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92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921A
KR19980032921A KR1019970053301A KR19970053301A KR19980032921A KR 19980032921 A KR19980032921 A KR 19980032921A KR 1019970053301 A KR1019970053301 A KR 1019970053301A KR 19970053301 A KR19970053301 A KR 19970053301A KR 19980032921 A KR19980032921 A KR 19980032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unit
indoor
outdoo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052B1 (ko
Inventor
와다게이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711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32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711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16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3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실외유니트에 실내유니트의 운전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실내유니트 운전설정기구(機構)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이다.
이 실내유니트 운전설정기구는 실내유니트의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이나 실내유니트의 주/종(master/slave)설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주/종설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실외유니트의 제어부를 통해서,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 패러미터의 설정, 실내유니트 사이의 주/종설정 등, 제어동작을 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기조화기에서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의 제어장치(Control uni t)내에 제어기판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기판은 CPU(중앙처리장치)나 ROM(판독전용기억장치)등의 부품을 보드(board)위에 배치설치한 것으로서, CPU가 ROM으로부터 여러 가지 제어프로그램을 호출(Call)하여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내의 기기류의 구동을 제어한다.
요즈음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나 사용환경의 상위 등에 대응하여,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들면, 실내온도와 목표온도가 일치하여, 냉방운전(혹은, 난방운전)이 중단(thermo-off)되었을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송풍의 정지를 원하는 일이 있다.
또, 동일한 건물옥내에서도, 오피스와 공작실 등에 있어서는 부유먼지의 양에 차이가 있어서, 에어필터가 막히는 진행속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필터 청소의 싸인을 출력하는 인터벌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이들 운전제어패러미터는, 실내유니트의 제어장치내의 불휘발성 기억장치(EEPROM)등에 기억되어 있으며, 그 변경은 실내유니트에 부설되어 있는 리모트컨트롤러(이하, 리모컨이라고 약칭함)를 통해서 행하여진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변경할 때, 실내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방으로 작업자가 가서, 각각의 실내유니트의 리모컨을 조작하게된다.
그런데, 오피스빌딩이나 대형점포 등에서는, 수십대의 실내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전체 실내유니트의 운전패러미터를 변경하는데는 각 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비롯하여 많은 작업공수가 필요하게 된다.
또, 집중컨트롤러 등에 의해서 제어되는 무리모컨형의 실내유니트에 있어서는 리모컨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비리모컨을 들고가서 실내유니트에 접속시킨 다음,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실내유니트는 기종(형식이나 용량)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므로 설정 실내온도에 대한 열교환기의 목표온도나, 요구풍량에 대한 송풍팬의 구동회전수, 보조기계류(가습기나 히터 등)의 구동타이밍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기종에 대응한 운전제어패러미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한 제어기판이 다수의 기종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편의상, ROM내에는 각 기종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가 수용되어 장착된 기종에 따라서 적절히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요즘,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는 공기조화의 요구다양화에 따라, 천정매립형이나, 마루장치형 등, 20개정도의 형식이 있다.
또, 동일한 형식에 있어서도 공조공간의 용적에 따라서, 용량이 10단계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업무용공조기 등에서는 실내유니트의 기종이 백수십 내지 수백기종에 이르러, 전체 실내유니트에 동일한 제어기반(Controlling board)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1기종분밖에 사용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제어기판내의 ROM에 기억되는 운전제어 패러미터의 량은 막대한 것이 된다.
따라서, ROM에는 대용량의 것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실내유니트 전체의 제조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그래서, 기종마다 또는 실내유니트의 형식마다, 전용의 제어기반(Controlli ng board)을 설정하는 것도 고려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제어기판의 종류가 쓸데없이 증가하고 생산관리나 재고관리 등이 번잡하게 됨과 동시에, 다품종 소량생산이 되기때문에 실내유니트의 제조코스트가 역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대형 오피스빌딩 등에는 한 대의 실외유니트에 여러대의 실내유니트를 접속한, 소위 멀티형 공조기가 설치되는 일이 많게 되어 있다.
멀티형 공조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내유니트가 리모컨 등으로 독립해서 제어되는 것도 있으나, 동일한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유니트군(群)은 그룹으로 제어되는 것이 많다.
실내유니트를 그룹화하는 경우, 그룹내의 한대의 실내유니트를 주(master)유니트로 하고 나머지의 실내유니트를 종(slave)유니트로 할 필요가 있다.
실내유니트 그룹의 주 유니트는 리모컨이나 실외유니트 등과 통신을 하는 한편, 종 유니트에 대하여 운전설정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서 실내유니트그룹 전체가 동일한 운전설정으로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실내유니트는 동일한 제품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그 제어장치안에 마스터/슬레이브 전환스위치를 설치하며, 이 전환스위치를 설치작업자들이 전환하는 것으로서, 각 실내유니트가 주 유니트 또는 종 유니트로 설정된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종의 설정을 설치작업자가 실시하는데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설치작업자가 전환스위치를 잘못전환시키는 경우, 하나의 실내유니트그룹에 복수의 주 유니트가 설정되거나, 혹은 전체가 종 유니트로 설정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실내유니트 사이에 제어지령의 교착이 생기거나, 그룹제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신속히 그 착오설정을 교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실내유니트가 천정매립형이나, 덕트내장형 등일 경우, 설치 후에는 실내유니트로의 접근이 매우 어렵고, 재설정작업을 하는데는 다대한 공수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워진 것으로서,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작업을 용이하고 단시간안에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실외유니트측의 제어기반(Controlling board)에 수용되어 있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실내유니트측으로 전송(轉送)하여 실내유니트용 제어기반의 공통화를 기하면서 그 제조코스트를 저감시킨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외유니트가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종설정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의 개략구성도.
도2는 실내측 ECU(컨트롤유니트)와 실외측 ECU(컨트롤유니트)에 있어서의 신 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실외유니트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4는 실외유니트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의 패러미터
기억제어 서브루틴(parameter write control subroutine)의 순서를 나 타낸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의 통신계통을 나타 내는 개념도.
도7은 실내측ECU(41)내에 있어서의 통신회로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8은 주/종(主·從)설정 서부루틴의 순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9의 A는 실외유니트에서 실내유니트로 출력되는 확인지령(Command)의 한 예.
도9의 B는 실내유니트에서 실내유니트로 출력되는 변환확인지령(Command)의
한 예.
도9의 C는 실내유니트에서 실내유니트로 출력되는 응답지령의 한 예.
도9의 D는 실내유니트에서 실내유니트로 출력되는 응답지령의 한 예.
도9의 E는 실냉유니트에서 실외유니트로 출력되는 변환응답지령의 한 예.
도9의 F는 실내유니트에서 실외유니트로 출력되는 변환응답지령의 한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a 복수대의 실내유니트(복수대의 대표번호로 함)
3 실외유니트
5 실내열교환기
7 전동팬(실내유니트의)
9 전동팽창밸브
11 전기히터
13 압축기
15 사방밸브(四方밸브)
17 실외열교환기
19 전동팬(실외유니트의)
21 축압기
23 리시버탱크
25 가스엔진
27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
41 실내측 컨트롤유니트(실내측 ECU)
43 CPU (Central Processing unit)(실내측)
45,47 입출력인터페이스(interface)(실내측)
49 ROM(판독전용 기억장치)(실내측)
51 RAM(random access memory)
53 EEPROM(불휘발성 기억장치 : nonvolatile storage)
61 실온센서
63,65 냉매온도센서
71 실외측 컨트롤유니트(실외측ECU)
73 CPU (실외측)
75,77 입출력 인터페이스(실외측)
79 ROM(실외측)
81 RAM(실외측)
83 압력센서
85 외기온도센서
91 디스플레이(display)
93 컨트롤 패널
94 패러미터변경스위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에 실내유니트의 운전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실내유니트운전 설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기본구조로 한다.
이와같은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작업자가 실외유니트측의 컨트롤러에서 유니트번호나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치, 나아가서는 실내유니트 사이의 주/종설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각 방으로 가야 할 필요없이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안에 설치되며, 이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수단과, 상기 실외유니트에 설치되며, 상기한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개별적으로 각 실내유니트에 실시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예를들어 작업자가 실외유니트측의 컨트롤러에서 유니트번호나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치를 입력하므로서, 각 방으로 가야 할 필요없이 각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 내에 설치되며, 이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수단과 상기 실외유니트에 설치되며,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전체 실내유니트에 대하여 실시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실외유니트측의 컨트롤러에서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치를 입력하므로서 각 방으로 가야 할 필요없이 전체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일괄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의 그룹으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내에 설치되며, 이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수단과, 상기 실외유니트에 설치되며,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실내유니트의 각 그룹에 실시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예를들어 작업자가 실외유니트측의 컨트롤러에서 그룹번호나,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치를 입력하므로서 각 방으로 가야 할 필요없이, 각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각 그룹마다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종이 틀린 실내유니트에 접속이 가능한 실외유니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이, 상기 실내유니트의 각 기종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접속된 실내유니트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기종을 판정하는 기종판정수단과, 이 기종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기종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의 기억수단에서 선택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선택수단과, 선택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의 실내유니트에 출력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서는, 예를들어 실외 유니트측의 기억수단에 실내유니트의 각 기종에 대응하는 다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시켜 놓고, 기종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접속된 실내유니트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운전제어패러미터 선택수단이 선택하여, 이를 운전제어패러미터 출력수단이 그 실내유니트에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종이 틀린 실내유니트에 접속이 가능한 실외유니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이, 상기 실내유니트의 각기종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접속된 실내유니트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기종을 판정하는 기종판정수단과, 이 기종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기종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선택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선택수단과, 선택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의 실내유니트에 출력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이 접속된 실외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기억정보전달이 가능한(write enable)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전달가능 기억수단에 기억된 운전제어패러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실외유니트측의 기억수단에 실내유니트의 각 기종에 대응하는 다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시켜 놓고, 기종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접속된 실내유니트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운전제어패러미터 선택수단이 선택하여, 이를 운전제어패러미터 출력수단이 그 실내유니트에 출력한다.
그리고, 실내유니트측에서는 입력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전달이 가능한(write)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이에 의해서 각 기기의 운전제어를 실시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유니트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내에, 상기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mast er unit)를 설정하는 주/종설정수단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이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실외유니트가 각 실내유니트와 통신을 하여, 그 통신결과에 따라서 각 실내유니트의 주/종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서, 설치작업자에 의한 주/종(마스터/슬레이브)전환스위치의 조작등이 필요없게 됨과 동시에, 착오설정으로 인한 제어지령의 교착 등이 완전히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유니트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 내에 상기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를 설정하는 주/종설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주/종설정수단은 소정의 실내유니트를 통해서 소정의 실내유니트에 리모컨통신회로에 의해서 접속된 실내유니트에 확인지령을 출력하고, 이 확인지령에 대한 응답지령에 응하여 소정의 실내유니트의 주/종설정을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유니트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 내에 상기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를 설정하는 주/종설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주/종 설정수단은 소정의 실내유니트를 통해서 소정의 실내유니트에 리모컨 통신회로에 의해서 접속된 실내유니트에 확인지령을 출력하고, 이 확인지령에 대한 응답지령의 유·무에 따라서, 소정의 실내유니트가 그룹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 상기 소정의 실내유니트가 그룹화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응답지령을 출력한 실내유니트의 설정데이터가 주 유니트로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실내유니트를 주 유니트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복수대의 실내유니트(1a, 1b.. 이하, 1a로 대표함)와 한 대의 실외유니트(3)으로 구성되는 가스히팅펌프형 공기조화기의 개략구성도이며, 이 도면중에는 실선으로 냉매회로를 나타내며, 일점사슬금으로 전기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실내유니트(1a)측에는 실내열교환기(5), 전동팬(7), 전동팽창밸브(9), 전기히터(11)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외유니트(3)측에는, 압축기(13), 전자식 사방밸브(15), 실외열교환기(17), 전동팬(19), 축압기(21), 리시버탱크(23)등이 설치되어 있다.
냉매회로를 구성하는 기기는 가스냉매 혹은 액체냉매의 유통에 제공되는 냉매배관(31∼3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25는 가스엔진이며, 플렉시블 커플링(27)을 통해서 압축기(13)을 구동한다.
실내유니트(1a)내에는, 실내측 컨트롤유니트(이하, 실내측ECU로 표기함)(41)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측 ECU(4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중앙처리장치)(43)을 비롯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45),(47)이나 ROM(49), RAM(51), EEPROM(5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OM(49)에는 각종 운전제어프로그램 등이 기억되고, EEPROM(53)에는 조립라인에 설치된 롬라이터 (rom lighter)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 운전제어패러미터(예를들면, 실내유니트 1a의 기종(즉, 형식 및 용량)에 대응하는 코드인 실내기코드(1i 등)가 기록되어 있다.
실내측ECU(41)의 입력인터페이스(45)에는, 실내온도 Tr을 검출하는 실온센서(61)이나, 실내열교환기 (5)의 냉방운전시에 있어서의 입구측 및 출구측냉매온도 Tfi, Tfo를 검출하는 제1, 제2 냉매온도센서 (63),(65), 리모컨(67a)(입력계통)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 실내측 ECU(41)의 출력인터페이스(47)에는, 전동팬(7)이나, 전동팽창밸브(9), 전기히터(11), 리모컨(67a)(표시계통)등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실외유니트(3)내에는, 실외측 컨트롤유니트(이하, 실외측 ECU라고함)(71)이 설치되어 있다.
실외측 ECU(71)은 실내측 ECU(41)과 마찬가지로, CPU(73)을 비롯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75),(77)이나 ROM(79), RAM(8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외측 ECU(71)의 입력인터페이스(75)에는 압축기(13)의 토출측 냉매압력 Pd를 검출하는 압력센서(83), 외부기온 Ta를 검출하는 외기온도센서(85), 디스플레이(91)을 구비한 컨트롤패널(93)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 실외측ECU(71)의 출력인터페이스(77)에는, 사방밸브(15), 전동팬(19), 가스엔진(25), 컨트롤패널(93)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실내측 ECU(41)과 실외측 ECU(71)은 입·출력 인터페이스(45),( 47),(75),(77)을 통해서 시리얼(serial)통신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다음에, 냉방운전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냉매배관(39)에서 압축기(13)으로 흡인된 가스냉매는 단열압축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되어 압축기(13)에서 토출되고, 냉매배관(31), 사방밸브(15), 냉매배관(32)를 경유하여 실외열교환기(17)로 유입한다.
고온고압으로 된 가스냉매는, 실외열교환기(17)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외부공기로 냉각되고, 응축함에 따라서 액체냉매가 된 후, 냉매배관(33), 리시버탱크(23), 냉매배관(34)를 경유하여 전동팽창밸브(9)로 유입한다.
액체냉매는 전동팽창밸브(9)에서 유량이 조정된 다음, 냉매배관(35)를 경유하여 실내열교환기(5)로 유입한다.
액체냉매는 실내열교환기(5)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기화하여 가스냉매가 되며, 기화잠열에 의해 전동팬(7)이 송풍한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에, 실내측 ECU(41)은 설정온도 Ts와 실온 Tr의 편차에 의거하여 전동팬(7)의 회전수(rpm)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열교환기(5)의 입구측 냉매온도 Tgi와 출구측 냉매온도 Tgo와의 편차가 소정치(예를들면, 0∼1℃)가 되도록 전동팽창밸브(9)의 밸브개방량(밸브체구동용 스텝모터의 스텝수)를 제어한다.
실내 열교환기(5)내에서 기화한 가스냉매는 냉매배관(36), 사방밸브(15), 냉매배관(37)을 경유하여 축압기(21)로 유입하고, 냉매매관(39)에서 재차 압축기(13)으로 흡입된다.
이제, 실내유니트(1a)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변경시키는 경우,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작업자가 실외유니트(3)의 컨트롤패널(93)에서 입력을 개시한다.
즉, 작업자는, 도3애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91)의 7세그멘트 표시를 보면서, 패러미터 변경스위치(94), 호출단추(95), 제1 및 제2설정 단추(97),(99)를 소정의 순서대로 조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패널(93)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조작하는 스위치류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패러미터 변경스위치(94)를 설정위치에 맞추면, 실내 유니트(1a)의 호기(號機)(유니트 번호 Nu)와 운전패러미터의 종류(패러미터번호 Np)가 디스플레이(91)에 각각 두자릿수로 표시된다.
또한, 호출단추(95)가 눌려있지 않은 디펄트 상태에서는 유니트번호 Nu 와 패러미터번호 Np로서, 전체실내유니트를 나타내는 「AU」와 첫 번째의 패러미터를 나타내는 「01」이 디스플레이(91)에 표시된다.
도3에 있어서, 패러미터번호 Np에 이어지는 세자릿수는 현재의 (공장출하 때, 혹은 전번에 갱신된) 설정치 Ns이다.
디펄트 상태에서, 작업자가 호출단추(95)를 되풀이하여 누르면, 디스플레이(91)위의 패러미터번호 Np의 표시가 차례로 (02 → 03 → 04 ...)올라간다.
전체 운전제어 패러미터에 대응하는 패러미터번호 Np의 표시가 끝나고, 다시 호출단추(95)가 눌려지면, 디스플레이(91)위의 유니트번호 Nu의 표시가 1호기를 나타내는 「 01 」로 이행하고, 패러미터번호 Np가 첫 번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나타내는 「 01 」로 된다.
이 상태에서, 호출단추(95)를 계속 눌러주어 1호기의 모든 패러미터번호Np의 표시가 종료하게 되면, 유니트번호 Nu의 표시가 2호기를 나타내는 「02」로 이행한다.
이하, 동일한 순서로서, 작업자는 임의의 유니트번호 Nu와 패러미터번호 Np를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도4에서는, 디스플레이(91)위에 12호기의 7번째의 운전제어패러미터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유니트번호 Nu와 패러미터번호 Np의 지정을 끝내면, 작업자는 제1설정 단추(97) 혹은 제2설정 단추 (99)를 눌러서 설정치 Ns를 소망하는 값으로 변경한다.
예를들면, 7번째의 운전제어 패러미터를 필터청소싸인의 출력인터벌로 하면, 그 설정치는 제1설정 단추(97)을 누를 때마다 100시간씩 길어진다.
그리고, 제2설정단추(99)를 누를때마다 100시간씩 짧아진다.
또, 이 경우에, 설정치 Ns는 100시간 단위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4의 디펄트상태에서는 공기조화기가 1500시간 운전될 때마다 필터청소싸인이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운전제어 패러미터의 설정을 끝내면, 작업자는 패러미터 변경스위치(94)를 송신위치에 맞춘다.
그러면, 실외측ECU(71)의 CPU(73)에서 실내측 ECU(41)의 CPU(43)에 변경된 운전제어패러미터가 송신되고, 그런다음 CPU(43)이 EEPROM(53)내의 테이터를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공기조화기는 갱신 후의 운전제어패러미터에 의거하여 최적의 상태로 운전제어된다.
한편, 어떤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전체 실내유니트에서 동일한 값으로 변경하는 경우는, 작업자는 유니트번호 Nu를 「AU」로 해 놓고 설정을 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각 실내유니트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을 극히 단시간안에 끝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실내유니트가 설치된 많은 방을 일일이 찾아가지 않고, 실외유니트의 컨트롤페널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각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용이하고 단시간에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리모컨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실내유니트에 대하여도,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번경을 마찬가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리모컨이나 그 접속도 필요없게 되었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구체적 설명을 끝내는 바,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가스히팅폄프형 공기조화기에 적용한 것이지만, 전동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해도 좋고, 실외유니트를 복수로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 단일호출단추에 의해서 유니트번호와 패러미터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였으나, 각각 독립된 호출단추로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문자 등으로 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을 개별적으로 실내유니트마다, 혹은 전체 실내유니트에 대하여 하도록 하였으나, 실내유니트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이둘 그룹마다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구체적인 장치구성이나 그 조작 순서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번위내에서 적의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실외측ECU 및 실내측 ECU의 기본구조는 ROM(79)에, 상기한 각종 운전제어프로그램 등과 함께, 접속이 가능한 실내유니트에 대응하는 수백십종의 운전제어패러미터 Pdc 가 다시 기억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제1의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도 1 몇 도 2참조), 또, 냉방운전시의 냉매의 흐름도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들 동일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유니트(1a)와 실외유니트(3)이 접속된 후, 실내유니트(1a)에 전원이 투입되면, 실내측ECU(41)에서는 도 5에 나타낸 패러미터기억제어 서브루틴이 소정의 인터벌(예 : 5초)로 반복실행된다.
이 서브루틴(subroutine)을 개시하면, 실내유니트(1a)측에서는, 실내측ECU(4 1)의 CPU(43)이 먼저 스텝S1에서 EEPROM(53)로부터 실내기코드 C1i을 판독한 다음, 스텝 S3에서 실내기 코드C1i을 실외측ECU(71)의 CPU(73)에 축력한다.
그리고, 실외 유니트(3)측에서는 실외측 ECU(71)의 CPU(73)이 실내기코드 C1i을 출력한 실내유니트(1a)을 인식하는 한편으로, ROM(79)내에서 실내기코드C1i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Pdci를 검색하고, 실내유니트(1a)의 CPU(43)에 운전제어페러미터 Pdci를 출력한다.
실내측 ECU(41)의 CPU(43)은 스텝 S5에서 실외측 ECU(71)의 CPU(73)으로부터 운전제어패로미터 Pdci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일 동안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가 CPU(73)으로의 실내기 코드 C1i 의 출력을 반복한다.
그리고, 실외측ECU(71)로부터 운전제어패러미터 Pdci가 출력되고, 스텝 S5의 판정이 YES로 되면, CPU(43)은 스텝S7에서 운전제어패러미터 Pdci를 RAM(51)에 기억시키고,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이에 의해서, 주전원이 절단되기까지, 실내측 ECU(41)은 이 운전제어패러미터 Pdci에 의거하여 실내유니트(1a)의 운전제어를 실행한다.
즉, 실내측ECU(41)은 실내유니트(1a)의 형식이나 용량외에, 양 유니트(1), (3)의 각 센서류 (실온센서 (61)이나 제1,제2 냉매온도센서 (63), (65), 압력센서(83), 외기온도센서(85)등)의 검출정보에 따라서, 각기기류 (전동팬(7)이나 전동팽창밸브(9), 전기히터(11)등)의 구동제어를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서는, 다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실외유니트측의 ECU에 기억시켜, 이를 각 실내유니트측의 ECU에 출력하여 그 RAM에 기억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서, 실내유니트측의 ECU(제어기반)를 공통으로 하면서, ROM의 소 용량화를 꾀할 수가 있게 되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등이 실현되었다.
이상으로 본 제2실시예의 구체적설명을 끝내는 바,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가스히팅펌프형 공기조화기에 적용한것이지만, 전동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해도 좋고, 실외유니트를 복수로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유니트측의 ECU에 있어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RAM에 기억시키도록 하였으나, EEPROM등 불휘발성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구체적인 장치구성이나 제어순서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적의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은 가스히팅펌프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계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사용되는 공조기의 기본구조는 상기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며, 또, 냉방운전시의 냉매의 흐름도 제1 및 제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본 실시형태의 공조기는 한 대의 실외유니트(3)과 다수대의 실내유니트(1a)∼(1d)....(실내유니트 1a∼1d로 대표표기 한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중에는 3대의 실내유니트(1a)∼(1c)가 그룹을 형성하고, 한 대의 실내유니트(1d)가 독립기로 되어 있다. 실외유니트(3)과 각 실내유니트(1a)∼(1d)란, 실내, 외통신 버스라인(bus line)(2)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고, 시리얼(serial)통신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는다.
또, 실내유니트그룹을 형성하는 실내유니트(1a)∼(1c)는 리모컨통신용 버스라인(母線)(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곳에서도 시리얼통신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는다. 또, 각 실내유니트(1a)∼(1d)에는 각각 리모컨(67)이 부설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운전/정지나 온도조절등 운전지령의 입9력을 하도록 되어 있다.
각 실내유니트(1a)∼(1d)의 실내측 ECU(41)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외통신회로(51)과, 리모컨통신회로(53)과, 지령처리부(55)와, 설정데이터기억부(EEPROM)(57)이 내장되어 있다.
실내외통신회로(51)은 실외측ECU(71) 및 다른 실내외통신회로(51)과의 통신에 제공되며, 리모컨통신회로(53)은 리모컨(67a,b) 및 다른 리모컨통신회로(53)과의 통신에 제공된다.
또, 지령처리부(55)는 실내외통신회로(51)이나 리모컨통신회로(53)에서 입력된 지령을 처리함과 동시에, 설정데이터기억부(57)과의 사이에서 설정데이터의 정보를 기억하거나 기억을 전달하는 (read in)이나(write)를 실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실외유니트를 통한 실내유니트사이의 주/종설정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설치가 완료되고, 각 실내유니트(1a)∼(1d) 및 실외유니트(3)에 주전원이 투입되면, 실외측ECU(71)은 소정의 인터벌로 도 8에 나타낸 주/종설정서브루틴을 반복 실행한다.
이 서브루틴을 개시하면, 실외측 ECU(71)은, 스텝 S1에서, 어드레스 N의 실내유니트에 대하여, 도 9의 A에 나타낸 확인지령 CB를 출력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N의 초기치는 1이며, 각 실내유니트(1a∼1d)에 대하여 미리 설정이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내유니트(1a∼1d)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1∼4로 한다.
또, 확인지령 CB나 다음에 설명할 응답지령 CR에 있어서, 1항목은 그 지령을 송신한 기기를 나타내며, 2항목은 지령의 수신처가 되는 기기를 나타내며, 3항목은, 중계의 유·무를 나타내며, 4항목은 중계가 있는 경우에는 수신처가 되는 기기를 나타내는 한편, 중계가 없는 경우에는 발신원의 기기를 나타낸다.
5항목은 확인내용이나 설정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주전원을 투입한 직후의 확인지령CB는 어드레스 1의 실내유니트, 즉, 실내유니트(1a)의 실내측 ECU(41)로 출력된다.
이때의 확인지령 C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유니트(3)에서 실내유니트(1a)를 중계하여 전체 실내유니트에 수신되어, 설정데이터의 확인을 하도록 한다.
실내측ECU(41)에서는, 지령처리부(55)가, 실내외통신회로(51)로부터 입력된 확인지령CB를 해석(analysis)하고, 이 확인지령 CB가 중계있음이기 때문에 도 9의 B에 나타낸 변환확인지령 CB′로 변환한 다음, 리모컨통신회로(53)으로부터 리모컨통신용버스라인(4)를 통해서 실내유니트(1b),(1c)의 실내측 ECU(41)에 송신한다.
변환확인지령 CB′는 실외유니트(3)을 발신원으로하여, 실내유니트(1a)로부터 중계없이 리모컨통신용 버스라인(4)로 접속한 전체실내유니트에 송신되어, 설정데이터의 확인을 하도록 한다.
실내유니트(1b),(1c)의 실내측 ECU(41)에서는 실내외통신회로(51)로부터 입력한 변환확인지령 CB′를 해석(analysis)하고, 도 9의 C, 도 9의 D에 나타내는 응답지령 CR을 실내유니트(1a)의 실내측 ECU(41)에 출력한다.
이때의 응답지령 CR은 실내유니트(1b),(1c)로부터 실내유니트(1a)를 중계하여 실외유니트(3)에 송신되어, 주전원투입직후에 있어서, 설정데이터가 미정(未定)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응답한다.
그리고, 실내유니트(1a)의 실내측 ECU(41)은, 이 응답지령 CR을 해석하고, 도 9의 E, 도 9의 F에 나타낸 변환응답지령 CR′로 변환한 후, 실외유니트(3)의 실외측 ECU(71)로 송신한다.
이때의 변환응답지령 CR′는 실내유니트(1b),(1c)를 발신원으로하여, 실내유니트(1a)로부터 중계없이 실외유니트(3)으로 송신되어, 실내유니트(1b),(1c)의 설정데이터가 미정인 것을 응답한다.
실외측 ECU(71)은 스텝 Sl에서 어드레스 1의 실내유니트(실내유니트 1a)에 대하여 확인지령 CB를 출력한 후, 스텝 S3에서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두 개의 변환응답지령 CR′가 있었기 때문에, 스텝 S3의 판정이 YES로 되고, 스텝 S5에서 주 유니트가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지만, 실내유니트(1b),(1c)로부터의 변환응답지령 CR′에서는 설정데이터가 함께 미정이며, 스텝 S5의 판정이 NO로 되기 때문에, 스텝 S7에서 실내유니트(1a)를 주 유니트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실외유니트(3)은 스텝 S9에서, 실내유니트(1a)로 그 설정결과를 출력하여, 설정데이터기억부(57)에 설정데이터(주 유니트)를 기억시킨 다음, 스텝 S11에서 어드레스 N을 인크리멘트(increment)한다.
실내유니트(1a)의 설정을 끝내면, 실외측 ECU(71)은, 그다음 어드레스 2의 실내유니트, 즉, 실내유니트(1b)에 대하여 확인지령 CB를 출력한다.
이 경우, 실내유니트(1b)를 중계하여 실내유니트(1a),(1c)로부터 응답지령 CR(변환응답지령 CR′)이 입력되기 때문에, 스텝 S3의 판정이 YES로되고, 실외유니트(3)은, 스텝 S5에서 주 유니트가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실내유니트(1a)의 설정데이터가 주(master)유니트이고, 스텝 S5의 판정이 YES로 되기 때문에, 실외유니트(3)은 스텝 S13에서 실내유니트(1b)를 종(slave)유니트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실외유니트(3)은, 스텝 S9에서 실내유니트(1b)에 그 설정결과를 출력하여, 설정데이터 기억부(57)에 설정데이터(종 유니트)를 기억시킨 다음, 스텝S11에서 어드레스 N을 인크리멘트 한다.
실외유니트(3)은, 실내유니트(1c)에 대해서도, 주/종설정을 하고, 동일한 순서로 실내유니트(1a)를 종 유니트로 설정한 다음, 실내유니트(1a)에 대한 주/종설정을 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실내유니트(1a)가 독립기이기 때문에, 실내유니트(1d)에 확인지령 CB가 출력해도, 실외유니트(3)에는 응답지령 CR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S3의 판정이 NO가 되고, 실외유니트(3)은 스텝 S15에서 실내유니트(1d)를 개별유니트라고 판정하여, 스텝 S9에서 실내유니트(1d)에 그 설정결과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조기를 설치한 후에, 주 전원을 투입하게 되면, 실외유니트(3)에 의해 실내의 주/종 판정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설치작업자에 의한 마스터/슬레이브 전환 스위치의 조작이 불필요함과 동시에, 착오설정으로 인한 제어지령의 교착등이 완전히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는 바,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가스히팅펌프형 공기조화기에 적용한 것이지만, 전동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해도 좋고, 실외유니트를 복수대로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구체적인 장치구성이나 그 조작 순서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의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조기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의 제어수단내에 설치되고, 그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수단과, 상기 실외유니트에 설치되고 실내유니트에 대한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에 제공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실내유니트의 운전제어패러미터의 변경작업이 용이하고 단시간안에 달성될 수 있게 되어, 보수작업에 요하는 작업인력이나, 보스비용을 감소시킬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공조기에 의하면, 다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실외유니트측의 ECU에 기억시켜, 이를 각 실내유니트측의 ECU에 축력하여 그 RAM에 기억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실내 유니트측의 ECU(Coutrol board)를 공통으로 하면서, ROM의 소 용량화를 꾀할 수 있게 되어 제조코스트의 저감 등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기에 의하면, 실외유니트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됨과 공시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 유니트 그룹을 포함한 복수의 실내 유니트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내에, 상기 실내유니트 그룹에 있어서의 주(master)유니트를 설정하는 주/종 설정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설치작업자에 의한 실내유니트의 마스터/슬레이브 전환스위치의 조작등이 불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착오설정으로 기인하는 제어지령의 교착등이 완전히 방지된다.

Claims (10)

  1. 실외유니트(3)와, 이 실외유니트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유니트(1a)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유니트(3)에는, 실내유니트(1a)의 운전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1a)의 각각의 구동제어수단에, 상기 실내 유니트(1a)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수단(53)이 설치되며, 상기 실외유니트(3)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에는, 상기의 실내유니트(1a)의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을 변경시키는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은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전체 실내유니트(1a ....)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각 실내유니트마다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은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전체 실내유니트(1a...)에 대하여 일괄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패러미터 변경수단은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의 변경을 실내유니트(1a...)의 각 그룹마다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복수의 실내유니트(1a)는 기종이 틀린 실내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외유니트(3)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은 실외유니트(3)의 구동제어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유니트(1a)의 각 기종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한 가억수단과, 실내유니트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그 실내유니트의 기종을 판정하는 기종판정수단과, 이 기종판정 수단의 판정결과에 의하여, 이 실내유니트의 기종에 대응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선택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선택수단과, 선택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상기 실내유니트(1a)에 출력하는 운전제어패러미터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1a)의 구동제어수단이 실외유니트(3)로부터 입력된 운전제어패러미터를 기억하는 기억전달이 가능한(write)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전달가능 기억수단에 기억된 운전제어패러미터에 의하여 상기 실내 유니트(1a)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운전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에서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실내유니트(1a)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유니트 그룹을 포함한 복수의 실내유니트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유니트(3)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은 상기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를 설정하는 주 유니트설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3)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은 그 실외유니트의 구동제어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에는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를 설정하는 주/종설정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종 설정수단은 소정의 실내유니트를 통해서 그 소정의 실내유니트에 리모컨통신회로에 의해서 접속된 실내유니트(1a)에 확인지령을 출력하고, 이 확인지령에 대한 응답지령에 따라서, 소정의 실내유니트의 주/종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니트(3)의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은 그 실외유니트(3)의 구동제어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 운전설정수단에는 상기 실내유니트그룹에 있어서의 주 유니트를 설정하는 주/종설정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종설정수단은, 소정의 실내유니트에 리모컨 통신회로에 의해서 접속된 실내유니트(1a)에 확인지령을 출력하고, 이 확인지령에 대한 응답지령의 유·무에 따라서 소정의 실내유니트가 그룹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후, 그 소정의 실내유니트가 그룹화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응답지령을 출력한 실내유니트의 설정데이터가 주 유니트로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그 소정의 실내유니트를 주 유니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70053301A 1996-10-18 1997-10-17 공기조화기 KR10053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7115 1996-10-18
JP29711796A JP3813266B2 (ja) 1996-10-18 1996-10-18 空気調和機
JP96-297113 1996-10-18
JP29711396A JP3802164B2 (ja) 1996-10-18 1996-10-18 空気調和機
JP96-297117 199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21A true KR19980032921A (ko) 1998-07-25
KR100538052B1 KR100538052B1 (ko) 2006-03-22

Family

ID=6604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01A KR100538052B1 (ko) 1996-10-18 1997-10-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0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503B1 (ko) * 2004-12-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10219B1 (ko) * 2005-12-3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62140B1 (ko) * 2005-09-15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95602B1 (ko) * 2006-11-07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시스템
KR20150059618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6621B (zh) * 2015-06-09 2017-08-2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及多联机空调系统的控制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503B1 (ko) * 2004-12-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7721558B2 (en) 2004-12-14 2010-05-25 Lg Electronics Inc. Multi-air conditioner and group-unit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62140B1 (ko) * 2005-09-15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10219B1 (ko) * 2005-12-3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95602B1 (ko) * 2006-11-07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시스템
KR20150059618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052B1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080A (en) Air conditioner
US7840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ng environmental conditioning network
JPH07286750A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
KR100538052B1 (ko) 공기조화기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09097829A (ja) 空気調和装置の集中制御システム
US5697224A (en) Operation control and indica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2000111128A (ja) 空気調和機
JP2003148790A (ja) 空気調和機
JPH0783489A (ja) 空調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の遠隔制御装置、外部接点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の管理装置
JPH11132539A (ja) 空気調和装置
JP3481094B2 (ja) 空気調和装置
JP3813324B2 (ja) 空気調和装置
JP3448440B2 (ja) 空気調和機
JPH11141957A (ja) 空気調和装置
KR10052514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어드레스 절환 방법
JP3802164B2 (ja) 空気調和機
JP7168801B1 (ja) 遠隔操作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機能の設定方法
JPH0285634A (ja) 空気調和装置
JP2536147B2 (ja) 空気調和装置
JP444825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3573932B2 (ja) 空気調和装置
JP3163843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000046405A (ja) 空気調和機
JP200006541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