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676A -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 Google Patents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676A
KR19980035676A KR1019960054088A KR19960054088A KR19980035676A KR 19980035676 A KR19980035676 A KR 19980035676A KR 1019960054088 A KR1019960054088 A KR 1019960054088A KR 19960054088 A KR19960054088 A KR 19960054088A KR 19980035676 A KR19980035676 A KR 1998003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memory
data
read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730B1 (ko
Inventor
류근장
Original Assignee
이우복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복,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이우복
Priority to KR101996005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7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730B1/ko

Links

Landscapes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VCR의 영상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다중 메모리 모듈에서 비연속적인 디지탈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 FIFO(First-in First-out)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중 일부가 처리되고 남은 데이타가 존재할 때 인덱스를 이용하여 원래의 메모리에 남은 데이타를 백업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메모리와, 각각의 상기 메모리에 대한 데이타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메모리에 기록 및 그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메모리내 어드레스 위치를 증감 표시하는 어드레스 카운터와, 각각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에 대하여 연산 동작을 수행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의 근원지를 나타내는 인덱스 신호를 제공하여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인덱싱 수단과, 상기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타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연산 동작의 정지를 검출하여, 상기 일시 저장 수단내의 디지탈 데이타의 인덱스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판독된 메모리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백업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영상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다중 메모리 모듈의 디지탈 데이타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내에서의 어드레스 위치를 증감 표시하는 어드레스 카운터와 멀티플렉서에 의해 부여된 별도의 인덱스를 통해 오퍼레이션이 정지되더라도 데이타가 판독된 메모리로 데이타를 백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메모리내의 비연속적인 디지탈 데이타를 처리하는 과정은 메모리내의 데이타를 판독한 후 FIFO내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오퍼레이션 블록의 오퍼레이션 수행 명령에 의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연속적인 다중 메모리의 디지탈 데이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퍼레이션 도중, 일시 중단할 수 없으며 불가피하게 오퍼레이션을 중단한 경우에는 다음 오퍼레이션 수행시 데이타의 맨 처음부터 즉, 기존의 처리 과정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중 메모리 모듈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FIFO 사용에 있어 일부 남은 데이타를 복원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리부 110A, ..., 130A : 제 1, ..., 3 어드레스 카운터
200 : 인덱스부 300 : 데이타 연산 처리부400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타 전송 라인 상에서 메모리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함과 동시에 각각의 메모리(110,120,130)로부터 데이타의 입·출력을 카운트하는 어드레스 카운터(110A,120A,130A)로 구성된 메모리부(100)와, 메모리부(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2 비트의 인덱스를 부여하는 멀티플렉서(210)와 데이터에 인덱스를 조합하는 버스투버스(bus-to-bus) 회로(220)로 구성된 인덱스부(200) 및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FIFO(310)에 전송함과 동시에 레지스터 카운터(320)에 의해 FIFO(310)내의 데이타를 카운트하고 처리하는 처리부(300) 그리고 상기 데이타를 처리 도중 정지신호를 검출하여 남은 데이타를 상기 인덱스 코드에 따라 판독된 메모리로 재 전송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00), 인덱스부(200), 데이타 연산 처리부(300) 및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메모리부(100)에는 제 1 메모리(110), 제 2 메모리(120), 제 3 메모리(130)와 각각의 메모리(110,120,130)에 대응하는 제 1 어드레스 카운터(110A), 제 2 어드레스 카운터(120A), 제 3 어드레스 카운터(130A)로 구성되고, 인덱스부(200)에는 멀티플렉서(210), 버스투버스(bus-to-bus) 회로(220)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타 연산 처리부(300)에는 FIFO(310), 레지스터 카운터(320), 오퍼레이션 블록(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부(300)에 연결된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챠트로서, 도 1 과 도 3 을 참조하여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퍼레이션 수행시 제 1 및 제 2 , 제 3 메모리(110,120,130)에 대해 제어부(400)로부터 발생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110,120,130)에 대응하는 각각의 어드레스 카운터(110A,120A,130A)는 각각의 메모리(110,120,130)로부터의 데이타 출력을 업 카운팅 한다(단계11).
각각의 메모리(110,120,130)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는 상기 메모리부(100)와 연결된 버스투버스 회로(220)에 의해 멀티플렉서(210)에서 부여된 2 비트의 인덱스 코드와 조합하여(단계12) FIFO(310)로 전송하고 레지스터 카운터(320)는 전송된 데이타를 업 카운팅 한다(단계13).
그리고, FIFO(310)내의 데이타는 FIFO(310)와 연결된 오퍼레이션 블록(330)으로 전송되어 처리되고(단계15) 레지스터 카운터(320)는 처리되는 데이타를 다운 카운팅 한다(단계16).
이때, 상술한 연산 과정에서 오퍼레이션 블록(330)에 정지신호가 발생해 제어부(400)가 이를 검출될 경우(단계14) 제어부(400)는 연산이 수행되지 않은 FIFO(310)내의 데이타를 읽어들여 멀티플렉서(210)에서 부여한 인덱스 코드에 따라(단계17) 각 메모리(110,120,130)중 디지탈 데이타가 판독된 메모리로 데이타를 백업함(단계18)과 동시에 레지스터 카운터(320)와 해당 메모리의 어드레스 카운터는 백업되는 데이타 만큼 다운 카운팅 한다(단계19).
또한,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백업되는 메모리의 해당 어드레스 카운터도 다운 카운팅을 하게 되며, 상기 백업 동작은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이 제로가 될 때까지 수행되어(단계20) 결과적으로 데이타가 처리된 메모리의 어드레스 카운터는 제로가 되지 않게하므로서 다음 오퍼레이션 수행은 어드레스 카운터의 위치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동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메모리(110)에 a, b, c와 같은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고 제 2 메모리(120)에 d, e 그리고 제 3 메모리(130)에 f, g, h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데이타 판독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00)와 연결된 버스투버스 회로(220)에 전송될 때 상기 메모리(110,120,130)에 대응하는 각각의 어드레스 카운터(110A,120A,130A)의 값은 각각 3, 2, 3이 된다.
메모리부(100)와 연결된 버스투버스 회로(220)는 디지탈 데이타와 멀티플렉서(210)에 의해 부여된 인덱스 코드 즉, 제 1 메모리(110)의 데이타에는 인덱스 코드 '01', 제 2 메모리(120)의 데이타에는 인덱스 코드 '10', 그리고 제 3 메모리(130)의 데이타엔 '11'로 부여된 인덱스 코드와 메모리부(100)로부터 전송된 디지탈 자료를 조합하여 버스투버스 회로(220)와 연결된 FIFO(310)로 전송하게 되며 레지스터 카운터(320)는 FIFO(310)내에 입력되는 자료를 카운트한다. 즉,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은 '8'이 된다.
이때, FIFO(310)내에 a, b, d, c, e, g, f, h순으로 입력되어 오퍼레이션 블록(330)에서 FIFO(310)내의 데이타중 'a'를 처리하게 되면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은 '7'이 된다.
한편,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퍼레이션 블록(330)에 정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400)는 이를 검출하여 FIFO(310)내의 다음 데이타 'b'를 상기 멀티플렉서(210)에서 부여된 인덱스 코드 '01'에 의해 'b'가 판독된 제 1 메모리(110)에 기록하고, 레지스터 카운터(320)와 제 1 메모리(110)의 어드레스 카운터(110A)를 감소시켜 제 1 어드레스 카운터(110A)의 값 AC1 = 2,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 R-CNT = 6이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0)는 FIFO(310)내의 데이타 'd'를 인덱스 코드'10'에 의해 그 데이타의 출처인 제 2 메모리(120)에 기록하고 제 2 어드레스 카운터(120A)의 값 AC2와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 R-CNT는 각각 감소하여 '1'과 '5'가 되며 데이타 'c'는 제 1 메모리(110)에 기록하고 제 1 어드레스 카운터(110A)의 값 AC1과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 R-CNT(320)는 '1'과 '4'가 된다.
또한, 'e'는 제 2 메모리(120)에 기록되어 제 2 어드레스 카운터(120A)의 값 AC2와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 R-CNT는 '0'과 '3'이 되며, 'g'는 제 3 메모리(130)에 기록된 후 제 3 어드레스 카운터(120A)의 값 AC3와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 R-CNT는 각각 '2'가 된다. 계속해서, 'f'는 제 3 메모리(130)에 기록된 후 AC3 = 1, R-CNT = 1이 되고, 마지막 데이타인 'h'도 제 3 메모리(130)에 기록된 후 AC3 = 0, R-CNT = 0이 된다.
상기의 결과를 볼 때 어드레스 카운터중 FIFO(310)내에서 데이타가 처리된 AC1(110A)은 제로가 되지 않고 '1'의 값을 갖게 되어 결국 다음 오퍼레이션 수행시 AC1 = 1에서부터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400)는 FIFO(310)내의 데이타를 상기 멀티플렉서(210)에 의해 부여된 인덱스 코드에 따라 원래의 판독된 메모리로 재 전송하는 방법으로 백업을 수행하여 레지스터 카운터(320)의 값이 제로가 됨으로서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메모리내의 비연속적인 디지탈 데이타를 처리함에 있어 오퍼레이션이 정지될 경우 인덱스에 의해 데이타를 판독된 메모리로 백업하므로서 다음 오퍼레이션 수행시 데이타를 다시 처음부터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메모리;
    각각의 상기 메모리에 대한 데이타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메모리에 기록 및 그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메모리내 어드레스 위치를 증감 표시하는 어드레스 카운터;
    각각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에 대하여 연산 동작을 수행하는 연산 수단;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의 근원지를 나타내는 인덱스 신호를 제공하여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인덱싱 수단;
    상기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 저장수단;
    상기 데이타 기록 및 판독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연산 동작의 정지를 검출하여, 상기 일시 저장 수단내의 디지탈 데이타의 인덱스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판독된 메모리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백업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수단은:
    상기 메모리의 갯수에 대응하는 인덱스 신호 입력을 가지며, 선택 신호에 따라 하나의 상기 인덱스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로서, 상기 선택신호는 상기 판독 제어 신호에 대응하며;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인덱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디지탈 데이타에 믹스하여 상기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저장 수단은:
    상기 인덱스된 디지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그 저장 순서대로 출력하는 선입선출 버퍼 메모리;
    상기 선입선출 버퍼 메모리로 및 그로부터 상기 데이타의 입출력에 따라 증감되는 데이타 카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은 상기 데이타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제로가 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판독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백업된 메모리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KR1019960054088A 1996-11-14 1996-11-14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KR10025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88A KR100253730B1 (ko) 1996-11-14 1996-11-14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88A KR100253730B1 (ko) 1996-11-14 1996-11-14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676A true KR19980035676A (ko) 1998-08-05
KR100253730B1 KR100253730B1 (ko) 2000-06-01

Family

ID=1948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088A KR100253730B1 (ko) 1996-11-14 1996-11-14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0548B2 (en) 2001-08-22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0548B2 (en) 2001-08-22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730B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075B1 (en) Circuit for the management of memories in a multiple-user environment with access request and priority
KR19980035676A (ko) 비연속적인 다중 근원 디지탈 데이타의 백업 장치
US6215558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590279A (en) Memory data copying apparatus
JP2000003332A (ja) 双方向バスサイズ変換回路
JP2926859B2 (ja) 並列処理システム
US5115496A (en) Queue device capable of quickly transferring a digital signal unit of a word length different from a single word length
JPH0833869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2949984B2 (ja) メモリ監視回路
JP2973941B2 (ja) 非同期fifoバッファ装置
JPH09274599A (ja) バッファメモリ装置
JPS6148186B2 (ko)
JP2834948B2 (ja) データ転送方式
JP3633450B2 (ja) 信号処理装置
JP3343734B2 (ja) トレースデータ圧縮方法およびトレースデータ圧縮方式
JPH1051469A (ja) Atmスイッチ
JP2531188B2 (ja) バツフアメモリ
JP3050286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H0199138A (ja) 情報履歴記憶装置
JPH043339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S6191751A (ja) デ−タバツフア出力制御方式
JPH04165529A (ja) Fifoメモリ制御回路
JPH08272735A (ja) 情報処理装置
JPH03248256A (ja) システム間データ転送方式
JPH02163820A (ja) データバッフ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