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13A -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13A
KR19980041413A KR1019960060716A KR19960060716A KR19980041413A KR 19980041413 A KR19980041413 A KR 19980041413A KR 1019960060716 A KR1019960060716 A KR 1019960060716A KR 19960060716 A KR19960060716 A KR 19960060716A KR 19980041413 A KR19980041413 A KR 1998004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front frame
vehicle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413A/ko
Publication of KR1998004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13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종래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는 정면충돌하게 되면, 범퍼브라킷(40)에 의해 고정된 범퍼의 리인포스먼트(미도시)는 프론트프레임(10)을 외측 방향으로 벌리려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충격에너지는 브라킷(30)의해 강하게 연결된 프론트프레임(10)과 크로스멤버(20)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프론트프레임(10)의 축압축 변형을 방해하고, 벤딩붕괴로 유도하게 되어 프레임(10)의 충돌에너지 흡수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양측에 접합된 한 쌍의 프론트프레임과, 크로스멤버를 접합시키도록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접합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에 접합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연결된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방에 위치되는 하부면에는 로워프레임(30)이 접합되고, 상기 로워프레임(30)의 선단은 절곡형성되어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에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워프레임(50)의 선단에는 크로스멤버(20)의 양단이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이동수단인 바, 항상 충돌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는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는 충돌시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을 분포하중으로 변환시켜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응력분포를 고려한 설계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양측에 접합된 한 쌍의 프론트프레임(10) 하측에 크로스멤버(20)가 접합되어 있는 바,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는 욱면체의 중공형 브라킷(30)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브라킷(30)에는 상기 크로스멤버(20)가 접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범퍼의 리인포스먼트(미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범퍼브라킷(40)이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는 정면충돌하게 되면, 범퍼브라킷(40)에 의해 고정된 범퍼의 리인포스먼트(미도시)는 프론트프레임(10)을 외측 방향으로 벌리려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충격에너지는 브라킷(30)의해 강하게 연결된 프론트프레임(10)과 크로스멤버(20)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프론트프레임(10)의 축압축 변형을 방해하고, 벤딩붕괴로 유도하게 되어 프레임(10)의 충돌에너지 흡수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면 충돌 시에 프론트프레임의 벤딩변형을 최소화하여 유효한 축압축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충돌 초기에 프레임의 에너지 흡수력을 강화시켜 객실부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프레임20 : 크로스멤버
30 : 브라킷40 : 범퍼브라킷
50 : 로워프레임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양측에 접합된 한 쌍의 프론트프레임과, 크로스멤버를 접합시키도록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접합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에 접합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연결된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방에 위치되는 하부면에는 로워프레임이 접합되고, 상기 로워프레임의 선단은 절곡형성되어 프론트프레임의 선단에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워프레임의 선단에는 크로스멤버의 양단이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양측에 접합된 한 쌍의 프론트프레임(10) 하측에 크로스멤버(20)가 접합되어 있는 바,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방에 위치되는 하부면에는 각각 로워프레임(50)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워프레임(50)은 프론트프레임(10)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절곡형성되어 그 선단이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과 대체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길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워프레임(50)의 선단에는 크로스멤버(20)의 양단이 접합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외측 선단에는 범퍼의 리인포스먼트(미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범퍼브라킷(40)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바디는 정면 충돌하게 되면, 범퍼브라킷(40)에 장착된 리인포스먼트(미도시)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상기 리인포스먼트를 변형시키면서 프론트프레임(10)을 외측으로 변형시키려는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프레임(10)과 로워프레임(50)으로 연결되어 접합된 크로스멤버(20)는 충격에너지를 억제하여 프론트프레임(10)의 변형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즉,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부와, 로워프레임(50)이 접합된 지점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부에 축압축 변형유도를 가능하게하여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바디는 프론트프레임의 선단부에 축압축 변형유도를 가능하게하여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향상시킨 구조이므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 프론트바디의 변형량이 최소화되어 객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된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양측에 접합된 한 쌍의 프론트프레임과, 크로스멤버를 접합시키도록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접합된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에 접합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연결된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방에 위치되는 하부면에는 로워프레임(30)이 접합되고,
    상기 로워프레임(30)의 선단은 절곡형성되어 프론트프레임(10)의 선단에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워프레임(50)의 선단에는 크로스멤버(20)의 양단이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019960060716A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9980041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16A KR19980041413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16A KR19980041413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13A true KR19980041413A (ko) 1998-08-17

Family

ID=6647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716A KR19980041413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72A (ko) * 2018-09-28 2020-04-08 (주)탑아이엔디 소형 전기자동차용 차체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72A (ko) * 2018-09-28 2020-04-08 (주)탑아이엔디 소형 전기자동차용 차체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673B2 (ja) 車体構造
JP304533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20070055144A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JP2582174Y2 (ja) 前部車体構造
JP3182973B2 (ja) フロントボデーの構造
KR19980041413A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9980041411A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200149395Y1 (ko) 차량용 리어 도어의 측단부 구조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JP7419921B2 (ja) 車両用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71468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임팩트 빔 보강구조
KR100440856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535581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10087446A (ko) 자동차의 에이프런패널부 보강구조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JPS6230839Y2 (ko)
KR100192217B1 (ko)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
KR100392494B1 (ko) 자동차의 운전자와 엔진사이에 장착되는 보강패널
KR100392221B1 (ko) 충돌시 내구성 성능 향상을 위한 자동차 바디 구조
KR200145075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구조
KR200147047Y1 (ko) 차량의 프런트사이드멤버 보강구조
KR19980042613U (ko) 자동차용 도어의 임팩트바
KR19990010675A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라디에이터 서포트 로어 멤버의 결합 구조
KR20010027305A (ko) 알루미늄 프레임 자동차용 전방 충돌력 분산 구조
KR19990005645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