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844U -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844U
KR19980035844U KR2019960048830U KR19960048830U KR19980035844U KR 19980035844 U KR19980035844 U KR 19980035844U KR 2019960048830 U KR2019960048830 U KR 2019960048830U KR 19960048830 U KR19960048830 U KR 19960048830U KR 19980035844 U KR19980035844 U KR 199800358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nnel
bracket
rear door
fixe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8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844U/ko
Publication of KR19980035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84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리어 글래스(3)의 승강운동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2)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13)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타단에 보강 브래키트(8)의 일단이 중첩되어 같이 고정되고, 상기 보강 브래키트(8)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 내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어 글래스의 승강운동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을 도어의 인너 패널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리어 도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장공(11)의 상하부를 연결하도록 가이드 채널(2)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채널(2)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직사각형 장공(11)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장공(12)이 형성된다. 직사각형 장곡(11)에 리어 글래스(3)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고, 반면에 사다리골 장공(12)에는 쿼터 글래스(4)가 붙박이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리어 글래스(3)는 리어 도어(1)내에 설치된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채널(2)은 브래키트(5)로 리어 도어(1)의 인너 패널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고정구조가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키트(5)는 L자 형상으로서, 가이드 채널(2)이 측부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볼트(6) 및 너트(7)로 도어의 인너 패널(1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어의 인너 패널(13)의 외곽 플랜지는 도어의 아우터 패널(14)의 외곽 플랜지에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이드 채널(2)을 도어의 인너 패널(13)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키트(5)가 단순한 L자 형상이므로, 자체 강성이 취약하여 측면충돌시, 브래키트(5)가 실내로 침입하여 탑승객에게 심한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 강성을 강화시켜 측면충돌시 실내로 침입되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탑승객의 부상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리어 도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종래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보강 브래키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가이드 채널5 -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
6 - 볼트7 - 너트
8 - 보강 브래키트81 - 강성 보강용 비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리어 글래스의 승강운동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타단에 보강 브래키트의 일단이 중첩되어 같이 고정되고, 상기 보강 브래키트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 내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브래키트는 4개소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절곡부에 강성 보강용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가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보강 브래키트와 함께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에 고정되므로써,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지지강도가 대폭 강화되고, 따라서 측면충돌시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실내 침입량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보강 브래키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글래스(3)의 승강운동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2)이 L자 형상의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좌측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하부는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13) 내측면에 볼트(6) 및 너트(7)로 고정되는데, 여기서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보강 브래키트(8)와 함께 고정된다.
즉, 보강 브래키트(8)의 하부가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상에 중첩되어 볼트(6) 및 너트(8)로 체결되어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13)에 고정되고, 상부는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보강 브래키트(8)의 형상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에 맞대어지는 하부에서 상향으로 90。 절곡된 후, 우측으로 90。 절곡되고, 다시 상향으로 90。 절곡되며,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에 맞대어지는 부분인 상부가 좌측으로 90。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4개소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각 절곡부에 강성 보강용 비드(81)가 형성된다.
또한, 보강 브래키트(8)의 상부면에는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제를 도포하기 위한 오목부(82)가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가 리어 도어와 아우터 패널(14)에 고정된 보강 브래키트(8)와 함게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13)에 고정되므로써,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지지강도가 강화되고, 또한 보강 브래키트(8)가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측면 충돌시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14)이 실내로 침입하는 양을 줄일 수가 있게 되고, 따라서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5)의 실내 침입량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객의 부상정도를 경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리어 글래스의 승강운동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채널이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인너 패널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의 타단에 보강 브래키트의 일단이 중첩되어 같이 고정되고, 상기 보강 브래키트의 타단은 리어 도어의 아우터 패널 내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래키트는 4개소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절곡부에 강성 보강용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KR2019960048830U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KR199800358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830U KR19980035844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830U KR19980035844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844U true KR19980035844U (ko) 1998-09-15

Family

ID=5398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830U KR19980035844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8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844U (ko)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KR19980062967A (ko)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 고정구조
JPH0423742Y2 (ko)
KR0120265Y1 (ko) 차량의후론트도어쿼드런트챤넬비틀림방지장치
KR100395126B1 (ko) 센터 필러 로워부 박스 지지 구조
KR950009030Y1 (ko) 차량의 상부 차체구조
KR200143118Y1 (ko) 자동차용 도어
KR100302437B1 (ko) 버스의상부수평사이드필러구조
KR19980038033U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488668B1 (ko) 강성이 향상된 차량의 쿼터글래스 장착구조
KR960005407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러 차체의 결합구조
KR100197505B1 (ko) 화물차량용 필라 패널의 도어 힌지연결부 강성보강구조
KR19980035843U (ko)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
KR20010066511A (ko) 버스용 윈도우 필러
KR19980062968A (ko) 자동차 리어 도어의 가이드 채널용 브래키트
KR100231558B1 (ko) 자동차의 도아보강구조
KR100405549B1 (ko) 자동차의 루프레일부 단면구조
KR19980062957A (ko) 자동차 도어의 플레이트 고정구조
KR970005400Y1 (ko) 차량의 필라부와 도어의 시일구조
KR19980040840U (ko) 자동차의 b-필라 강성 보강구조
KR19980041576U (ko) 승합차 슬라이드도어 하부의 바디패널
JPH07290949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取付構造
KR19990006846U (ko) 루프 인테리어 패널 고정용 브라켓
KR19980039807U (ko)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80048948U (ko) 차량용 리어 도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