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587A -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587A
KR19980033587A KR1019980015202A KR19980015202A KR19980033587A KR 19980033587 A KR19980033587 A KR 19980033587A KR 1019980015202 A KR1019980015202 A KR 1019980015202A KR 19980015202 A KR19980015202 A KR 19980015202A KR 19980033587 A KR19980033587 A KR 1998003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thylene
good good
weigh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366B1 (ko
Inventor
김연용
Original Assignee
김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용 filed Critical 김연용
Priority to KR101998001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3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32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liquid component
    • C08L2207/322Liquid component is processin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자동차,공장등의 차음,내열,내진성등을 갖는 인슐레이숀쉬이트는 주로 고무류를 사용하며 본발명자의 경우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여 다른 고무성분이 배합되고있으나 가공성, 경제성그리고 다양화되는 자동차나 기타제품의 복잡한 구조에 적응이 용이하지아니하였다.
본 발명은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외에도 헥센, 데센, 부텐을 촉매존재하에 중합 처리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서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천연고무, EVA를 복합적으로 배합하여주므로서 다양한 강도와 내구성, 가공성을 갖는 쉬이트를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제조가능하면서도 특히 경제성이 뛰어나도록하였으며,폴리에틸렌,합성 및 천연고무, EVA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특성을 최대한 가용화 하므로서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차음성, 내열성, 내후성 그리고 점착가공성이 높은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로 제조된 인슐레이숀쉬이트에 폴리우레탄발포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후 폐기되는 재료를 부산물로 배합하여도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도록하였다.따라서 폐기처분되어오던 재료를 전량 재활용할 수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과 실내사이, 공장진동이나 소음발생부와 외부사이 혹은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진동이나 소음전달을 차단하여 주는 동시에 내열,방진등의 기능이 개선된 이슐레이숀쉬이트제조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엔진, 모터기타 각종 구동장치들이 작동하는 곳에서는 고열, 진동, 소음이 발생하며 이들 소음이나 진동은 작업자에게 좋지 않은 불쾌감을 주므로 고무류나 발포수지류를 사용하여 차단처리하고 있다. 이 경우 엔진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 외에도 각종 질소, 황산화물등의 공해산물이나 고열에 의하여 일반적인 고무나 발포수지류는 열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며 심한 경우 부식되거나 파손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이같은 차음, 단열, 내진,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복합적 특성을 갖는 고무류의 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고무류의 복합체가 이용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고91-9863호는 염소화폴리에틸렌과 EVA, 생고무등을 함께 사용하므로서 내열성, 내후성 및 차음성이 개선토록 하였으나 염소화폴리에틸렌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극히 낮으며 고성능이나 고열발생부에서는 원하는 수준의 차음, 단열, 내진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한국특허공고 95-13181호는 본출원인이 개량한 것으로서 고가의 염소화폴리에틸렌대신에 합성고무5∼10중량%, 충전재70∼85중량%, 인열가소보강제5∼10중량%, 가소제1∼1.5중량%, 생고무 1∼1.5중량%, 안정제0.4∼1.0중량%를 배합한 쉬이트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 경우 차음성, 성형가공성등은 많이 개선되었고 경제성은 있으나 고무특유의 냄새는 여전히 잔류하고 있으며 점점 복잡화되는 차량의 바닥구조에 있는 다양한 요철형태에 완벽한 접착이 어려워지면서 부분적인 박리 현상이 있었다.
한국특허출원 96-29591호는 본출원인이 에틸렌과 옥텐의 촉매를 이용한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폴리에틸렌 3.5∼8.0중량%, 충진제 70∼85중량%, 연화제 0.3∼1.5중량%, 착색제 0.5∼3.5중량%, 나프탈계 또는 파라핀계오일로 되는 프로세스유4.5∼6.5중량%, 점착부여제0.7∼4.0중량%를 배합하여 성형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후발포가공시 발포체가 용이하게 접착되면서 내후성, 내열성 그리고 신율이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만 사용되므로 가격이 고가로 되어 고급차종이나 특히 필요한 곳에서만 채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외에도 헥센, 데센, 부텐을 촉매존재하에 중합 처리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서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천연고무, EVA를 복합적으로 배합하여 각각의 특성을 최대한 가용화 하므로서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차음성, 내열성, 내후성 그리고 점착가공성이 높은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폐기되어버리는 인슐레이숀쉬이트에 발포폴리우레탄이 적층되어있는 채 일정량배합하여도 거의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어 폐기되어오던 재료를 재활용가능토록하였다.
본 발명은 에틸렌과 옥텐외에도 부텐, 헥센, 데센과 같은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4.0∼15.0중량%에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에틸렌계수지류2.8∼10중량%,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폴리클로로프렌고무(CR),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고무(NBR), 이소부틸렌-이소프렌고무(IIR), 폴리부타디엔고무(BR), 폴리이소프렌고무(IR)과 같은 디엔계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삼원공중합체(EPDM), 하이프론, 아크론고무(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등과 같은 비디엔계고무로 구성되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2.5∼8.0중량%,
나프텐, 파라핀계과 같은 방향족계 또는 파라핀계 오일과 브로운 아스팔트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유3.5∼10.0중량%,
칼슘, 바륨, 마그네슘, 납과 같은 금속의 스테아린산염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연화제0.2∼0.8중량%,
탄산칼슘, 황산바륨, 중정석(Barytes), 백연화, 규산칼슘, 클레이, 탈크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충진제 68∼87중량%,
카본블랙, 유기안료, 안료와 합성수지가 혼합된 마스터 뱃치형안료, 활성탄중의 어느하나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착색제 0∼2.0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과 옥텐, 부텐, 헥센, 데센의 공중합체는 바나듐과 같은무기담체에 포집된 전자공여체등으로 구성된 촉매류를 이용하여 유동상에서 중합처리한 것으로서 용융지수 0.5∼30dg/분(ASTM D-1238기준), 밀도 0.860∼0.92gm/cc(ASTM D-792기준), 쇼어경도60∼89(ASTM D-2240기준)인 것이 적당하다. 이들 공중합체는 4∼15중량%가 적당하며 4%보다 적으면 원하는 신율, 내약품성, 가공성등이 얻어지지 못하여 15중량%보다 많으면 너무 인성이 강해져 가공시 특수한 기구가 요구되어 경제성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은 직쇄상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에틸렌과 비닐과아세테이크를 공중합시킨 EVA와의 혼합물이다. 이들은 2.8∼10중량%를 배합하며 2.8%보다 적으면 강도가 약해지며, 10%보다 많이 배합되면 강도가 좋아지나 탄성이 적어져 쉽게 파손되며, 인장강도도 약화된다. EVA와 폴리에틸렌의 배합비는 30∼100중량% : 0∼30중량%가 가장 적당하며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일수록 첨가량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고무류는 합성고무 : 천연고무를 0∼45중량% :45∼10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며 폴리에틸렌의 특성이 강할수록 천연고무의 배합을 높이며 탄성이 필요한 제품일수록 천연고무배합비를 높인다. 이들은 2.5중량%보다 적게 배합시 고무로서의 탄성, 수축율이 문제가 있어 가공후 적응성이 크게 떨어지며, 8중량%보다 많이 배합시 탄성은 좋아지나 폴리에틸렌 등의 첨가량이 적어지게 되어 강도가 약화되고 쉽게 열변성 되어버린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유는 주로 믹싱과정에서 타성분들의 혼련이 용이하고 가공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3.5중량%보다 적게 배합하면 가공배합성이 떨어져 충분한 혼련이 되지 못하며, 10중량%보다 많이 배합시 성분간 미끄럼현상이 발생되어 혼련이 잘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차음.내진.내열등의 재질로 사용후 폐기되어오던 폴리우레탄적층된 것을 원료로 재사용하는 것이다. 사용가능한 것은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에 대하여 폴리우레탄발포층이 적층된 폐인슐레이숀쉬이트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를 배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폐인슐레이숀쉬이트는 본발명의 조성비에의하여 제조된 쉬이트를 기재로 제조된 것이다.인슐레이숀쉬이트에 대하여 사용되는 폴리우레탄발포층의 무게는 폐인슐레이숀전체무게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를 적층한 것이다.이같은 조성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의 사용량이 적을수록 성능이 양호하여지나 1.5중량%까지 배합하여도 성능에 있어 문제가 없었으며, 1.5중량%보다 많이 첨가하면 제품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탄성,내구성등에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음재 쉬이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조성물등을 니더(Kneader)기 또는 반부리(Banbubry mixer)에 혼합과 혼련하여 압출기에서 T-다이와 로울러을 통해 쉬이트를 만드는 방식(T-다이방식)
2. 조성물등을 니더(Kneader)기 또는 반부리(Banbubrymixer)에 혼합과 혼연하여 압출 및 압연(Calendering)에서 만드는 방식(Calendering방식)
이상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압출T-다이와 칼렌다기를 이용한 구체적인 쉬이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1
중량을 기준으로 탄산칼슘80%, 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6.7%,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삼원공중합체(EVA) 4.0%, 나프텐유 3%, 칼슘스테아레이트 0.3%, 카본블랙 0.5%를 니더(Kneader)기에 넣고 15내지 20분간 혼련한후 실린더온도를 120도 내지 170도를 유지하는 실린더를 거쳐 T-다이온도 100도 내지 180도로 두께2.0mm의 쉬이트를 제조하였다.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오일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806.743.550.30.5
이하 모든 실시예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2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 부텐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과 천연고무파라핀유바륨 스테아레이트(Ba-St)카본블랙 60와129.51와 41.5와 5.260.30.5
실시예3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와 브로운 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뱃치형 안료 757.54.25.53와 3.50.31.0
실시예4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클레이에틸렌 과 부텐의 공중합채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와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40와 304.51와 76.54.5와 50.5와 0.30.7
실시예 5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규산칼슘에틸렌과 데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과 천연고무나프텐유와 브로운 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45와 314.57.42.5와 2.52.3와 40.30.5
실시예6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73.511.534.560.51
실시예7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CR고무파라핀유와 브로운 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40와 405.532.53와 50.50.5
실시예8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중정석(BARYTES)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나프텐유와 브로운아스팔트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g-St)마스터 뱃치형 안료 40와 309.51와 52.83.2와 6.50.51.5
실시예9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탈크에틸렌과 부텐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파라핀유와 브로운아스팔트바륨 스테아레이트(Ba-St) 55와 15.513.57.53.53와 1.50.5
실시예10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와 파라핀유의 1:1 혼합물칼슘 스테아레이트(Ca-St)활성탄 75.551와 7.53.26.30.51
실시예11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클레이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와 파라핀유의 1:1혼합물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62와 157.51와 3.863.50.21
실시예12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 7511.51.5와 33.44.90.7
실시예13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76.55.537.55.50.51.5
실시예14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 규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과 천연고무파라핀유와 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과 바륨 스테아레이트(Ba-St) 55와 23.59.531.5와 2.53와 1.20.3와 0.5
실시예15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탄산칼슘에틸과 데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와 파라핀유의 1:1혼합물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25와 508.31와 53.56.20.2와 0.30.5
실시예16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탄산칼슘에틸렌 과 옥텐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과 천연고무파라핀유와 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마스터 뱃치형 안료 25와 4549.53과 4.53.7와 40.3와 0.50.5
실시예17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와 백연화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나프텐유칼슘 스테아레이트과 납스테아레이트마스터 뱃치형 안료 60와 11140.5와 336.30.4와 0.31.5
실시예18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와 탈크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공중합체(EVA)CR과 천연고무파라핀유와 브로운아스팔트바륨 스테아레이트(Ca-St)과 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65와 106.56.52.5와3.53.7와 1.50.3와0.20.3
실시예19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브로운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과 납스테아레이트 76.57.50.5와 53.56.20.3와 0.5
실시예20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규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과 천연고무파라핀유과 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25와 455101과 4.54.7와 40.30.5
실시예21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규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SBR과 천연고무파라핀유과 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50와 259.51.5와 2.52.5와 2.53.5와 20.50.5
실시예22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와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과 천연고무나프텐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64와 16541.4와 450.30.3
실시예23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에틸렌과 부텐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천연고무나프텐유과 브로운아스팔트바륨 스테아레이트(B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6815333와 60.51.5
실시예24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활성탄 37와 405.21와 6360.81
실시예25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과 천연고무나프텐유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777.532와 45.50.50.5
실시예26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과 브로운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 76.34.16.43.62.5와 6.30.8
실시예27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파라핀유과 브로운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807.31와 32.53과 2.20.50.5
실시예28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와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활성탄 51와 25.55.10.5와 6.43.16.70.51.2
실시예29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과 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 7556.33.93.1와 6.40.3
실시예30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와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EPDM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30와 4511.6336.50.30.6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본발명의 쉬이트 조성물로 성형된 쉬이트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성형하여 융착처리한 인슐레이숀(Insulation)제품중 일정형태로 가공후 잔류하는 것들이나 폐기처분된 것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쉬이트 조성물로 성형된 쉬이트에 폴리우레판발포체를 적용한 것을 10∼15중량%배합하므로서 버려지는 스크랩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이 10∼15중량% 융착된 인슐레이숀쉬이트를 본 발명의 쉬이트 조성물에 10∼15중량%배합하여도 최종적인 성능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며 이같은 것은 실시예 31내지 실시예 38과 비교실시예4에 의하여 실시시험하였다.
실시예31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에틸렌과 부텐의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g-St)카본블랙 786.06.53.56.00.50.5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0.1
실시예32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와 EVA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활성탄 767.51과 3.54.550.51.0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0.2
실시예33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EVAEPDM파라핀유와 브로운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과 바륨스테아레이트마스터 뱃치형 안료 65와 147.8332.5와30.4와 0.31.0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0.4
실시예34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와 EVA천연고무나프텐유바륨 스테아레이트(Ba-St)카본블랙 75101.5와453.50.50.5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0.5
실시예35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활성탄 40과 3510355.50.51.0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0.7
실시예36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폴리에틸렌(LLDPE)과 EVA천연고무나프텐유와 왁스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50와 2020.50.5와554와30.3와 0.22.0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1.0
실시예37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EVAEPDM파라핀유바륨 스테아레이트(Ba-St)카본블랙 73143.535.50.50.5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1.2
실시예38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황산바륨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EVA천연고무파라핀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30과 3512655.50.51.0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1.5
비교예1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과 찬연고무파라핀유와 아스팔트아연 스테아레이트(Zn-St)카본블랙 673124.5와 4.53.7와 40.80.5
비교예2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과 탈크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채폴리에틸렌(LLDPE)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EPDM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마스터 뱃치형 안료 40와 402.53와 61.54.50.3와 0.51.7
비교예3
품 명 비 율 ( % )
황산바륨과 탄산칼슘에틸렌과 헥센의 공중합체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 공중합체(EVA)천연고무나프텐유과 아스팔트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40와 4932.421와 10.61
비교예 4
품 명 비 율 ( % )
탄산칼슘에틸렌과 부텐의 공중합체EVAHDPE나프텐유칼슘 스테아레이트(Ca-St)카본블랙 9042.5330.20.3
쉬이트 조성물을 가공한 부산물(폴리우레탄 폼) 1.6
시험실시예 1 내지 30 및 비교예 1 내지 3 시험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0 및 비교예 1 내지 3 시험방법 및 규격은 자동차 규격(SPEC)에 의해 시험방법으로 하였슴.
시험방법 : 대우자동차사가 규정한 시험방법 EDS M-6704 EDS T-7604.7641,7602
현대자동차사가 규정한 시험방법 MS 256-31
한국시험규격 KSM 6518 에 의거 시험하였슴.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0 2.0 1.8 2.0 2.0 2.0
비중 - 1.6-3.0 비중계 1.95 2.05 2.1 2.0 2.1 2.1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8 73 69 75 78 81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7 73 68 69 71 70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 0.1 0 0.1 0.1 0.15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3 88 95 92 95 95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2 55 58 53 56 52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4.5 4.0 4.0 4.0 4.5 3.5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1 0.15 0 0.8 0.1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17.5 19 23 19 20 17
세로 15이상 19 20.5 25 21 20 19
신장율 가로 % 100이상 410 430 520 410 365 510
세로 100이상 425 435 550 420 355 535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2 12.5 18.5 13.5 13 13.5
세로 10이상 13 14 21 14 14 16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21 19 23 18 17 18
세로 15이상 23 20 26 19 16 20
신장율 가로 % 70이상 365 330 490 350 295 450
세로 70이상 370 380 515 365 320 46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10 10 11.5 9.5 10 10.5
세로 3.5이상 11.5 11 13 10 12 11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 실시예11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0 1.5 2.2 2.0 2.0 2.0
비중 - 1.6-3.0 비중계 2.0 2.85 2.0 108 1.6 1.85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5 68 78 79 80 77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8 72 75 71 62 73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2 0 0.1 0.1 0.15 0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4 91 89 91 86 88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5 50 60 56 80 52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3.5 4.0 4.5 3.5 3.5 4.0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15 0.1 0.1 0.1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24 18 23 17 11 21
세로 15이상 26 21 24 20 12.5 23
신장율 가로 % 100이상 320 485 540 385 495 350
세로 100이상 340 500 550 420 520 380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8 15 18.5 13 7.5 12
세로 10이상 19 16.5 21 13.5 9.5 13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9 16 21 16 9.5 18
세로 15이상 22 20 22 18 10 20
신장율 가로 % 70이상 295 410 480 310 480 325
세로 70이상 320 450 480 320 495 36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8.5 10 9.5 7.5 6.5 8.5
세로 3.5이상 10 12 10 9 8 10.5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5 2.0 2.0 3.0 2.0 2.0
비중 - 1.6-3.0 비중계 2.3 1.85 2.2 2.0 1.7 2.15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0 75 79 82 70 76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2 73 75 72 6.9 72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 0. 0.1 0 0.1 0.2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1 89 92 95 89 95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49 52 53 50 53 51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4.5 4.0 4.0 3.5 4.5 4.5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2 0 0 0.15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21 17 22.5 25 19 25
세로 15이상 23 19 25 28 20 27
신장율 가로 % 100이상 350 385 520 350 325 380
세로 100이상 365 400 550 365 345 415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4 12 18.5 20 14 21
세로 10이상 16 13.5 20 22.5 16 23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9 16 19 23 13.5 15
세로 15이상 21 18 20 25.5 16 18
신장율 가로 % 70이상 310 320 485 295 310 300
세로 70이상 325 340 490 310 315 31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10.5 8.5 12 15.5 9.5 10
세로 3.5이상 11 11 13 17 11 12.5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18 실시예19 비교예2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2 2.0 2.5 2.0 2.0 3.0
비중 - 1.6-3.0 비중계 2.0 1.8 2.1 2.8 2.15 2.5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7 75 86 72 75 70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3 68 77 72 78 66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1 0.2 0 0.1 0.15 0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1 94 92 90 95 94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2 55 55 52 53 50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4.5 3.5 3.5 4.0 3.5 4.0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2 0.1 0 0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18 17 13 21 22 26
세로 15이상 20 18 14 24 23 28
신장율 가로 % 100이상 350 420 90 450 460 500
세로 100이상 370 450 95 495 480 520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3 13.5 11.5 18 17 19
세로 10이상 14 16 13 20 19 21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8 17 12 21 18 22
세로 15이상 21 18 14 22 21 25
신장율 가로 % 70이상 310 395 65 400 400 480
세로 70이상 315 410 70 410 415 50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905 10.5 7.5 9.5 8.5 11
세로 3.5이상 12 11 9 12 10 13.5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0 1.8 2.0 2.0 2.5 2.0
비중 - 1.6-3.0 비중계 2.05 1.9 2.0 2.05 2.1 1.9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9 76 73 78 75 75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5 75 73 77 75 72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1 0.2 0.1 0.2 0.1 0.15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89 98 92 94 93 95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4 51 56 51 80 52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4.5 3.5 4.0 4.5 4.5 4.0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1 0.2 0.1 0.1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17 17 22 23 22 19
세로 15이상 19 21 24 25 24 21
신장율 가로 % 100이상 595 510 485 385 480 395
세로 100이상 615 500 500 410 510 415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3 14 18 15 18 17
세로 10이상 14 16 20 17.5 19.5 19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5 17 21 19 20 18
세로 15이상 18 20 22 22 22 21
신장율 가로 % 70이상 315 490 460 350 450 355
세로 70이상 350 495 480 370 485 38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12.5 12 10 9.5 9.5 9.5
세로 3.5이상 14 13 11.5 11 12 11.5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29 실시예30 비교예3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0 2.0 2.2 2.0 1.8 2.0
비중 - 1.6-3.0 비중계 1.9 2.0 2.25 1.95 1.97 1.75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8 75 88 76 72 76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2 73 87 76 72 69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1 0 0.1 0 0.1 0.15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0 92 89 92 92 91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2 53 58 53 54 52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4.5 4.0 4.5 4.0 3.5 3.5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15 0 0.2 0.15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18 23 28 19 18 22
세로 15이상 21 26 32 20 21 25
신장율 가로 % 100이상 435 535 70 400 395 420
세로 100이상 450 550 85 405 400 435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7 19 23 18 18.5 19
세로 10이상 19 21 25 19 21 22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7 21 13 19 21 20
세로 15이상 21 23 15 20 20.5 21
신장율 가로 % 70이상 400 495 65 385 385 400
세로 70이상 420 520 75 400 395 41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11.5 13 7 10.5 11.5 12
세로 3.5이상 13 15 8.5 12 12.5 13
시험항목 단위 검사규격 검사구 결과치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실시예37 실시예38 비교예4
두께 mm 1.5-3.5 두께 계측기 2.0 2.0 2.5 2.0 2.0 2.0
비중 - 1.6-3.0 비중계 2.3 2.01 1.85 1.95 2.8 2.4
경도 쇼아A 75±10 경도계 70 75 78 75 68 87
연소잔유율(회수분) % 65-85 도가니로 78 78 72 70 82 87
밴딩시험(φ50sp*180) - 균열없을것 충격시험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안정성(-30℃*24hr) mm 1이하 항온항승기 0.2 0.15 0.2 0.1 0.15 0.15
유기물휘발도 % 80이상 담가시험기 91 91 90 92 93 18
난연성(mm/분) mm 90이하 난영성시험기 51 54 58 51 54 49
저온유연성 - 크랙없을것 항온항습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냄새 - 3급이상 고무노화시험 3.5 4.0 3.5 4.0 3.5 3.5
열안정성(110℃*1hr) mm 1이하 0 0 0.15 0 0.2 0.15
- 크랙없을것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강도 FOAM의 파괴에 의해서만 분리 UTM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UTN 18 21 20 18 22 27
세로 15이상 19 24 22 19 25 29
신장율 가로 % 100이상 500 380 350 380 450 60
세로 100이상 520 390 395 400 470 65
인열강도 가로 kg/㎠ 5이상 16.5 18 15 15 18 23
세로 10이상 19 20 17 17 19 25
내열성 인장강도 가로 kg/㎠ 15이상 노화시험기UTM 16 19 18 18 18 14
세로 15이상 17 20 19 19 20 15
신장율 가로 % 70이상 450 380 385 385 435 50
세로 70이상 470 390 400 400 455 60
인열강도 가로 kg/㎠ 3.5이상 11 12 12 12 14 8
세로 3.5이상 12.5 15 13 13 14 9
방음측정결과
특성 항목 DATA(두께:1.5T) 두께:1.8T 두께:2.0T 두께:2.2T 두께:2.5T
방음 방음도 125HZ : 0.4 125HZ : 0.6 125HZ : 0 125HZ : -0.7 125HZ : -1.5
250HZ : 5.5 250HZ : 3.2 250HZ : 3.5 250HZ : 3.0 250HZ : 1.9
500HZ : 3.5 500HZ : 1.5 500HZ : 1.2 500HZ : 0.8 500HZ : -0.9
1000HZ : 2.9 1000HZ : 2.1 1000HZ : 2.7 1000HZ : 1.5 1000HZ : 0.8
2000HZ : 2.7 2000HZ : 2.8 2000HZ : 1.2 2000HZ : 1.2 2000HZ : 0.5
4000HZ : 3.8 4000HZ : 3.2 4000HZ : 2.8 4000HZ : 2.2 4000HZ : 2.3
방음 방음도 125HZ : -2.4
250HZ : 1.5
500HZ : 0
1000HZ : 0.2
2000HZ : 0.5
4000HZ : 1.5

Claims (5)

  1. 에틸렌과 옥텐,부텐, 헥센, 데센과 같은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4.0∼15.0중량%에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에틸렌계수지류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2.8∼10중량%,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폴리클로로프렌고무(CR),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고무(NBR), 이소부틸렌-이소프렌고무(IIR), 폴리부타디엔고무(BR), 폴리이소프렌고무(IR)과 같은 디엔계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삼원공중합체(EPDM), 하이프론, 아크론고무(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등과 같은 비디엔계고무로 구성되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고무 2.5∼8.0중량%,
    나프텐, 파라핀계과 같은 방향족계 또는 파라핀계 오일과 브로운 아스팔트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유3.5∼10.0중량%,
    칼슘, 바륨, 마그네슘, 납과 같은 금속의 스테아린산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연화제0.2∼0.8중량%,
    탄산칼슘, 황산바륨, 중정석(Barytes), 백연화, 규산칼슘, 클레이, 탈크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충진제 68∼87중량%,
    카본블랙, 유기안료, 안료와 합성수지가 혼합된 마스터 뱃치형안료, 활성탄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착색제 0∼2.0중량%로 구성되는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는 용융지수 0.5∼30dg/분(ASTM D-1238기준), 밀도 0.860∼0.92gm/cc(ASTM D-792기준), 쇼어경도60∼89(ASTM D-2240기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은 직쇄상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에틸렌과 비닐과아세테이트를 공중합시킨 EVA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고무 : 천연고무가 0∼45중량% :45∼10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며 폴리에틸렌의 특성이 강할수록 천연고무의 배합을 높이며 탄성이 필요한 제품일수록 천연고무배합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발포폴리우레탄:인슐레이숀쉬이트가 0.1내지1.5중량%:99.1-98.5중량%로 배합된 폐인슐레이숀쉬이트를 0.1내지 1.5중량%배합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KR1019980015202A 1998-04-28 1998-04-28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KR10031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02A KR100316366B1 (ko) 1998-04-28 1998-04-28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02A KR100316366B1 (ko) 1998-04-28 1998-04-28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587A true KR19980033587A (ko) 1998-07-25
KR100316366B1 KR100316366B1 (ko) 2002-07-27

Family

ID=3753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202A KR100316366B1 (ko) 1998-04-28 1998-04-28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36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15B1 (ko) * 1999-03-10 2001-09-26 임경식 자착성 고무-아스팔트계 방음, 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2231A (ko) * 2002-08-01 2004-02-11 배상식 자동차용 흡음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흡음제
KR20040012230A (ko) * 2002-08-01 2004-02-11 배상식 톱밥이 첨가된 자동차용 흡음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흡음제
KR20040105150A (ko) * 2003-06-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극 내부충전용 발포충전제 조성물
KR100471710B1 (ko) * 2001-11-09 2005-03-07 동아화성(주) 단층 고강성 발포 제진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511B1 (ko) * 2001-09-25 2005-03-31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수용성 방음, 방청 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 물질을도포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0521598B1 (ko) * 2002-07-26 2005-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플로어 제진재용 고무시트
KR100744008B1 (ko) * 2007-02-06 2007-07-30 주식회사 폴리플러스 다 기능성 블랙마스터 뱃치 조성물
KR102212283B1 (ko) * 2020-01-30 2021-02-04 주식회사 피에스원 캡 라이너용 발포 필름의 제조방법
KR20220143997A (ko) * 2021-04-16 2022-10-2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단열성 및 열안정성을 가지는 층간소음 저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0398B9 (en) 2010-11-30 2012-10-24 Armacell Enterprise GmbH Material for flexible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CN108997646A (zh) * 2018-08-06 2018-12-14 李明珠 一种抗菌隔音板材及其制备方法
KR102145732B1 (ko) * 2018-11-15 2020-08-19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
KR102304884B1 (ko) * 2020-02-05 2021-09-27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15B1 (ko) * 1999-03-10 2001-09-26 임경식 자착성 고무-아스팔트계 방음, 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511B1 (ko) * 2001-09-25 2005-03-31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수용성 방음, 방청 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 물질을도포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0471710B1 (ko) * 2001-11-09 2005-03-07 동아화성(주) 단층 고강성 발포 제진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21598B1 (ko) * 2002-07-26 2005-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플로어 제진재용 고무시트
KR20040012231A (ko) * 2002-08-01 2004-02-11 배상식 자동차용 흡음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흡음제
KR20040012230A (ko) * 2002-08-01 2004-02-11 배상식 톱밥이 첨가된 자동차용 흡음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흡음제
KR20040105150A (ko) * 2003-06-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극 내부충전용 발포충전제 조성물
KR100744008B1 (ko) * 2007-02-06 2007-07-30 주식회사 폴리플러스 다 기능성 블랙마스터 뱃치 조성물
KR102212283B1 (ko) * 2020-01-30 2021-02-04 주식회사 피에스원 캡 라이너용 발포 필름의 제조방법
KR20220143997A (ko) * 2021-04-16 2022-10-2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단열성 및 열안정성을 가지는 층간소음 저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366B1 (ko) 200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587A (ko)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US4438228A (en) Filled and plasticized blend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EP1331242A1 (en) Elastomeric intumescent material
CN110997791B (zh) 橡胶组合物、交联橡胶组合物、轮胎和工业用橡胶部件
US20090148712A1 (en) Viscoelastic composition and damper, and related methods
JP2003335902A (ja) 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3312940B2 (ja) 難燃耐摩耗性自動車用電線絶縁組成物及びそれを被覆した自動車用電線
JP3484840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積層体を用いた逐次射出成形自動車内外装部品
US3651176A (en) Method for preparing adhesion-improved ethylene-propylene rubber composition
WO1998010435A1 (fr) Passe-fil
JP5313224B2 (ja) 免震・制振装置
KR100232377B1 (ko) 건축 내장재 및 자동차용 방음재 수지 조성물
KR10019928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JPS5927938A (ja) 自動車用ダストカバ−
JPH099492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積層体を用いた逐次射出成形自動車内外装部品
JP3396277B2 (ja) 遮音用樹脂組成物
KR100208651B1 (ko) 자동차 바닥 매트 제조용 쉬이트 조성물
KR100212909B1 (ko) 차음쉬이트제조용 고무조성물
KR100589510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0045967B1 (en)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mixtures of ethylene interpolymers
JP3499650B2 (ja) 多層積層体
KR100437441B1 (ko) 무독성 불연 고무 조성물
JP3497273B2 (ja) 多層積層体
JPS5925831A (ja) 自動車用フレキシブルブ−ツ
KR101550566B1 (ko) 선박 엔진용 방음시트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