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956U -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956U
KR19980036956U KR2019960049971U KR19960049971U KR19980036956U KR 19980036956 U KR19980036956 U KR 19980036956U KR 2019960049971 U KR2019960049971 U KR 2019960049971U KR 19960049971 U KR19960049971 U KR 19960049971U KR 19980036956 U KR19980036956 U KR 199800369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collision
impact
impact bea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9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956U/ko
Publication of KR19980036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5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측면 충돌시 도어의 상측부분이 먼저 탑승자의 상체부와 접촉되면서 실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도어의 내부에 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임팩트 빔의 양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돌시 도어의 상측부분이 먼저 탑승자의 상체부와 접촉되면서 실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충돌 및 추돌사고등 각종 사고 발생시 인명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종의 안정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그의 일예에서, 차량의 측면충돌 사고시 도어의 변형으로 인한 탑승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의 내,외측 패널 사이에 소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임팩트 빔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면 충돌로 인하여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의 충격을 임팩트 빔에서 흡수함으로서, 도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임팩트 빔을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5, 6에서와 같이, 도어(100)의 하측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임팩트 빔(102)을 배치하고, 이의 임팩트 빔(102)의 양단을 브라켓(104)(106)으로 도어(100)의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임팩트 빔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임팩트 빔이 도어의 하측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는 바, 그 강성이 충분히 못하여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도 7에서와 같이, 가해차량(108)의 범퍼(110)와 부딪치는 부분이 먼저 내측으로 밀림과 동시에 도어(100)의 상측부분이 가해차량의 상측부분과 충돌되면서 내측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체부와 상체부를 동시에 타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 충돌시 도어의 상측부분이 먼저 탑승자의 상체와 접촉되면서 실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측면 충동시 안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내부에 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임팩트 빔의 양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어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측면 충돌 초기의 상태도.
도 4는 측면 충돌이 말기의 상태도.
도 5는 종래 안정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종래 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임팩트 빔 4:도어 12,14:보강부재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호 2는 임팩트 빔를 지칭한다.
상기 임팩트 빔(2)은 제2도에서와 같이, 도어(4)의 인너 및 아웃패널(6)(8)의 사이의 공간부(10)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4)의 외측으로부터 큰충격이 가해질 때 도어(4)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팩트 빔(2)은 대개 소정의 강성을 갖는 봉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임팩트 빔(2)의 양단부에 부강부재(12)(14)를 배치한 것이다.
상기에서 보강부재(12)(14)는 임팩트 빔(2)와 같은 동일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외에 요구하는 강성을 갖는 부재이면 만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안정장치에 의하면, 도 3과 같은 측면 충돌시 가해 차량(16)의 범퍼(18) 부분이 먼저 임팩트 빔(2) 부위와 충돌하여 이 부분이 내측으로 밀릴 때, 이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보강부재(12)(14)로도 이의 전달되는 바,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상측부(20)가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가해차량(16)의 범퍼(18) 부분에 의하여 밀리는 부분이 탑승자와 닿기 이전에 그의 상체부가 상기 상측부(20)와 먼저 접촉되면서 내측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측면 충돌시 도어의 상측부분이 먼저 탑승자의 상체부와 접촉되면서 실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내부에 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임팩트 빔의 양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정장치.
KR2019960049971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KR199800369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71U KR199800369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71U KR199800369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56U true KR19980036956U (ko) 1998-09-15

Family

ID=5399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971U KR199800369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9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9980036956U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안전장치
KR0127089Y1 (ko) 도어 임팩트 빔 브래킷
KR0133981Y1 (ko) 자동차용 임팩트 바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200142531Y1 (ko)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0127088Y1 (ko) 도어 임팩트 빔 브래킷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20018747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0139456B1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빔 고정구조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19990021291A (ko) 자동차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00224393B1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KR200179579Y1 (ko)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200152943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80025665U (ko)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
KR19980019664U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완충장치
KR19980051739U (ko) 도어 충격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