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842U -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842U
KR19980038842U KR2019960051910U KR19960051910U KR19980038842U KR 19980038842 U KR19980038842 U KR 19980038842U KR 2019960051910 U KR2019960051910 U KR 2019960051910U KR 19960051910 U KR19960051910 U KR 19960051910U KR 19980038842 U KR19980038842 U KR 199800388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tabilizer bar
bolt
fastening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842U/ko
Publication of KR19980038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84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페이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고정공과 로어 현가 암의 고정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이들 볼트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수개의 리테이너, 고무 부시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너트 최종 체결 위치에 너트의 체결을 제한하는 제한턱부가 형성되어, 너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너트의 체결력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너트를 볼트의 제한턱부까지 체결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항상 일정한 체결력으로 너트가 체결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충분한 기능 발휘를 기대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바는 좌우의 로어 현가 암과 프레임을 경유하도록 장치되어, 좌우의 바퀴가 동시에 상하작동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의 바퀴가 서로 상하작동하는 경우에는 비틀어지면서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켜 차체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한 스태빌라이저 바가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가의 여부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좌우 로어 현가 암에 대한 고정에 기인한다. 즉, 스태빌라이저 바는 로어 현가 암에 볼트 및 너트 체결 구조로 고정되는데, 이 때 너트의 체결력 정도에 따라 작용이 달리 나타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바 조립시의 너트 체결력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 나타나 있고, 이의 조립 상태가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은 스태빌라이저 바 이고, 2는 로어 현가 암이며, 3은 고정 볼트, 4는 너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1)는 로어 현가 암(2)에 볼트(3)와 너트(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볼트(3)와 너트(4) 사이에는 수개의 리테이너(5) 및 고무 부시(6)와, 스페이서(7)가 개재되어 있다.
즉, 볼트(3)에 리테이너(5), 고무 부시(7) 및 스페이서(7)를 차례로 끼운 후, 이와 같이된 볼트(3)를 로어 현가 암(2)과 스태빌라이저 바(1)의 고정공으로 삽입하여 너트(4)로 체결, 고정하는데, 그의 체결 정도는 너트를 체결하고 남는 볼트의 길이(도 2에서 L로 표시된 길이) 로 관리하면서 너트를 조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 있어서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남는 볼트의 길이를 측정하여 너트의 체결력을 관리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너트 체결력의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조립성 및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볼트에 너트의 정확한 체결 위치(스태빌라이저 바가 최적의 기능을 낼 수 있는 너트 체결력에 상당하는 길이)를 미리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너트의 체결력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너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태빌라이저 바2: 로어 현가 암
3: 볼트3a: 제한턱부
4: 너트5: 리테이너
6: 고무 부시7: 스페이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고정공과 로어 현가 암의 고정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이들 볼트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수개의 리테이너, 고무 부시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너트 최종 체결 위치에 너트의 체결을 제한하는 제한턱부가 형성되어, 너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는, 볼트의 너트 최종 체결 위치에 너트의 체결을 제한하는 제한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의 체결력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너트를 볼트의 제한턱부까지 체결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체결력으로 너트가 체결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충분한 기능 발휘를 기대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 구조는 종래의 경우와 같게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스태빌라이저 바(1)의 고정공과 로어 현가 암(2)의 고정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볼트(3)와, 이 볼트(3)에 체결되는 너트(4)와, 이들 볼트(3)와 너트(4) 사이에 개재되는 수개의 리테이너(5), 고무 부시(6) 및 스페이서(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볼트(3)는 이에 체결되는 너트(4)의 체결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턱부(3a)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의 제한턱부(3a)는 너트가 최종적으로 체결되는 위치, 다시 말하면 스태빌라이저 바가 최적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너트의 체결력에 상당하는 길이(도 3의 L1으로 표시된 길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4)를 체결함에 있어서, 별도로 너트의 체결력을 관리할 필요없이 볼트의 제한턱부까지 체결하면 된다. 이는 종래 너트를 체결하면서 너트를 체결하고 남은 볼트의 길이를 수시로 체크하여 볼트에 대한 너트의 적정한 체결력을 관리하던 것에 비하여 너트의 체결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조립의 용이 및 이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는, 볼트의 너트 최종 체결 위치에 너트의 체결을 제한하는 제한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의 체결력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너트를 볼트의 제한턱부까지 체결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체력력으로 너트가 체결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충분한 기능 발휘를 기대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 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고정공과 로어 현가 암의 고정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이들 볼트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수개의 리테이너, 고무 부시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너트 최종 체결 위치에 너트의 체결을 제한하는 제한턱부가 형성되어, 너트를 쉽게 체결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KR2019960051910U 1996-12-20 1996-12-2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KR199800388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910U KR19980038842U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910U KR19980038842U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842U true KR19980038842U (ko) 1998-09-15

Family

ID=5399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910U KR19980038842U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8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570A (en) Supplementary device for a vehicle pedal
AU2001240135A1 (en) Link assembly for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KR19980038842U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US6932410B2 (en) Instrument-panel mounting system
KR1998005551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
EP0762012B1 (de) Schwingungstilger
US5362092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trol arm with a bearing
KR100837954B1 (ko) 차량의 후드 스테이 로드의 프로텍터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JPH0731453U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保護装置
JPH0713514U (ja) ローリングスタビライザ装置
KR200145102Y1 (ko) 리프 스프링 설치용 쉐클
KR200173939Y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조립구조
JPH0747205Y2 (ja) リーフスプリング取付用uボルト
KR200152256Y1 (ko) 차량용 리어스테빌라이저의 단부구조
KR0125718Y1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용 방진구
KR950010149A (ko) 차량 밧데리 고정용 캐리어
KR19980040713U (ko)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의 스테빌라이져 지지구조
JPH02102812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取付構造
KR19980042198U (ko)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고정구조
JPH05246224A (ja) 車両における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ブラケット
JP2004278737A (ja) ダンパーの取付構造
KR950002647Y1 (ko) 자동차 오일쿨러(Oil Cooler)용 어댑터(Adapter)
KR0126166Y1 (ko) 차량의 엔진언더커버
KR200141664Y1 (ko) 브레이크장치용 오일파이프의 멀티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