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625A -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625A
KR19980042625A KR1019970061406A KR19970061406A KR19980042625A KR 19980042625 A KR19980042625 A KR 19980042625A KR 1019970061406 A KR1019970061406 A KR 1019970061406A KR 19970061406 A KR19970061406 A KR 19970061406A KR 19980042625 A KR19980042625 A KR 1998004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ariable resistor
wet
recess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니시가츠히로
야마우치기미노리
츠카다히데아키
우에다유키노리
마수다후미토시
Original Assignee
무라따미치히로
가부시끼가이샤무라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따미치히로, 가부시끼가이샤무라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무라따미치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4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6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가변 저항기는 케이스와, 습접자와, 로터와, 금속 커버 및 리드단자를 포함한다. 습접자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암은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며, 빗 형상으로 각각 성형된다. 암은 접점부 A, B 및 C에서, 로터의 전극과 저항체에 의해 각각 접촉된다. 리드단자의 단면은 각각 원형이며, 이들 리드선의 선단부에서 습접자에 각각 접속된다. 이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으며, 신뢰성이 우수한 가변 저항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저항기
본 발명은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를 구비하는잔류 방지형(예를 들어, 방진형)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종래의 가변 저항기를 나타낸다. 이 가변 저항기 80은 표면에 말굽형의 저항기 81을 구비하는 알루미나 기판 84를 포함한다. 저항체는 또한 콜렉터 전극박막 83과 말굽형 저항체 81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된 전극박막 82를 포함한다. 케이스 85는 알루미나 기판 84를 거기에 수납하기 위해 설치된다. 세 개의 리드단자 86(도 21에 나타낸 것 중의 하나)은 알루미나 기판 84를 통과하며, 전극박막 82와 83에 각각 땜납된다. 로터 87은 케이스 85에 설치되며, 슬라이더(slider) 89는 로터 87의 배면에 배치된다. 밀폐용의 O-링 90은 로터 87에 배치되며, 수지 91은 케이스 85의 배면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저항체 80에 대하여, 케이스 8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단자 86이 마운트(mount)와 점착 테이프간에 삽입되도록, 완성품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가변 저항기 80은, 함께 포장되어 테이핑 세트를 형성한다. 또한, 저항체 90은 단품으로서 포장될 수 있어서, 그 결과 리드단자 86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상술한 테이핑 세트에서 가변 저항기 80을 인쇄회로판등으로 실장하는 경우, 가변 저항기 80은 자동 삽입기에 의해 마운트(mount)로부터 분리되며, 인쇄회로판등에 삽입된다. 그 후에, 리드 단자 86은 절단되고 클린치되며, 그런 다음 적소에 예비적으로 고정된다. 그런 다음, 가변 저항기 80은 인쇄회로판에 땜납된다.
그러나,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가변 저항기 80과 결합된 얼마간의 문제점들이 있다.
(1) 리드단자 86은 프레스 가공품이기 때문에, 이것의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러므로, 자동 삽입기에 의해 수행된 실장시에 발생하는 절단과 클린칭시에, 절삭날은 처음에는 리드단자 86의 각부(angular portion)에 접한다. 다른 경우에는, 절삭날은 리드단자 86의 평면부(planar portion)에 접한다. 그러므로, 절삭날에 인가된 부하는 다르며, 그 결과 오삭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절삭날의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리드단자 86과 전극 박막 82, 83간의 접속이 땜납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동작인 플럭스 세정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공정은 제조 비용에 첨가된다.
(3) 밀봉을 수행하기 위한 수지 91의 사용은 번잡한 충전 작업과 경화작업을 수반하며, 이것은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4) 가변 저항기 80이 포장되어 테이핑 세트로 되는 경우에는, 리드단자 86의 프레스 가공은 리드단자 86의 길이의 거의 두배의 폭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결과, 프레싱 다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것은 공정과 이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비용에 첨가된다. 또한, 재료가 사용되는 비율(효율)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리드단자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테이핑 세트와 단품간에 다른 폭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발생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하기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첫 번째 모범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변 저항기의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가변 저항기에 사용된 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로터의 선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로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가변 저항기에 사용된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케이스의 선 Ⅷ-Ⅷ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케이스의 선 Ⅹ-Ⅹ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가변 저항기에 사용되는 금속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금속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금속 커버의 선 ⅩⅢ-Ⅹ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두 번째 모범적인 구현예에 사용된 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로터의 선 ⅩⅤ-Ⅹ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로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두 번째 구현예의 가변 저항기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케이스의 선 ⅩⅤⅢ-ⅩⅤ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낸 케이스의 선 ⅩⅩ-ⅩⅩ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변 저항기 2: 케이스 3: 오목부
4: 홀 9, 10, 11: 습접자 9d, 10d: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11e: 인출부 15, 16, 17: 리드단자 18: 로터
19: 로터본체 20: 기판 25: 저항체
26, 27: 전극 30: 금속 커버 31: 홀
33: 실장용 조부 33a: 선단부 34: 슬릿
35: 계지부 45: O-링 50: 로터
55: 저항체 56, 57: 전극 60: 케이스
63: 오목부 75, 76: 리드단자
본 발명은 제조하기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며, 신뢰성이 우수한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모범적인 목적을 갖으며,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저항기는,
(a) 오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b)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면에 노출된 적어도 두 개의 습접자;
(c) 저항체와 전극이 표면에 설치되며, 케이스의 오목부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로터;
(d) 케이스의 오목부의 말단 개구부에 배치된 커버; 및
(e) 단면이 대체로 원형이며, 습접자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단자를 포함하며,
습접자가 저항체 및 전극과 각각 습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가변 저항기에서,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의 표면에 노출된 랜드부에 의해 리드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에서 도출된 인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리드단자는 이 인출부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습접자가 리드단자에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에 내삽될 수 있다. 또한, 로터는 예를 들어, 수지일체구조 또는 세라믹 일체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터의 표면에 설치된 저항체 및 전극을 구비하는 기판과 수지본체를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실장용 조부를 구비한다. 실장용 조부의 선단부는 절반되고, 슬릿 및 계지부는 실장용 조부에, 및 실장용 조부 위에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실장용 조부는 케이스에 설치된 홀에 압입되며, 커버는 케이스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조정용 개구부를 이것의 중앙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굴곡가공 및 버링가공 중의 적어도 하나가 로터 측으로 이 조정용 개구부의 에지부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드 단자의 단면의 형상이 대체로 원형이기 때문에, 자동 삽입기에 의해 수행된 실장시에, 절단과 클린칭(clinching) 동작시에, 절삭날은 항상 리드 단자의 평활한 굴곡면에 접한다. 그러므로, 절삭날에 인가된 부하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고, 이것은 오삭(cutting error)의 가능성을 제거한다. 또한, 리드단자의 클린칭 즉, 리드단자의 굴곡이 안정되기 때문에, 인쇄회로판 등에 대한 장착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리드단자의 접속용 랜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리드단자는 이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에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신뢰할 수 있게 접속된다.
또한,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에서 도출된 인출부를 구부하며, 리드단자는 이 인출부에 접속되기 때문에, 리드단자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습접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리드단자에 접속되며, 그런 다음 이 조합체는 케이스에 내삽된다. 이런 동작의 결과는, 습접자와 리드단자와의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열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효과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킨다. 게다가, 리드단자와 습접자간의 접속부분이 케이스에 의해 보강되며, 그 결과 케이스의 밀폐성 이외에도 리드단자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실장용 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일한 커버 구조는, 종래의 수지의 사용에 근거한 밀폐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만들어, 그 결과 조립공정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로터 측으로 커버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정용 개구부의 에지부의 굴곡가공 또는 버링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조정시에 드라이버의 삽입성이 향상되며, 커버 자체의 강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커버의 장착 후, 커버의 상면의 변형이 방지되며, 저항체 또는 전극과, 습접자간의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구현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구현예들에서는,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부분들이 동일한 참조부호들로서 표시된다.
(첫 번째 구현예: 도 1~도 13)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저항기는 케이스(case) 2와, 습접자(slide contactors)와, 로터(rotor)와 금속 커버(metal cover) 및 리드 단자(lead terminal)를 포함하며, 이것은 각각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저항기의 로터 18은 실제적으로 원형상의 관(column)과 같이 성형되며, 본체(main body) 19와, 이 본체 19의 하면에 접합된 기판 20으로 구성된다. 본체 19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드라이버용 십자홈(crossed groove fo use of a driver) 21이 설치되어 있다. 십자홈 주위에는, 실제적으로 원호상으로(arc) 성형된 에스케이프 홈(escape groove) 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stopper) 23은 이 에스케이프 홈 22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노치(notch) 24는 본체 19의 상면의 외주에지부(outer-peripheral edge)에 설치된다. 본체 19의 하면에는, 돌기(projection) 19a, 19b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20에는, 홀 20a와 노치 20b가 설치되어 있다. 홀과 노치는 각각 돌기 19a, 19b와 위치적으로 일치하도록 제조된다. 돌기 19a와 19b는 각각 홀 20a와 노치 20b에 삽입한다. 그 결과, 이것의 회전에 의한 본체 19와 기판 20간의 재배치가 방지된다. 또한, 말굽형 저항기 25는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이송(transfer), 테크닉 등을 사용하여 기판 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저항체 25의 단부들은 각각 내주전극 26과 외주전극 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주전극 26과 외주전극 27은 말굽형 저항기 25와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내주전극 26은 기판 20의 중앙부에 원형부를 구비한다. 외주전극 27은 기판 20의 외주부에 원호상의 부분을 구비한다.
본체 19와 기판 20은 예를 들어, 알루미나(alumina) 등의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등의 내열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저항체 25는 예를 들어, 세멧 저항기(cermet resistor) 또는 탄소 저항기(carbon resistor)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어, 비용이 적게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가 본체 19와 기판 20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비용이 적게드는 탄소 저항기가 저항체 25로서 사용되는 경우, 가변 저항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도 1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 2는 오목부 3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3의 단면은 로터 18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성형되며, 이것에 의해 오목부 3에 수납된 로터 18이 오목부 3 내에서 매끄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케이스 2의 상면의 각각의 네 개의 코너에는, 홀이 설치된다. 케이스 2는 예를 들어, 46 나일론(nylon) 등의 고내열성을 갖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나일론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서모플라스틱(thermoplastic) 수지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액체 크리스탈 폴리머, 또는 에폭시 또는 디알릴 프탈레이트 등의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다. 특히,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내습성이 또한 향상된다.
습접자 9, 10 및 11은 예를 들어, 케이스 2의 저부에 내삽되며, 케이스 2의 오목부 3의 저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도 7에서 두 점쇄선으로 표시된 이들의 저부 9b~11b가 절반선 L에서 각각 절반되며, 각각의 절반된 저부가 대응하는 남은 저부 위로 배치되도록, 습접자 9~11이 구성되며, 두 저부들은 이렇게 하여 중복된다. 이들 저부들 9b~11b에 의해, 습접자 9~11의 하면은 도포되어, 케이스 2의 내부의 밀폐가 강화된다. 케이스 2를 수지 성형하는 경우, 습접자 9~11의 외주부분과 협력하여, 이것은 암 9a~11a의 표면으로 용융된 수지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용융된 수지가 암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것은 수지 성형 과정을 단순하게 한다.
습접자 9, 10 및 11의 중앙부에 설치된 각각의 암 9a, 10a 및 11a는 오목부 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이들 암은 빗 형상과 같이 성형된다. 암 9a~11a는 이들의 접점부 A, B 및 C에서 로터 18의 전극 26의 원형부와, 전극 27의 원호부, 및 저항체 25와 각각 접속을 제공한다. 습접자 9~11의 외주부는 케이스 2에 매설된다(embedded). 암 9a~11a가 설치된 습접자의 중앙부에서는, 실제적으로 L자형상의(또는 실제적으로 수평상으로는 U자형상의) 노치 9c~11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노치 9c~11c를 설치함으로써, 빗 형상의 암 9a~11a의 형성이 용이하며, 암 9a~11a의 스프링과 같은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7에서 두 점쇄선으로 표시된 리드단자의 접속용 랜드 9d가 절반선 M에서 절반되도록, 습접자 9가 배치된다.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9d는 케이스 2의 하면에 설치된 리드단자용 개구부 5에서 노출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유사하게도, 도 7에서 두 점쇄선으로 표시된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10d가 케이스 2의 하면에 설치된 리드단자용 개구부 6에서 노출되도록, 습접자 10이 배치된다.
습접자 11의 도출부 또는 인출부 11e는 케이스 2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부분 11e는 케이스 2를 따라 굴곡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2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홈 7에 의해 조절되면서 도출된다. 이것에 의해, 이것의 선단부는 케이스 2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 7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양측벽부 7a가 죄어진다. 그 결과, 인출부 11e는 케이스 2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인출부 11e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2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습접자 9 및 10의 인출부 9e와 10e는 각각 후공정에서 절단된다. 습접자 9~11은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특성을 갖는 양백(white metal) 등의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판으로 각각 제작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단자 15. 16 및 17은 각각 단면이 원형이다. 리드 단자 15와 16은, 케이스 2의 하면에 설치된 리드 단자용 개구부 5, 6에 노출된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9d, 10d에, 땜납, 저항용접, 초음파 용접, 또는 다른 기술에 의해 이들의 리드선의 선단면에서 접합된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리드단자 17은 케이스 2의 하면에 배치된 인출부 11e에 이것의 리드선의 선단면에 접합된다.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이 접선방법으로서 사용되는 특별한 경우, 땜납이 사용되는 경우 수행된 플럭스 세정(flux cleaning)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환경면에 있어서, 안전한 방법으로 조정되고 처리되어야 하는 물질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커버 30은 중앙부에 드라이버용 개구부 31을 구비하며, 이 개구부 31 주위에 눈금 36을 구비한다. 또한, 이 개구부 31과 접촉하여, 혀(tongue) 모양의 스톱퍼 수신기(stopper receiver) 32가 설치된다. 드라이버용 개구부 31의 에지부는, 로터 18 측으로 굴곡가공 또는 버링(burring)가공에 의해 굴고되며 융기된다. 그 결과, 조정시의 드라이버의 삽입성이 향상되고, 커버 30 자체의 강도가 상승되며, 실장후에 커버 30의 상면의 변형이 방지되며, 저항체 25 또는 전극 26, 27과, 습접자 9~11의 암 9a~11a간의 접촉신뢰성이 향상된다.
금속 커버 30의 네 개의 코너부에, 실장용 조부(mounting claw portion) 33이 설치된다. 실장용 조부 33의 선단부 33a는 절반된다. 이것을 폭방향으로 보았을 때, 돌기 35는 각각의 실장용 조부 33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들의 형상 때문에, 금속 커버 30은 케이스 2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슬릿 34는 실장용 조부 33의 폭방향으로 보았을 때, 이것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그 결과, 케이스 2에 압입이 용이하게 되며, 동시에 보유력(retention force)이 상승될 수 있다. 금속 커버 30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밀폐용의 O-링(O-ring) 45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다. 경도 60°~70°를 갖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버에 의해 회동조정이 된 경우에 발생하는 로터 18의 역회전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부품은 다음의 과정을 따라 조립된다. 로터 18의 저항체 25와 전극 26, 27이 각각 접점부 C, A 및 B와 접촉하도록, 로터 18이 케이스 2의 오목부 3에 삽입된다. 또한, 로터 18의 두께는 이것의 상면이 케이스 2의 오목부 3의 상면보다 다소 높게 설정된다. 이것은 로터와 금속 커버 30간의 접촉을 확실하게 이루기 위해서이며, 이것에 의해 로터 18의 역회전이 작게된다. 그런 다음, O-링 45는 로터 18의 외주 에지(edge)부 24와 케이스 2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다. 그 후에, 금속 커버 30은 케이스 2 위로 삽입된다. 연이어서, 실장용 조부 33은 케이스 2의 홀 4로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로터 18이 오목부 3에 갇힌 상태로, 금속커버 30은 케이스 2 위에 견고하게 실장된다. 그런 다음, 케이스 2는 밀폐된다. 따라서, 종래의 수지를 사용하여 수행된 밀봉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로터 18의 역회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저항체 25와 전극 26, 27과; 이들의 대응하는 접점부 A~C간의 접촉위치의 재배열이 억제되며, 그 결과 저항치의 설정이 안정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조립되었던 가변 저항기 1에서는, 로터 18의 드라이버용 십자홈 21에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인가하여 이것에 의해 로터 18을 회동시킴으로써, 접점부 C는 저항체 25와 습접하게 되고, 접점부 A는 내주전극 26과 습접하게 되며, 접점부 B는 외주전극 27과 습접하게 되어, 단자 15와 17간의 저항치와, 단자 16과 17간의 저항치의 변화를 유발한다. 이 때, 금속 커버 30에 설치된 스톱퍼 수신기 32는 로터 18에 설치된 에스케이프 홈 22에 배치된다. 이 스톱퍼 수신기 32는 로터 18에 설치된 스톱퍼 23과 협력하여, 로터 18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가변 저항기 1에서는, 리드 단자 15~17의 단면의 형상이 각각 원형이기 때문에, 자동 삽입기에 의해 수행된 이것의 실장시에, 절단과 클린칭(clinching) 동작시에, 절삭날은 항상 리드 단자 15~17의 평활한 굴곡면에 접한다. 그 결과, 절삭날에 인가된 부하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고, 이런 이유로, 오삭(cutting error)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단자에서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절단후의 클린칭이 안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가변 저항기의 특성은, 인쇄회로판등에 저항체의 실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절삭날의 수명이 연장되며, 이것은 제조공정과 얻은 제조물의 비용의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리드단자 15~17의 접선은, 종래의 알루미나(alumina) 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박막과의 접선과는 달리, 습접자 9~11과의 접선이기 때문에, 이 접선은 예를 들어, 전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신뢰성이 높은 접선이다. 또한, 습접자 9, 10은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9d, 10d를 갖기 때문에, 리드단자 15, 16은 저항용접과 초음파용접등에 의해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10d, 9d에 각각 안전하고 확실하게 접속되어, 그 결과 리드단자 15, 16과 습접자 9, 10간의 접속 신뢰성이 또한 향상된다. 또한, 습접자 11은 케이스 2의 측면에서 도출된 인출부 11e를 갖기 때문에, 리드단자 17이 인출부 11e에 접속되는 위치를 독단적으로 변화할 수 있어서, 그 결과 각각의 리드단자 15, 16 및 17 중의 두 개 간의 피치치수(pitch dimension)가 다양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의 선재(wire material)를 필요한 치수로 적당하게 자름으로써, 각각의 리드단자 15~17이 임의의 길이를 갖도록 만들어진 후, 리드단자 15~17이 습접자 9~11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드단자의 길이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가변 저항기 1을 테이프 세트로 감는 경우, 선재를 필요한 길이로 적당하게 자름으로써, 선재가 리드단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재는 낭비되지 않는다. 그 결과, 재료가 사용되는 비율이 효율적이며, 이것은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두 번째 구현예: 도 14~도 20)
두 번째 구현예는 하술된 다양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첫 번째 구현예의 가변 저항기와 동일하다.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50은 실제적으로 원형상의 관(column)과 같이 성형되며,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구성된 일체구조를 갖는다. 로터 50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드라이버용 십자홈(crossed groove fo use of a driver) 51이 설치되어 있다. 십자홈 51 주위에는, 실제적으로 원호상(arc)과 같이 성형된 에스케이프 홈(escape groove) 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stopper) 53은 이 에스케이프 홈 52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노치(notch) 54는 로터 50의 상면의 외주절부(outer-peripheral edge portion)에 설치된다. 로터 50의 하면에는, 말굽형 저항기 55와, 내주전극 56 및 외주전극 57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7~도 2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 60는 오목부 63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63의 단면은 로터 50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성형되며, 이것에 의해 로터 50은 오목부 63에 삽입되며, 그 안에서 매끄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홀 64는, 케이스 60의 상면의 각각의 네 개의 코너부에 설치된다. 습접자 9, 10 및 11은 케이스 60의 저면에 내삽되며, 케이스 60의 오목부 63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습접자 9, 10 및 11의 중앙부에 설치된 각각의 암 9a, 10a 및 11a는 오목부 6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이들 암은 빗 형상과 같이 성형된다. 암 9a~11a는 이들의 접점부 A, B 및 C에서 로터 50의 전극 56과, 전극 57, 및 저항체 55와 각각 접속한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단자 75, 76의 단면은 원형이며, 이들의 두부(頭部) 말단 부근에는 단자 보유 플랜지상 돌기 75a, 76a를 각각 구비한다. 케이스 60이 수지 성형되기 전에, 이들 두 개의 리드 단자 75와 76은, 습접자 9, 10의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 9d, 10d에, 저항용접, 초음파용접 등에 의해 이들의 리드선의 선단부에서 접합된다. 따라서, 내삽이 케이스 60에 대하여 수행되는 경우, 습접자 9~11과 리드단자 75, 76과 함께 일체가 된 케이스 60이 얻어진다.
케이스 60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된 습접자 11의 도출부 또는 인출부 11e가 케이스 60를 따라 굴곡되며, 케이스 60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홈 67에 의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조절되면서 도출된다. 이것에 의해, 이것의 선단부는 케이스 60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단면이 원형인 리드단자가, 이것의 리드선의 단면에서 이 인출부 11e에 저항용접, 초음파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한편, 케이스 60의 측면에서 인출된 습접자 9, 10의 인출부 9e, 10e는 다음 단계에서 절단된다.
상술한 구조의 부품을 구비하는 가변 저항기는 첫 번째 구현예와 유사한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 60이 수지 성형되기 전에, 리드단자 75, 76와 습접자 9, 10의 접속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용접후에 수지가 첨가되기 때문에,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이 수지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조물이 얻어진다. 또한, 리드단자 75, 76과 습접자 9, 10간의 접속이 케이스 60에 의해 강화된 형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케이스 60의 밀폐성 이외에도 리드단자 75, 76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 60에 매설된 리드단자 75, 76의 단부에 플랜지상의 돌기 75a, 76a가 설치되며, 이것은 리드단자 75, 76의 접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그 결과, 리드단자 75, 76에 인가된 부하는 리드단자 75, 76과 습접자 9, 10간의 접속점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은 리드단자와 습접자간의 접속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갖는다.
상술한 구현예들의 다양한 변경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각의 상술한 구현예들에서, 습접자 9가 배치된 위치와 습접자 10이 배치된 위치를 서로 교환시킴으로써, 습접자 9는 외주전극 27, 57에 의해 습접될 수 있으며, 습접자 10은 내주전극 26, 56에 의해 습접될 수 있다. 또한, 외주전극 27, 57 또는 내주전극 26, 56은 저항체 25와 55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횡단면이 원형인 리드 단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자동 삽입기에 의해 수행된 실장시에, 절단과 클린칭(clinching)시에, 절삭날은 항상 리드 단자의 평활한 굴곡면에 접한다. 그러므로, 절삭날에 인가된 부하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고, 이것은 오삭(cutting error)의 가능성을 제거한다. 또한, 절단후의 클린칭이 확실하고 안정한 작동의 연속이기 때문에, 인쇄배선판등에 실장의 신뢰성이 높게 된다. 또한, 절삭날의 수명이 연장되며, 연장된 수명만큼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리드단자가,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는 습접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접속이 얻어진다.
또한, 커버는 실장용 조부를 갖는다. 실장용 조부의 선단부는 절반되며, 실장용 조부 안에 그리고 위에는, 슬릿 및 계지부(slits and engagement portion)가 설치된다. 실장용 조부는 케이스에 설치된 홀에 압입되며, 이것에 의해 커버는 케이스에 견고하게 실장되어 이것에 의해 케이스를 밀폐한다. 그러므로, 수지의 사용에 기초한 종래의 밀봉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조정용 개구부의 에지부가 로터 측으로 굴곡가공 또는 버링(burring)가공등에 의해 굴곡된다. 그 결과, 조정된 경우의 드라이버의 삽입성이 향상되고, 커버 자체의 강도가 상승되며, 이것의 실장 후, 커버의 상면의 변형이 방지되며, 저항체 또는 전극과 습접자의 암 사이의 접촉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것의 선재를 필요한 치수로 적당하게 자름으로써, 각각의 리드단자가 임의의 길이를 갖도록 만들어진 후, 리드단자는 습접자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드단자의 길이를 다르게하는 다양한 요구를 저비용으로 수용할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가변 저항기를 테이프 세트로 감는 경우, 선을 필요한 길이로 적당하게 자름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가 사용되는 비율이 효율적이며, 이것은 제조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리드단자와 습접자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케이스를 내삽함으로써, 케이스가 수지 성형되기전에, 리드단자와 습접자의 접속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수지로 된 케이스가,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시에 발생된 열의 영향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그 결과 우수한 품질의 제조물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리드단자와 습접자간의 접속부가 케이스에 의해 강화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밀폐성 이외에도 리드단자의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상술한 모범적인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실례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서 포함된 설명에서 유도된 상세한 실행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가능하다. 모든 이런 변화와 변경은 하기의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와 요지내에서 고려된다.

Claims (20)

  1. 오목부를 구비한 케이스;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면에 노출된 적어도 두 개의 습접자(slide contactors);
    저항체와 전극이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에 배치된 로터;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의 말단 개구부에 배치된 커버; 및
    단면이 대체로 원형이며, 상기한 습접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단자들(lead terminals)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로서,
    상기한 적어도 두 개의 습접자 각각은 상기한 저항체와 상기한 전극 위에서 습접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케이스의 표면에 노출된 리드단자 접속용 랜드를 구비하며, 상기한 리드단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접속용 랜드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extended portion)를 구비하며, 상기한 리드단자들 중의 하나는 상기한 인출부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케이스에 내삽되며, 상기한 리드단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습접자에 직접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나의 습접자에 직접 접속된 상기한 단자들 중의 상기한 적어도 하나는 그의 말단에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나의 습접자와 상기한 하나의 리드단자 사이에 접합이 형성되며, 그런 다음 접합된 습접자와 단자가 상기한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저면으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 탄력성 있는 암(arm)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부의 습접자층과 하부의 습접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의 습접자층과 상기한 하부의 습접자층은 단일 습접자층을 접어서 두 개의 인접한 층들을 형성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의 습접자층은, 잔류물(residue)들이 상기한 상부의 습접자층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는 상기한 케이스의 수용 홀(receiving hole)과 교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장용 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나의 실장용 조부는 거기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는 중앙에 배치된 애퍼추어(apertur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애퍼추어의 주변부에 리지(ridge)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에 실장된 밀폐용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터는 절연성 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6. 오목부를 구비한 케이스;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면에 노출된 적어도 두 개의 습접자;
    저항체와 전극이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에 배치된 로터;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의 말단 개구부에 배치된 커버; 및
    상기한 습접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단자들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로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저면으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 탄력성 있는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습접자들 중의 상기한 적어도 하나는 상부의 습접자층과 하부의 습접자층을 구비하며, 상기한 상부의 습접자층과 상기한 하부의 습접자층은 단일 습접자층을 접어서 두 개의 인접한 층들을 형성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8. 오목부를 구비한 케이스;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면에 노출된 적어도 두 개의 습접자;
    저항체와 전극이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에 배치된 로터;
    상기한 습접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단자들; 및
    케이스의 상기한 오목부의 말단 개구부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로서,
    상기한 커버는 상기한 케이스의 수용 홀과 교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장용 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 실장용 조부는 거기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는 중앙에 배치된 애퍼추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애퍼추어의 주변부에 리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KR1019970061406A 1996-11-20 1997-11-20 가변 저항기 KR19980042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81296A JP3367844B2 (ja) 1996-11-20 1996-11-20 可変抵抗器
JP8-309812 1996-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625A true KR19980042625A (ko) 1998-08-17

Family

ID=1799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406A KR19980042625A (ko) 1996-11-20 1997-11-20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1493A (ko)
JP (1) JP3367844B2 (ko)
KR (1) KR19980042625A (ko)
CN (1) CN1122286C (ko)
MY (1) MY123826A (ko)
TW (1) TW350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779B2 (ja) 1999-07-30 2003-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JP3503547B2 (ja) * 1999-11-08 2004-03-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US6744347B2 (en) * 2001-01-04 2004-06-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Variable resistor
JP4945848B2 (ja) * 2001-04-02 2012-06-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594A (en) * 1969-11-04 1972-07-11 Thomas H Shore Sound disperser
US3657688A (en) * 1970-06-16 1972-04-18 Trw Inc Compact variable resistor with rotary resistance element
US3676824A (en) * 1970-09-18 1972-07-11 Vishay Intertechnology Inc Gear-driven trimming potentiometer
US3683308A (en) * 1971-02-22 1972-08-08 Techo Components Corp Potentiometers
JP2603105B2 (ja) * 1988-06-06 1997-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DE3936679C2 (de) * 1988-11-05 1994-02-17 Murata Manufacturing Co Regelwiderstand
JPH0455611U (ko) * 1990-09-12 1992-05-13
JPH0795634B2 (ja) * 1990-11-09 1995-10-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ャーシ装置
DE4221309A1 (de) * 1992-06-29 1994-01-05 Abb Research Ltd Strombegrenzendes Element
JP3367787B2 (ja) * 1995-05-29 2003-01-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2943A (zh) 1998-05-27
JPH10149907A (ja) 1998-06-02
TW350069B (en) 1999-01-11
US6111493A (en) 2000-08-29
MY123826A (en) 2006-06-30
CN1122286C (zh) 2003-09-24
JP3367844B2 (ja) 200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7974A2 (en) Mount for electronic parts
JP2603105B2 (ja) 可変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KR19980042625A (ko) 가변 저항기
US6434815B1 (en) Variable resistor
US5053742A (en) Variable resistor
WO1997022847A2 (en) Position sensor
US6032521A (en) Position sensor
US6744347B2 (en) Variable resistor
JP4617984B2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6933830B2 (en) Variable resistor
JP2531009B2 (ja) 可変抵抗器
JP2531012B2 (ja) 可変抵抗器
JP4945848B2 (ja) 可変抵抗器
JPH0684680U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S61131512A (ja) 可変式電子部品
JP3823442B2 (ja) 可変コンデンサ
JPS62190703A (ja) 可変抵抗器用抵抗基体の製造方法
JPH09246020A (ja) チップ状可変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48124B2 (ja) Kaitensosashikikogatadenshibuhin
JPH077073U (ja) モータの基板結合構造
JPH06124809A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H11297517A (ja) 可変抵抗器の製造方法
JP2000082601A (ja) 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9506A (ja) ポジションセンサの抵抗基板組付構造
JPH07218212A (ja) ポテンショ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402

Effective date: 200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