) 및 CD(컴팩트 디스크)-ROM 드라이브(l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워크스테이션(101) 내지 스캐너(l05)는, IEEE 1394 규격에 준한 1394 케이블(111-1 내지 111-4)로 데이지 체인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자 카메라(l06) 및 CD-ROM 드라이브(107)가 l394 케이블(111-5,111-6)로 워크스테이션(101)에 트리 접속되어 있다.
도 24에는 예컨대 상술한 워크스테이션(l0l) 내지 CD-ROM 드라이브(l07) 중의 소정의 2개의 장치(14lA,141B)의 접속 예가 도시되어 있다.
l394 케이블(111)은 IEEE l394 규격에 준한 케이블이고, 2 세트의 트위스트 페어의 신호선(12,l3)을 가지고 있고(6 핀 케이블의 경우에는 또한 2개의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음), 양단에 4 핀 또는 6 핀의 플러그(125-1,125-2)를 가지고 있다.
도 25에는 1394 케이블(1ll)의 단면의 일예(6 핀 케이블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1394 케이블(111)에 있어서, 각 신호선(12,13)에는 신호선 실드(17-1,17-2)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신호선(l2,13)과 전원선(11-l,ll-2)의 외측에는 케이블 전체 실드(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4의 장치(14lA,141B)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의 일부인 TPA(Twist Pair A) 인터페이스(151A,151B)와 TPB(Twist Pair B) 인터페이스(152A,152B)를 각각 가지고 있다.
TPA 인터페이스(l51A,15lB)와 TPB 인터페이스(152A,152B)는 2개의 장치(141A,14lB)의 사이에서의 신호 송수신을 각각 행함과 동시에, IEEE 1394 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소정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케이블)의 사용 허가 정보(아비트레이션 정보)의 송수신도 행한다.
또한, TPB 인터페이스(152A,152B)는 IEEE 1394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복수 종류의 최대 전송 속도중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전압의 직류 신호를,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TPA 인터페이스(l51B,15lA)에 각각 공급한다.
도 26에는 TPA 인터페이스(l5lA,151B)의 전기적인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드라이버(161)는 스트로브(Strobe) 인에이블 신호(Strb_Enable)가 공급되면, 전송된 데이타에 대응하는 스트로브 신호(Strb_Tx)를 증폭한 후에, TPA 신호로서, 신호선(l2) 또는 신호선(13)의 2개의 도선중 한 쪽을 통해 송신함과 동시에, TPA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를 TPA*신호로서 동일한 신호선의 다른 쪽의 도선을 통해 송신한다.
예컨대, 도 24의 장치(14lA)의 TPA 인터페이스(l5lA)의 드라이버(161)는 신호선(12)을 통해 TPA 신호 및 TPA*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는 데이타 전송 시의 부호화에, DS-Link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DS-Link 방식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데이타가 1개의 신호선으로 전송됨과 동시에, 그 데이타의 값이 변하지 않을 때 값이 변화하도록 하여 생성되는 스트로브 신호가 다른 신호선으로 전송된다. 또한, 데이타와 스트로브 신호의 배타적 논리합을 계산함에 따라, 클럭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수신기(l62)는 신호선(12) 또는 신호선(13)의 2개의 도선을 통해 전송된 신호의 차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증폭한 후에, 수신한된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아비트레이션 비교기(163-1,163-2)는 데이타와 마찬가지로, 신호선의 2개의 도선을 통해 전송된 아비트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의 차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응하는 값을 수신된 아비트레이션 정보로서 각각 출력한다.
버퍼(164)는 소정의 기준 전압(TpBias)을 비교기(165)에 공급한다.
비교기(165)는 복수의 비교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고, 신호선(12) 또는 신호(13)를 통해 공통 모드(TPA 신호와 TPA*신호가 동상인 모드)로 전송되어 오는 최대 전송 속도에 대응하는 직류 신호의 전압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최대 전송 속도(예컨대, 400 Mbps, 200 Mbps 및 100 Mbps)에 대응하는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의 정보)를 출력한다.
도 28에는 TPB 인터페이스(l52A,152B)의 전기적인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드라이버(171)는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Data_Enable)가 공급되면, 전송하는 데이타 신호(Data-Tx)를 증폭한 후, TPB 신호로서, 신호선(12) 또는 신호선(13)의 2개의 도선중의 한 쪽을 통해 송신함과 동시에, TPB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를 TPB*신호로서, 동일한 신호선의 다른 쪽의 도선을 통해 송신한다.
수신기(l72)는 신호선(12) 또는 신호선(l3)의 2개의 도선을 통해 전송되어온 신호의 차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증폭한 후에, 수신된 스트로브 신호로서 출력한다.
아비트레이션 비교기(174-1,174-2)는 데이타와 마찬가지로, 신호선(12) 또는 신호선(13)의 2개의 도선을 통해 전송되어 온 아비트레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의 차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응하는 값을 수신된 아비트레이션 정보로서 각각 출력한다.
케이블 접속기(l75)는 케이블(111)이 접속된 것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전압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정전류 회로(173-1,173-2)는 이들 회로(l73-1,173-2)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에 대응하는 신호(Speed-Tx)가 공급되면, 그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TPB 신호 및 TPB*신호로서, 동상(공통 모드)인 소정의 전압을 발생하고, 스피드 시그널링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도 24의 장치(l41A)와 장치(141B)간의 통신에 대해 설명한다.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로 접속된 장치(141A,141B)에 있어서는, 패스 리세트시에, 먼저, 스피드 시그널링 처리로서, 각각의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장치에 공통 모드로 통지된다.
이때, 각 장치의 TPB 인터페이스(l52A,152B)가 정전류 회로(173-1,173-2)로 그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신호선(12) 및 신호선(13)에 마찬가지로 인가하고, 그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TPA 인터페이스(151B,15lA)가 비교기(165)로 그 전압값을 검출함에 따라 각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가 그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에 통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최대 전송 속도를 통지한 후, 각 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전송 속도중 가장 느린 전송 속도로 데이타의 송신을 개시한다.
데이타를 송신할 때, 각 장치의 TPB 인터페이스(152A,152B)의 드라이버(171)가 한 쪽의 신호선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함과 동시에, TPA 인터페이스(15lA,151B)의 드라이버(161)가 다른 한 쪽의 신호선을 통해 그 데이타에 대응하는 스트로브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그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TPA 인터페이스(15lB,151A)의 수신기(162)는, 전송되어온 데이타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TPB 인터페이스(152B,152A)의 수신기(172)는 전송되어 온 스트로브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DS-Link 방식에 따라, 소정의 데이타와 그에 대응하는 스트로브 신호가 한 쪽의 장치로부터 다른 한쪽의 장치측으로 전송된다.
하지만, 상술한 스피드 시그널링 처리와 같이, 공통 모드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전송하는 신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자속중에서 다른 신호선에 쇄교하는 자속이 많아지기 때문에, 신호선 간의 크로스토크가 증가하고, 각 장치에서 오류 동작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도 24의 장치(14lA)의 TPB 인터페이스(152A)로부터 신호선(13)을 통해 송신된 공통 모드의 신호가 전자 유도에 의해 신호선(12)에 전달되고, 신호선(12)을 통해 장치(l41A)의 TPA 인터페이스(151A) 및 장치(141B)의 TPB 인터페이스(152B)에 도달하여 크로스토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신호선에 각각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크로스토크를 억제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접속 케이블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접속 케이블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접속 케이블의 제2실시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접속 케이블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신호선에 있어서의 전류의 방향과 페라이트 비즈에 있어서의 자속 관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페라이트 비즈를 이용한 때의 원단 크로스토크의 주파수 특성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페라이트 비즈에 신호선을 권선한 때의 모양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제1실시 형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9A 및 도 9B는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통신 장치의 제2실시 형태에서의 IC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통신 장치의 제3실시 형태에서의 프린트 기판(61)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페라이트 비즈를 일체화한 경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3는 신호선 간의 크로스토크가 증가하는 페라이트 비즈의 형상 및 배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신호선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신호선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신호선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신호편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신호선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신호선상의 페라이트 비즈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신호선 양단의 핀의 수가 4 핀일 경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1은 신호선 일단의 핀의 수가 4 핀이고, 타단의 핀의 수가 6 핀일 경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2는 신호선 일단의 핀의 수가 4핀이고 타단의 핀의 수가 6 핀인 경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3은 IEEE 1394 규격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
도 24는 도 23의 장치중 2개의 장치의 접속예를 보인 블록도.
도 25는 IEEE 1394 규격의 케이블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TPA 인터페이스의 구성예를 보인 회로도.
도 27은 DS-Link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도 24의 TPB 인터페이스의 구성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6핀 케이블 2 : 4핀 케이블
5 : 통신장치 11 : 전원선
12,13 : 전원선 14,14A-14E,15,15A-15E : 페라이트 비즈
21A, 2lB : 소켓 41, 41A, 4lB : IC
61 : 프린트 기판
청구항 1에 기재된 접속 케이블은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의 각 세트에 각각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가지고 있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통신 방법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접속부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가지고 있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통신 방법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처리부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접속 수단과 처리 수단을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통신 방법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접속부와 처리부를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도전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l에 기재된 접속 케이블에서는, 예컨대,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 수단에 쇄교하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의 각 세트를 통해 통신이 행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서는, 예컨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가지고 있는 접속 수단을 통해 통신이 행해진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서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접속부를 통해 통신을 행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서는, 예컨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가지고 있는 처리 수단이 통신 처리를 행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서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처리부로 처리를 행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서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접속 수단과 처리 수단을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도전로를 통해 통신이 행해진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서는,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접속부와 처리부를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도전로를 통해 통신을 행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의 접속 케이블의 제1실시 형태인 6핀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이 6핀 케이블(1)은 IEEE l394 규격에 준한 선단부(1A) 및 케이블부(lB)를 가지고 있다.
도 2에는 도 1A 및 도 1B의 6핀 케이블(1)의 플러그부의 내부 구성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IEEE 1394 규격의 6핀 케이블에서는, 전원선(11) 및 2세트의 신호선(12,13)이 6개의 도선(전원선(11) 2개, 신호선(12,13) 각 2 개, 합계 6개)에 대응하는 6 개의 전기적인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는 선단부(1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A 및 도 1B의 6핀 케이블(1)의 신호선(12,13)에는, 신호선(12,13)의 주위에 각각 독립적인 폐자로를 형성하고 있는 페라이트 비즈(14,15)(폐자로 수단)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접속 케이블의 제2실시 형태인 4핀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이 4핀 케이블(2)은 IEEE 1394 규격에 준한 선단부(2A) 및 케이블부(2B)를 가지고 있다.
도 4에는 도 3의 4핀 케이블(2)의 플러그부의 내부 구성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IEEE 1394 규격의 4핀 케이블에서는, 2 세트의 신호선(12,13)이 4개의 도선(신호선(12,13)의 각 2개, 합계 4개)에 대응하는 4 개의 전기적인 접합부(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는 선단부(2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6 핀 케이블(l)과 마찬가지로, 도 3의 4핀 케이블(2)의 신호선(12,13)에는 신호선(12,13)의 주위에 폐자로를 형성하고 있는 페라이트 비즈(14,1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선(12,13)에 각각 페라이트 비즈(l4,15)를 장착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드에서는, 소정의 신호선에서 2개의 도선의 전류가 동일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자속이 발생되지만, 그 자속의 대부분은 투자율이 높은 페라이트 비즈(14,15)를 통과하기 때문에, 다른 신호선과 쇄교하는 자속이 적어지며, 또한, 페라이트의 내부 손실에 의해, 특히 고주파 영역에서의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수되기때문에, 상기 크로스토크가 억제된다.
또한, 공통 모드가 아니고, 드라이버(161,171)로 데이타 및 스트로브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의 2개의 도선에는 서로 역상의 전류가 흐르고, 페라이트 비즈(14,15)내에는, 자속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페라이트 비즈(14,15)는 데이타 전송에 특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에는 3미터의 케이블(2)의 플러그부에서, 내경 1.5 밀리미터, 외형 3. 5 밀리미터, 길이 5 밀리미터의 페라이트 비즈를 각 신호선(12,13)에 장착한 경우의 원단 크로스토크(수신측 장치에의 크로스토크)의 주파수 특성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 비즈를 장착한 경우에, 이 페라이트 비즈의 손실 계수 tan δ(= μ″/μ', 복소투자율 μ = μ' - jμ″)는 고주파 영역에서 증가하기 때문에,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단크로스토크의 감쇄량이 고주파수대역에서 커지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수 대역에서 원단 크로스토크를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기준치(-26 dB)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피드 시그널링 처리에 있어서의 직류 전류의 돌입시의 고주파 성분에 기인하는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μ30」 및 「μ40」은 사용된 페라이트 비즈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고,「μ30」은 초투자율이 45인 페라이트 비즈를 나타내고 있고, 「μ40」는 초투자율이 120인 페라이트 비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페라이트 비즈에는 예컨대 TDK사 제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페라이트 비즈(14,15)에 신호선(12,13)을 1회 통과시킬 뿐이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l2,13)을 페라이트 비즈(14,15)에 각각 권선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블(1,2)의 신호선(12,13)에 페라이트 비즈(14,15)가 각각 장착되어 있지만,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케이블이 접속되는 장치의 접속부(소켓)로부터 TPA 인터페이스 및 TPB 인터페이스의 회로까지의 사이에 페라이트 비즈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 제1실시 형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통신 장치(5)에서, 소켓(2lA)(접속 수단)은 종래의 IEEE l394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고, 그 케이블의 선단부의 접합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합부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는 이 소켓(2lA) 및 프린트 기판(61)을 통해 IEEE l394 규격에 준한 인터페이스인 IC(41)에 공급된다.
도 9A에는 케이블의 각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리드부분(31,32)에 페라이트 비즈(14A,15A)(폐자로 수단)가 장착되어 있는 소켓(21A)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켓(21A)에 페라이트 비즈(14A,l5A)를 설치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상기 케이블(1,2)과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도선 주위에 고투자율의 부품(14B,15B)(폐자로 수단)이 매립된 소켓(21B)(접속 수단)를 소켓(2lA)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IC(집적 회로)(41)는 TPA 인터페이스 및 TPB 인터페이스 등의 PHY(물리층)부에 대응하는 회로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IEEE 1394 규격에 준한 인터페이스의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회로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인 제2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는 제1실시 형태의 소켓(2lA)의 페라이트 비즈(14A,15A)를 분리시키고, IC (41)의 대응하는 부분에 장착한 것이다.
도 10A에는 TPA 인터페이스(151) 및 TPB 인터페이스(152)의 회로를 가지고 있는 본 실시 형태의 IC(41A)(처리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IC(41A)에는 케이블의 각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리드 부분(51,52)에 페라이트 비즈(14C,15C)(폐자로 수단)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IC(4lA)의 리드 부분(51,52)에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비즈 (14C, 15C)를 설치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상술한 케이블(1,2)과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도선의 주위에 고투자율의 재료(14D,15D)(폐자로 수단)를 매립한 IC(41B)(처리 수단)을 IC(41A)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인 제3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 형태는 제1실시 형태의 소켓(2lA)의 페라이트 비즈(14A,15A)를 분리하고, 프린트 기판(61)의 도선에 장착한 것이다.
도 11에는 프린트 기판(61)에 있어서, 케이블이 접속되는 소켓에서부터 TPA 인터페이스(15l) 및 TPB 인터페이스(152)의 회로(IC4l)까지의 사이의, 각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2개의 도선에 페라이트 비즈(14E,15E)(폐자로 수단)를 각각 장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린트 기판(61)에 있어서 페라이트 비즈(14E,l5E)를 설치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상기 케이블(1,2)과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접속되는 소켓에서부터 TPA 인터페이스(15l) 및 TPB 인터 페이스(152)의 회로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신호선(12,13)에 대응하는 도전로의 주위에 폐자로를 구성하는 고투자율의 부품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억제된다.
상술한 통신 장치의 제1 내지 제3실시 형태의 동작은 상술(도 24)한 장치 (l41A,141B)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비즈 등의 고투자율 부품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l 내지 제3실시 형태에서는 크로스토크가 억제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투자율의 재료로서 페라이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사용된 페라이트 비즈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 세트의 신호선의 각 세트에 독립된 부품(페라이트 비즈(14,15)(14A,15A)(14C,l5C)(l4E,15E)이 장착되어 있지만, 비용의 절감이나 기계적인 강도의 향상을 위해, 이들 부품을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라이트 비즈(201)로서 일체화하여 1개의 부품으로 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는, 페라이트 비즈(201)에 신호선(12)용과 신호선(13)용에 각각 독립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멍에 신호선(12) 또는 신호선(l3)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호선(l2)과 신호선(13)의 각각의 자로가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호의 간섭, 따라서 크로스토크가 적어진다.
이에 대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세트의 신호선(12,13)을 페라이트 비즈(181)의 1개의 구멍에 삽입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각각의 자로가 독립되지 않고 한 쪽의 신호선에서 발생된 자속중 다른 쪽의 신호선에 쇄교하는 자속이 많아져, 크로스토크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2 세트의 신호선(12,13)에 대해 페라이트 비즈(181)를 장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핀의 수가 4핀 또는 6핀중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12)의 양단에 페라이트 비즈 (14)를 배치함과 동시에, 신호선(13)의 양단에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예컨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12)의 TPA 인터페이스(15lA)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4)를 배치함과 동시에, 신호선(13)의 TPA 인터페이스(15lB)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도록 하거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12)의 TPB 인터페이스(152B)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4)를 배치하고, 신호선(13)의 TPB 인터페이스(152A)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에 비해 크로스토크의 억제 효과가 작지만, 페라이트 비즈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플러그를 소형화할 때, 2개의 페라이트 비즈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는 페라이트 비즈(14A,l5A)(14C,15C)(14E,15E)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는 한쪽 단자의 핀의 수가 4 핀이고, 다른 쪽 단자의 핀의 수가 6 핀인 경우의 페라이트 비즈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선(12)과 신호선(13)의 양단에, 각각 페라이트 비즈(14) 또는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외에 (이 경우에, 크로스토크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l2)와 신호선(13)의 6 핀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4) 또는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거나, 도l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12)에 있어서는 페라이트 비즈(14)를 4 핀측에만 배치하고, 신호선(13)에 있어서는 6핀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거나,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12)에 있어서는 6핀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4)를 배치하고, 신호선(13)에 있어서는 4핀측에만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신호선(12)의 양단과 신호선(13)의 양단의 각각 페라이트 비즈(14) 또는 페라이트 비즈(15)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크로스토크의 억제 효과가 약간 감소하지만, 페라이트 비즈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크로스토크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신호선(l2)과 신호선(13)의 양단이 4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선(12)과 신호선(13)이 각각 신호선 실드(17-1) 또는 신호선 실드(17-2)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반면에, 신호선(12)와 (13)의 한쪽이 4 핀으로 되고, 다른 쪽이 6 핀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1 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1에는 페라이트 비즈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1의 구성예에서는, 신호선 실드(17-1,17-2)가 6 핀측의 번호 2의 단자에 접속되어 접지됨과 동시에, 번호 1의 단자는 개방된다. 또한, 도 22의 예에 있어서는, 내측 신호선 실드(17-1,17-2)가 6 핀측의 번호 2의 단자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그리고, 번호 1의 핀은 개방된다. 또한, 도 25의 변형예로서 케이블 전체 실드(18)와 그 내측 신호선 실드(17-1,17-2)의 사이에 절연체를 넣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l에 기재된 접속 케이블에 의하면,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 수단에 쇄교하는 신호선을 통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기 때문에, 신호선간에 공통 모드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통신장치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 의하면,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를 가지고 있는 접속부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신호선간에 공통 모드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통신 장치 및 청구항 15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 의하면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가지고 있는 처리부에서 통신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신호선간에 공통 모드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 및 청구항 19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 의하면, 신호선에 대응하는 접속부와 처리부를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2개의 도전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신호선간에 공통 모드시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9)

  1.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에 있어서,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의 각 세트에 각각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IEEE 1394 규격에 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신호선은 트위스트 페어의 신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자로 수단은 페라이트 비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자로 수단은 각 세트의 신호선의 양쪽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자로 수단은 각 세트의 신호선의 한쪽의 단부에 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자로 수단은 모든 세트의 신호선이 각각 다른 구멍에 삽입되도록,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8.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 및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IEEE l394 규격에 준한 접속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자율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 및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IEEE 1394 규격에 준한 형식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자율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처리부에서 처리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 및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을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IEEE 1394 규격에 준한 형식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자율 재료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각 세트가 2개의 도선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처리부로 처리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각 신호선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처리부를 접속하는 2개의 도전로에, 쇄교하는 독립적인 폐자로를 소정의 자기 저항을 가지고 있는 고투자율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폐자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전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19970062124A 1996-11-22 1997-11-22 접속케이블과통신장치와통신방법 KR100483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1726 1996-11-22
JP31172696 199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671A true KR19980042671A (ko) 1998-08-17
KR100483211B1 KR100483211B1 (ko) 2005-09-02

Family

ID=1802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124A KR100483211B1 (ko) 1996-11-22 1997-11-22 접속케이블과통신장치와통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2163B1 (ko)
EP (1) EP0844697B1 (ko)
KR (1) KR100483211B1 (ko)
CN (1) CN1147971C (ko)
CA (1) CA2221662C (ko)
DE (1) DE69737929T2 (ko)
MY (1) MY1188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588B1 (en) * 1998-08-26 2002-12-10 Prestolite Wire Corporation Self suppression wire or cable, and ferrite bead in combination
TW503632B (en) 1999-04-22 2002-09-21 Hitachi Metals Ltd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joint
JP4482782B2 (ja) * 1999-12-16 2010-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TW490892B (en) * 2000-02-04 2002-06-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JP2002237224A (ja) * 2001-02-13 2002-08-2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6443770B1 (en) * 2001-09-17 2002-09-03 Shien-Chang Lin Anti interference plug structure
DE10248821A1 (de) * 2002-10-19 2004-04-29 Robert Bosch Gmbh Versorgungsleitungsstruktur
WO2005027998A2 (en) 2003-09-16 2005-03-31 Cardiomems, Inc. Implantable wireless sensor
US8026729B2 (en) 2003-09-16 2011-09-27 Cardiomem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in-vivo assessment of relative position of an implant
US7057475B2 (en) * 2003-10-22 2006-06-06 Adc Dsl Systems, Inc. Ferrite choke
US20060137890A1 (en) * 2004-12-28 2006-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nshielded twisted wire pair radiated emission suppression
JP2008527947A (ja) 2005-01-19 2008-07-24 パンデュイ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抑制コアを備えた通信チャンネル
WO2006077639A1 (ja) * 2005-01-20 2006-07-27 Fujitsu Limited 光モジュール
EP1893080A2 (en) 2005-06-21 2008-03-05 CardioMem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implantable wireless sensor for in vivo pressure measurement
EP1902529B1 (en) 2005-07-08 2012-06-13 CardioMems, Inc. Coupling loop,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positioning coupling loop
US7381097B2 (en) * 2006-01-23 2008-06-0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s connectors with parasitic and/or inductive coupling el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and related methods
DE102006012518A1 (de) * 2006-03-18 2007-09-20 Adc Gmbh Steckverbinder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DE102006036459B3 (de) * 2006-08-04 2007-12-27 Adc Gmbh Steckverbinder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WO2008031011A1 (en) * 2006-09-08 2008-03-13 Cardiomems, Inc. Antenna cable
AU2007294526B2 (en) 2006-09-08 2011-07-07 Cardiomems, Inc.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use with an implanted wireless sensor
US7342172B1 (en) * 2007-01-03 2008-03-11 Apple Inc. Cable with noise suppression
CN101877440A (zh) * 2009-04-29 2010-11-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辐射连接线
EP2519994A4 (en) 2009-12-30 2015-01-21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EDANCE ACCORD RIBS
US9136634B2 (en) 2010-09-03 2015-09-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Low-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GB201101066D0 (en) * 2011-01-21 2011-03-09 E2V Tech Uk Ltd Interconnection for connecting a switched mode inverter to a load
WO2017122236A1 (ja) * 2016-01-15 2017-07-20 ソニー株式会社 ケーブル
WO2019073367A1 (en) * 2017-10-11 2019-04-18 Cfm Cables For Music Limited SHIELDING ASSEMBLY FOR CABLE
KR102488640B1 (ko) * 2018-01-30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9853A (en) * 1935-10-30 1938-06-07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ic wave transmission system
US4506235A (en) * 1982-02-23 1985-03-19 Ferdy Mayer EMI Protected cable, with controlled symmetrical/asymmetrical mode attenuation
US4950185A (en) * 1989-05-18 1990-08-21 Amphenol Corporation Stress isolated planar filter design
JPH0378984A (ja) * 1989-08-22 1991-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ケーブル
JPH03216914A (ja) * 1990-01-19 1991-09-24 Fuji Densen Kk 低漏話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編組機
US5023577A (en) * 1990-05-17 1991-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eedthrough radio frequency filter
JPH04275070A (ja) * 1991-02-27 1992-09-30 Hitachi Medical Corp X線装置
JPH05258620A (ja) * 1992-03-11 1993-10-08 Fujitsu Ltd 信号ケーブル
KR940023602U (ko) * 1993-03-20 1994-10-22 홍성용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US5346410A (en) * 1993-06-14 1994-09-13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Filtered connector/adaptor for unshielded twisted pair wiring
US5357051A (en) * 1994-01-31 1994-10-18 Hwang Richard H Printed circuit boar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s
JPH07273692A (ja) * 1994-03-28 1995-10-20 Hitachi Ltd クロストーク防止方法および信号伝達装置
US5523728A (en) * 1994-08-17 1996-06-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icrostrip DC-to-GHZ field stacking balun
US5580279A (en) * 1994-10-31 1996-12-03 Berg Technology, Inc. Low cost filtered and shielded electronic connector and method of use
WO1997018586A1 (en) * 1995-11-15 1997-05-22 Norand Corporation Reduc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integrated circuit device packages
US5831210A (en) * 1996-02-21 1998-11-03 Nugent; Steven Floyd Balanced audio interconnect cable with helical geome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1662A1 (en) 1998-05-22
CA2221662C (en) 2006-01-17
DE69737929T2 (de) 2008-04-10
KR100483211B1 (ko) 2005-09-02
CN1147971C (zh) 2004-04-28
DE69737929D1 (de) 2007-08-30
US6252163B1 (en) 2001-06-26
EP0844697A2 (en) 1998-05-27
MY118806A (en) 2005-01-31
EP0844697A3 (en) 1999-04-14
CN1189038A (zh) 1998-07-29
EP0844697B1 (en)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211B1 (ko) 접속케이블과통신장치와통신방법
US7677927B2 (en) High bandwidth connector
CN100574552C (zh) 印刷电路板
TW517414B (en) Connector adapted to handling of different kinds of signals including high-speed signals
US8292655B1 (e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CN101405608A (zh) 将多导线电缆的第一组导线与其他导线相区别的方法、使用该方法的测试连接器和包括这样的多导线电缆和测试连接器的套件
TW201409848A (zh) 軟性電路排線插接結構
CN106646777B (zh) 一种光模块及其设计方法
GB2438746A (en) Network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wherein two contacts cross over one another
US5185580A (en)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termination device having short and open-circuit cable test capabilities
US6486746B1 (en) Termination circuit for decoupling unused wires on a network device's unshielded twisted pair (UTP) cable
JPH10208818A (ja) 接続ケーブル、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4225768A (ja) 被覆電線結合式情報通信網、電磁界結合通信方法及び電磁界結合器
JP2587316B2 (ja) 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用多極電気コネクタ
JP4748376B2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伝送回路
CN111131087B (zh) 一种以太网物理层信号的传输系统及信号传输方法
JP6813125B1 (ja) モールド部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CN113473724A (zh) 印刷电路板和印刷电路板布线方法
JPH08180942A (ja) コネクタ
TWM592608U (zh) 一種高頻電連接器
US60184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fault risks in cabled signal lines
CN100419442C (zh) 一种低成本检测高频电缆互联可靠性的方法
CN219552455U (zh) 芯片输出信号在不同反射条件下的通用扩展测试板
CN218567572U (zh) 一种漏电流检测装置
Jones et al. EMI issues with cables &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