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399U -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399U
KR19980036399U KR2019960049399U KR19960049399U KR19980036399U KR 19980036399 U KR19980036399 U KR 19980036399U KR 2019960049399 U KR2019960049399 U KR 2019960049399U KR 19960049399 U KR19960049399 U KR 19960049399U KR 19980036399 U KR19980036399 U KR 199800363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elocity
velocity joint
rubber member
joint structure
boot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9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399U/ko
Publication of KR19980036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39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등속 조인트(18)의 외륜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높은 제 1고무 부재(12)로 형성하고, 회전축(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낮은 제 2고무 부재(14)로 형성하며, 상기 제 1고무 부재(12)와 상기 제 2고무 부재(18)가 연결되는 중간부(16)를 상호 접착되도록 가류성형하여 형성되는 부트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축의 고속회전시 부트시일의 팽창을 억제하도록 한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Constant Velocity Joint Structure For Automobil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 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는 엔진의 동력을 지장없이 구동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차축의 양단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피구동축의 교차각이 커지더라도 등속으로 원할하게 운동할 수 있는 자재이음으로서, 볼과 안내홈을 이용하여 설치 경사각에 관계없이 항상 구동축과 피구동축의 접점을 축의 교차각의 2 등분선상에 있게 하여 구동축과 피동축이 늘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등속 조인트는 조인트 윤활을 위해 조인트 내부에 그리스가 충전되고, 이 그리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고무재질의 부트 시일의 양단부면을 등속 조인트의 외륜부와 회전축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한후, 밴드형 강재 클램프로 조여 밀봉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종래기술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속 조인트 구조체(50,70)를 각각 나타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66)에는 피구동축(60,80)에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등속 조인트(58,78)가 설치되며, 등속 조인트(58,78)의 외륜에는 각각 부트시일(52) 및 단순고무 재질의 부트시일(72)의 일단부면이 각각 고속회전에 의한 팽창억제용의 동재(銅材)클램프(54) ,및 클램프(74)에 의해 고정되고,그 타단부는 피구동축(60,80)의 소정지점까지 연장되어 그 외주면상에서 클램프(56,82)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등속 조인트 구조체(50)에 있어서는, 구동축(66)의 고속회전에 따른 부트시일(52)의 회전팽창으로 인해 부트시일(52,72)이 팽창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54)부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조인트 꺽임각도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었고,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조인트 구조체(70)에 있어서는, 구동축(76)의 고속 회전시 부트시일(72)이 회전팽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등속 조인트 구조체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축의 고속회전시 부트시일의 내부 회전 팽창을 억제하도록 한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예에 따른 등속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속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60: 등속 조인트 구조체, 12: 제 1고무 부재, 14: 제 2고무 부재, 16: 중간부, 18,58,78: 등속 조인트, 20,60,80: 피구동축, 22a,22b,56: 클램프, 24,64,84: 그리스, 26,62.72: 부트 시일, 28,66,76: 구동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등속 조인트 구조체는 등속 조인트의 외륜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높은 제 1고무 부재로 형성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낮은 제 2고무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제 1고무 부재와 제 2고무 부재가 연결되는 중간부를 상호 접착되도록 가류성형하여 형성되는 부트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부트 시일의 중간부가 곡선모양으로 절곡 성형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부트 시일을 경도가 서로 상이한 두가지의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그 중간부를 가류성형하여 접합함으로써 구동축의 고속회전시 부트 시일의 회전 팽창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10)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된다. 구동축(28)의 일단부에는 피구동축(20)에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등속 조인트(1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등속 조인트(18)의 외륜과 피구동축(20)의 소정의 외주면상에 제 1고무 부재(12)와 제 2고무 부재(14)로 이루어진 부트 시일(26)이 형성된다. 상기 등속 조인트(18)의 외륜부위에는 경도가 높은 제 1고무 부재(12)의 단부부분이 클램프(22a)에 의해 밀착 고정되고, 피구동축(20)의 외주면상에는 경도가 낮아 변형이 용이한 제 2고무 부재(14)의 단부부분이 클램프(22b)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상기 부트 시일(26)의 중간부(16)즉, 상기 제 1고무 부재(12)와 상기 제 2고무 부재(14)의 이음부분은 곡선모양으로 절곡되어 상호 접착되도록 가류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의 윤활작용을 위해 상기 부트 시일(26)의 내부공간에는 그리스(24)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부트 시일(26)에 의해 상기 그리스(24)의 유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트 시일을 경도가 서로 상이한 두가지의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그 중간 이음부를 가류성형하여 접합함으로써 구동축의 고속회전시 부트 시일의 회전 팽창이 억제되어 부트시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수 있고, 허용가능한 조인트의 꺽임각을 크게 할 수있어 등속 조인트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등속 조인트의 외륜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높은 제 1고무 부재로 형성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부분을 경도가 낮은 제 2고무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제 1고무 부재와 제 2고무 부재가 연결되는 중간부를 상호 접착되도록 가류성형하여 형성되는 부트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2. 상기 부트 시일의 중간부가 곡선모양으로 절곡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KR2019960049399U 1996-12-14 1996-12-14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KR199800363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399U KR19980036399U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399U KR19980036399U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399U true KR19980036399U (ko) 1998-09-15

Family

ID=5399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399U KR19980036399U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3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341B1 (ko) * 2001-11-0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추진축 조인트의 기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341B1 (ko) * 2001-11-0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추진축 조인트의 기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781A (en) Sealing assembly for universal joint
KR920008641B1 (ko) 동력전달 기계조인트 및 그 밀봉용 부우트
US8328650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5558580A (en) Boot
KR19980036399U (ko)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구조체
JP2008309223A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
JP2006308075A (ja) 等速自在継手
US8052536B2 (en) Boot for universal joint
JP2572621Y2 (ja) 自動車の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ジョイントのブーツ
JP2013234733A (ja) 等速自在継手
JP3662050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自在継手のシール構造
KR100412385B1 (ko) 등속 조인트
KR200322708Y1 (ko) 이중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장치
KR100323078B1 (ko) 링클램프내장형부트
JP2023020379A (ja) 等速自在継手
JPH0744969U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ジョイントのブーツ
KR19980030208U (ko) 자동차의 부트
KR200219820Y1 (ko) 자재이음 부트의 혀붙이 클램프
JP2012163171A (ja) 等速自在継手
KR20030055861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19980011139U (ko) 구동축 구형 자재이음의 부트구조
KR200340038Y1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구조
KR19980034101U (ko) 자동차의 부트
JP2013083331A (ja) 等速自在継手
JP2010101377A (ja)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