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818A -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818A
KR19980041818A KR1019970038978A KR19970038978A KR19980041818A KR 19980041818 A KR19980041818 A KR 19980041818A KR 1019970038978 A KR1019970038978 A KR 1019970038978A KR 19970038978 A KR19970038978 A KR 19970038978A KR 19980041818 A KR19980041818 A KR 1998004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hain
chain
unit
chain uni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513B1 (ko
Inventor
후꾸가쯔 가또
츠요시 나까무라
게이지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오오모리 미끼히꼬
야마큐 체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모리 미끼히꼬, 야마큐 체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모리 미끼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4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6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on the load-carriers,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종류의 체인 유니트가 조립되어 체인에 사용된 유니트의 수에 따라 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은 구동 톱니바퀴에 접하는 부분과 체인의 하부 및 측부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체인 유니트에는 중앙 직선 리브부(2)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직선 리브부로부터 각기 예정된 폭을 갖는 동일한 짝수의 돌출부(3)가 상기 리브부(2)의 종축과 수직하게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3)는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부(2)를 따라 엇갈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4)의 각각에는 커넥팅 로드(21)가 지날 수 있도록 상기 리브부(2)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통구멍(5)이 제공되어, 상기 로드(21)를 통해서 상기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가 가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수와 종류에 따라 이송면(conveying surface)의 폭이 변화될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여러 종류의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이하, 체인 유니트라 약칭함)와 이러한 여러 종류의 체인 유니트로 형성된 컨베이어 체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2 종류의 체인 유니트와 이 2종류의 체인 유니트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든 여러 종류의 체인 유니트가 가로로 연결되어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 체인은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의 수와 종류에 따라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체인의 경우에 있어서, 컨베이어 체인의 각 대향 측면에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는 컨베이어 체인의 사이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고, 서로 이웃하는 체인 유니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핀 또는 커넥팅 로드와 결합되는 플러그를 수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베이어 체인의 대향 측면에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는 컨베이어 체인의 중간부에 사용된 것(즉, 중간부 체인 유니트)과는 종류가 다르다. 즉, 종래의 컨베이어 체인에서는 적어도 2가지의 다른 종류의 체인 유니트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체인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폭이 다른 2가지 종류의 체인 유니트가 요구되는 경우, 적어도 다른 4가지 종류의 체인 유니트가 필요하게 되며, 그 중 2가지는 제1체인 유니트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체인의 중간부 부재와 사이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두 가지는 제2체인 유니트를 위한 것으로, 제2체인 유니트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체인의 중간부 부재와 사이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 체인이 2가지 종류의 체인 유니트로 구성되어, 그 중 하나는 컨베이어 체인의 사이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는 컨베이어 체인의 중간부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 컨베이어 체인의 이웃하는 사이드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핀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는 본래 종래의 컨베이어 체인에서의 단점이다. 더욱이, 종래의 컨베이어 체인에 있어서,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컨베이어 체인의 동력차(power train)상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되는 넓은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로로 연결되므로써 강력한 모터가 요구된다. 이러한 큰 부하 때문에, 종래 컨베이어 체인은 강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구조적으로 각 체인 유니트의 두께가 증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넓은 컨베이어 체인은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준비해야 하며, 이는 컨베이어 체인의 가공 및 재고 관리비용을 증가시킨다. 특히, 종래의 컨베이어 체인의 조립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요되어, 제작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이하, 체인 유니트라 약칭함)와, 상기 여러 종류의 체인 유니트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여러 종류의 체인 유니트는 가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의 수와 종류에 따라서 이송면의 폭이 변하는 컨베이어 체인이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 종류는 필요에 따라 결합되는 단지 2가지로,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 기어에 커넥팅 핀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인 유니트는 결합시 측면 간극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측 단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체인은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두께를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새로운 기술적 개념에 따른 설계로 체인 유니트의 형태를 개선시키므로써 내마모성이 개선된 측면과 하부면을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취한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측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저면도.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측면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취한 컨베이어 체인의 측면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의 저면도.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의 측면도.
도 3은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는 플러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송면2:중앙 직선 리브부
3:돌출부4:측벽부
5:관통구멍7:홈
10:요면부21:커넥팅 로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직선 리브부가 제공되며, 상기 중앙 직선 리브부로부터 각기 예정된 폭을 갖는 동일한 짝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리브부의 종축과 수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부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의 각각에는 커넥팅 로드가 지날 수 있도록 상기 리브부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어, 상기 로드에 의하여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고; 체인 유니트의 대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의 말단부는,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측단부 이송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리브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돌출부중 이웃하는 하나의 돌출부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이송면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홈과 이 홈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홈에는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플러그는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고, 관통홀에 고정되며; 상기 체인 유니트는 2 종류로, 그 중의 하나는 기본폭을 갖는 제1체인 유니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체인 유니트의 기본폭의 절반인 제2체인 유니트이며, 상기 제2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는 상기 제1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의 절반으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체인 유니트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체인 유니트의 폭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상기 체인 유니트의 하부, 즉 돌출부의 측벽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리브부에는 요면부가 제공된다. 각 돌출부는 상기 리브부의 요면부에 대응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가 통과하는 실린더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지며, 그것에 의하여 컨베이어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톱니바퀴가 상기 리브부의 요면부에 들어가 돌출부의 실린더부에 접하게 되며, 이는 컨베이어 체인이 큰 구동 응력을 견디는 것을 가능케 하고, 동일한 구동 톱니바퀴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특히, 상기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곡선, 즉 리브부로부터 각 대향 돌출부로 연장되는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인 유니트가 컨베이어 체인으로 조립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예정된 반경을 갖는 코너 가이드부와 접하게 되며, 이는 체인 유니트 하부면에 내구성을 개선하여 편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이하, 체인 유니트라 약칭함)의 실시예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체인 유니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체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1b 그리고, 1c는 본 발명의 체인 유니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a는 체인 유니트의 이송면(1)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 유니트는 이송면(1)의 중심(20)에 대하여 대칭이며, 이는 상기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체인 유니트에는 중앙 직선 리브부(2)가 제공되며, 상기 중앙 직선 리브부로부터 각기 예정된 폭을 갖는 동일한 짝수의 돌출부(3)가 상기 리브부(2)의 종축에 수직하게 대향 연장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리브부(2)를 따라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체인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개선된다.
상기 돌출부(3)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4) 각각에는 커넥팅 로드(21)(도 2a 및 도 2b에 도시됨)가 관통하여 지날 수 있도록 리브부(2)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통구멍(5)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로드(21)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된다.
비록 상기 이송면(1)은 일반적으로 평평하다 할지라도,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면(1)은 바람직한 형상이라고 한다면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송면(1)은 위에 올려져 이송될 물품에 따라, 예를 들어, 리브 또는 버튼과 같은 형상의 부재, 푸싱(pushing) 부재, 측부 안내부재, 자석판, 고무 조각과 같은 다른 바람직한 부속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유니트의 대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3)의 말단부(3a)는,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측단부 이송면(1a)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리브부(2)에 대향하여 배치된 돌출부(3)중 이웃하는 하나의 돌출부의 측벽부(4)와 연결되는 이송면(1a)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3)에는 홈(7)과 이 홈(7)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5)이 제공되며, 상기 홈(7)은(도 3에 도시된) 플러그가 체인 유니트의 외측 단부면의 홈(7)에 완전히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한다. 이러한 플러그는 커넥팅 로드(21)를 지지하며, 관통홀(5)에 고정된다.
상기 체인 유니트는 2 종류이며, 그 중의 하나는 기본폭을 갖는 제1체인 유니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체인 유니트의 기본폭의 절반인 제2체인 유니트이며, 상기 제2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는 제1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의 절반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체인 유니트는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체인 유니트 폭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인 유니트의 하부, 즉 돌출부(3)의 측벽부(4)에 의하여 둘러싸인 리브부(2)에는 요면(凹面)부(10)가 제공된다. 각 돌출부(3)는 상기 리브부(2)의 요면부(10)에 대응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21)가 통과하는 실린더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지며, 그것에 의하여 컨베이어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톱니바퀴가 리브부(2)의 요면부(10)에 들어가 돌출부(3)의 실린더부에 접하게 되며, 이는 컨베이어 체인이 큰 구동 응력을 견딜 수 있게 하고, 동일한 구동 톱니바퀴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도 1a에 도시된 체인 유니트의 측면도인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곡선, 즉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중심부가 도 1d의 도면부호 12로 표시된 상기 원호면은 상기 리브부(2)로부터 각 대향 돌출부(3)로 연장된다. 상기 체인 유니트가 컨베이어 체인으로 조립될 때, 컨베이어 체인을 구성하는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로드와 같은 형상으로 예정된 반지름을 갖는 코너 가이드부와 접하게 되며, 이는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이 평면상에서 이동할 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체인 유니트의 한 쌍의 평면부(18)는 이송 테이블 상에서 활주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다수의 체인 유니트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며, 이것의 평면도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체인 유니트는 2 종류로, 그 중의 하나는 기본폭을 갖는 제1체인 유니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체인 유니트 폭의 절반인 제2체인 유니트이기 때문에, 상기 제2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는 제1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의 절반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체인 유니트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체인 유니트 폭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2 종류의 체인 유니트는 이동 경로를 따라 엇갈리게 배열되어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인 유니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팅 로드(21)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로드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컨베이어 체인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된 플러그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에는 한쌍의 후크(13,14)와 이 후크(13,14)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15)가 제공된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의 연결부(15)는 후크(13)를 지나 연장부(16)를 형성하는 한쪽 단부를 갖는다. 컨베이어 체인 조립 작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연장부(16)를 갖는 후크(13)는 도 1d에 도시된 관통구멍(5) 내로 압입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의 다른 후크(14)는 체인 유니트의 리브부(2)의 단부에 제공된 측부 홈(9)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는 서로 대향하는 후크(13,14)에 의해 완벽하게 걸리기 때문에, 상기 체인 유니트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연결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가 외부 돌출부와 같은 다른 물체와 부딪치거나, 체인 유니트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다. 더욱이, 작업자가 상기 플러그를 컨베이어 체인의 측면 상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는 컨베이어 체인의 조립 작업에서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오직 2 종류(그 중 한가지 형식은 컨베이어 체인에서 최외곽의 체인 유니트로써 사용되는)의 체인 유니트가 조립되어, 컨베이어 체인에 사용되는 체인 유니트의 수에 따라 그 폭이 변하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의 폭이 넓을 경우에도,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은 구동 톱니바퀴에 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구동 응력을 충분히 견뎌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은 동일한 구동 톱니바퀴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은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새로운 기술적 개념에 따른 설계로 체인 유니트의 형태를 개선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이 향상된 측부와 하부면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은 무게에 있어서 매우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에서는, 여러 종류의 체인 유니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가공비와 재고 처리 비용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체인에서 사용된 체인 유니트는 오직 2 종류이며, 이러한 사실은 컨베이어 체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상당한 제작비의 감축을 가능케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중앙 직선 리브부가 제공되며, 상기 중앙 직선 리브부로부터 각기 예정된 폭을 갖는 동일한 짝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리브부의 종축과 수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부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의 각각에는 커넥팅 로드가 지날 수 있도록 상기 리브부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어, 상기 로드에 의하여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고;
    체인 유니트의 대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의 말단부는,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측단부 이송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리브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돌출부중 이웃하는 돌출부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이송면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홈과 이 홈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홈에는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플러그는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고, 관통홀에 고정되므로써, 다수의 상기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
  2. 각기 기본폭과 중앙 직선 리브부를 가지는 다수의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상기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기본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다수의 제2컨베이어 체인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에서는 예정된 폭을 갖는 동일한 짝수의 돌출부가 상기 중앙 직석 리브부로부터 리브부의 종축과 수직하게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브부를 따라 엇갈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 각각에는 커넥팅 로드가 통과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부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이 로드로 인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대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의 말단부는, 다수의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가 서로 연결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측단부 이송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돌출부중 이웃하는 돌출부의 측벽부와 연결되는 이송면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홈과 이 홈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홈은 플러그가 체인 유니트의 외측 단면의 홈에 완전히 끼워지는 방식으로 플러그를 수용하며, 상기 플러그는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는 상태로 관통홀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는 상기 제1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돌출부의 수의 절반으로, 상기 다수의 제2컨베이어 체인 유니트가 서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의 폭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소정폭의 이송면을 갖는 컨베이어 체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유니트 하부, 즉 돌출부의 측벽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리브부에는 요면부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의 각각은 리브부의 요면부에 대응하며 상기 커넥팅 로드가 통과하는 실린더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가지므로써, 컨베이어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톱니바퀴가 상기 리브부의 요면부에 들어가 돌출부의 실린더부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 또는 컨베이어 체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곡선, 즉 리브부로부터 각 반대 돌출부로 연장되는 원호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 유니트가 컨베이어 체인으로 조립될 때, 컨베이어 체인의 체인 유니트의 하부면은 예정된 반경을 갖는 코너 가이드부와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 또는 컨베이어 체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는 한 쌍의 후크와 이러한 후크 사이에 형성되는 연장부(15)가 제공되며;
    상기 플러그의 연장부(15)는 후면이 내부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 또는 컨베이어 체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이송면은 위에 올려져 이송될 물품에 따라 리브 또는 버튼과 같은 형상의 부재, 푸싱 부재, 측부 안내부재, 자석판, 고무 조각과 같은 다른 소정의 부속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 또는 컨베이어 체인.
KR1019970038978A 1996-11-29 1997-08-14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KR100593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8982 1996-11-29
JP31898296A JP3533454B2 (ja) 1996-11-29 1996-11-29 コンベア・チェーン・ユニット及びコンベア・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818A true KR19980041818A (ko) 1998-08-17
KR100593513B1 KR100593513B1 (ko) 2007-03-02

Family

ID=1810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978A KR100593513B1 (ko) 1996-11-29 1997-08-14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0397A (ko)
EP (1) EP0845425B1 (ko)
JP (1) JP3533454B2 (ko)
KR (1) KR100593513B1 (ko)
DE (1) DE697227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0042C2 (nl) * 1998-03-16 1999-09-17 Mcc Nederland Transportmat, alsmede transportinrichting.
US20090071862A2 (en) * 2003-03-04 2009-03-19 Diaperoos, Llc Indicia of reduced diaper viewable through encasement
US8028823B2 (en) * 2007-02-23 2011-10-04 Laitram, L.L.C. Stacked attachments for modular conveyor belts
EP2668123B1 (en) * 2011-01-27 2017-08-09 Laitram, L.L.C. Conveyor belt and module with magnets
DE102012103078A1 (de) * 2012-04-10 2013-10-10 Krones Ag Kettenförderer für Kunststoffvorformlinge
EP2911957B1 (en) 2012-10-25 2017-07-19 Regal Beloit America,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ar of the rail of a conveyor
WO2014085688A2 (en) 2012-11-29 2014-06-05 Emerson Electric Company Side-flexing conveyors
ES2668456T3 (es) * 2013-11-07 2018-05-18 Ammeraal Beltech Modular A/S Módulo de cinta transportado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5933A3 (en) * 1982-06-01 1985-08-14 Karl Viktor Palmaer Plastic conveyor belt
EP0175483B1 (en) * 1984-08-20 1989-06-14 The Laitram Corporation Conveyor belt having insertable & selectable conveying members
US5020659A (en) * 1987-04-15 1991-06-04 Rexnord Corporation Conveyor chain assembly
DE69004443T2 (de) * 1989-01-26 1994-04-14 Laitram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erstörungsfreien Ausbau von Gelenkstäben aus modularen Kunststoff-Förderbändern.
JPH04226208A (ja) * 1990-05-21 1992-08-14 Ucc Corp モジュール式コンベヤベルト
US5253749A (en) * 1990-10-25 1993-10-19 Rexnord Corporation Open area conveyor assembly
IT226681Z2 (it) * 1992-06-10 1997-07-01 Regina Sud Maglia di trasportatore a catena con dispositivo di blocco del perno
US5215185A (en) * 1992-09-08 1993-06-01 Rexnord Corporation Breakable molded plastic links for forming conveyor chain
NL9201999A (nl) * 1992-11-16 1994-06-16 Mcc Nederland Uit kunststof modules opgebouwde transportmat en modules voor een dergelijke transportmat.
DK132993A (da) * 1993-01-21 1994-07-22 Baeltix Maskinfabrikken As Kædeledstransportør
NL9301355A (nl) * 1993-08-03 1995-03-01 Mcc Nederland Uit kunststof modules opgebouwde transportmat en modules voor een dergelijke transportmat.
CA2170281C (en) * 1993-08-26 2005-07-05 Karl V. Palmaer Transfer method for plastics conveyor belts
US5361893A (en) * 1993-11-18 1994-11-08 The Laitram Corporation High friction plastic conveyor belts having modular links formed by two integrated plastic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2749T2 (de) 2004-04-29
KR100593513B1 (ko) 2007-03-02
DE69722749D1 (de) 2003-07-17
US6050397A (en) 2000-04-18
JPH10157822A (ja) 1998-06-16
EP0845425B1 (en) 2003-06-11
JP3533454B2 (ja) 2004-05-31
EP0845425A1 (en) 199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185A (en) Breakable molded plastic links for forming conveyor chain
US4858753A (en) Conveyor chain assembly
US4821869A (en) Low backline pressure chain for use with transfer plate
JP3611659B2 (ja) 交差コンベヤ間で物品を移送するための方向変更機構
EP1135313B1 (en) Knuckle drive link conveyor belt systems
CN1850559B (zh) 输送机链
US4998889A (en) Electrical connector
EP1687221B1 (en) Plastic conveyor belt modules comprising sideguards
JP3954040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EP1300349A1 (en) Modular conveyor belts with pin-retained attachments
JP2711406B2 (ja) 駆動用連結部を有するモジュール及び該モジュールより組立てられたコンベヤベルト
EP1277676A1 (en) Snap-on side guards
KR100593513B1 (ko) 컨베이어 체인 유니트와 컨베이어 체인
EP1184305B1 (en) Modular plastic conveyor belt
US6581758B1 (en) Conveyor mat
EP1142806A1 (en) Roller for chain and chain equipped with the roller
JP2995494B2 (ja) エネルギー伝達チェーン
JPH06211330A (ja) 合成樹脂材モジュールで形成された搬送マットとその搬送マット用モジュール
CA1307491C (en) Wide chain conveyor assembly
JP3836081B2 (ja) コンベヤベルト
JPH01275930A (ja) リンクと駆動ベルト
US6604625B2 (en) Operating modular conveyor belts with migrating hinge pins
KR200220301Y1 (ko) 콘베이어용 링크
JP3586769B2 (ja) コンベア・チェーン・ユニット連結棒係止プラグ及びコンベア・チェーン・ユニット
US2776042A (en) Propelling linkage for tube type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