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656A -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656A
KR19980031656A KR1019960051214A KR19960051214A KR19980031656A KR 19980031656 A KR19980031656 A KR 19980031656A KR 1019960051214 A KR1019960051214 A KR 1019960051214A KR 19960051214 A KR19960051214 A KR 19960051214A KR 19980031656 A KR19980031656 A KR 1998003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indow
unit
work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651B1 (ko
Inventor
안영환
김우연
김진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엘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엘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5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6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6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 베이스프레임(1a,1b)사이에 배치되어 창호골재(100)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배출시키는 작업부(1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이드바아(2a,2b)와 베드(3a,3b),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과 인접되어 상기 작업부(10)에서 배출된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자동창고 혹은 기타 공정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부(20),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1a) 위에 설치되면서 창호골재(100)를 정렬하여 상기 작업부(10)에 투입시키는 투입부(30),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 위에 설치되어 창호골재(100)를 일정위치에 세팅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40) 및, 상기 투입부(30)로부터 작업부(10)를 상기 반송부(20)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작업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로 이루어져, 절단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a window-frame)
본 발명은 창호골재를 자동적으로 자르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된 창호골재를 절단기로 이송하여 절단한 다음 반출하는 일련의 작업이 무인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환경이나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복지사회에로의 접근을 시도하려는 것과 산업이 고도화 됨에 따라 차츰 고생산성, 고정도화, 성력화를 지향하게 되자 필연적으로 자동화 기술의 도입이 이루어져 조립공정 등 여러 산업부문에서 실용화되기에 이르렀고, 또한 유인부문은 공장내에서 간접적으로 생산을 돕는 부문의 업무에 한하게 하고, 각종 기계부품의 가공과 조립 등 일련의 직접 작업을 무인으로 행하는 무인자동화 공장개념이 도입되어 공장자동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무인자동화는 자동조립, 자동공구교환, 물품의 자동운반, 운송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산업부문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바, 상기 물품의 운송자동화는 물류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급격하게 진보되고 있다.
한편,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창문은 벽에 설치된 창틀에 유리창이 구비된 창호를 조립한 다음, 이 창호의 여닫음에 의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자연광이 유리창을 통하여 실내로 들어오게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창호에서 그 골격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창호골재는 원자재를 일정한 치수와 형상으로 자른 다음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창호를 형성한 후 이에 유리창 등을 끼워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창호골재를 절단하는 종래의 절단장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골재를 절단부(101)에 수동으로 투입한 다음, 창호골재(10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절단부(101)에 대해 투입된 창호골재(100)의 위치 혹은 절단부(101)에 구비된 절단기(102)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한 후, 작업자가 정렬된 창호골재(100)를 손으로 잡고 상기 절단기(102)를 작동시켜 창호골재(100)를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자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작업이 이루어진 창호골재(100)는 절단부(101)로부터 수동으로 들어서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절단장치는 1회에 절단할 수 있는 창호골재(100)의 수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2∼3개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무거운 창호골재(100) 운반투입 혹은 작업중에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상 창호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수직골재(100a)와 2개의 수평골재(100b)에 의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절단공정 직후에 이루어지는 조립공정에 상기한 수직,수평골재(100a,100b)를 동시에 투입하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종래의 장치에서는 그 길이가 다른 수직골재(100a)와 수평골재(100b)나 절단기(102)를 수동으로 일일이 조정해가면서 절단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절단공정과 조립공정을 연속적인 공정으로한 물류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장자동화를 이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단기(102)에 의해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절단기(102)로부터 일일이 별도 작업대에 수동으로 이재하여 사용하거나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호골재를 절단부로 이송해서 절단기를 통해 절단한 다음에 반출하는 일련의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중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창호골재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창호골재를 배출시키는 작업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이드바아와 베드,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과 인접되어 상기 작업부에서 배출된 창호골재를 이재받아 자동창고 혹은 기타 공정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부,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면서 창호골재를 정렬하여 상기 작업부에 투입시키는 투입부,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창호골재를 일정위치에 세팅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업부를 상기 반송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작업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이송되는 창호골재가 절단부에서 절단작업이 완료된 후 자동창고나 작업대에 저장될 때까지 무인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절단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부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배출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창호골재 절단장치를 도 2와 같이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 : 베이스프레임 2a,2b : 제1가이드바아
3a,3b : 베드 4 : 슬로트
5 : 제2배출수단 10 : 작업부
11 : 분할프레임 12 : 제2가이드바아
13 : 작업대 14 : 이송수단
15 : 클램핑수단 15a : 수평클램핑실린더
15b : 수직클램핑실린더 16 : 제3가이드바아
17 : 제1탑재대 18a : 제1스톱퍼
18 : 상하운동실린더 19 : 제1액튜에이터
20 : 반송부 21 : 반송컨베이어
30 : 투입부 31 : 안내수단
32 : 투입수단 33 : 정렬실린더
34 : 로울러 35 : 투입액튜에이터
36 : 투입판 37 : 투입실린더
40 : 위치결정수단 41 : 제2스톱퍼
42 : 위치결정실린더 43 : 제3액튜에이터
50 : 제어부 60 : 절단부
61 : 절단기 62 : 제2탑재대
63 : 제2액튜에이터 64 : 원형톱
65 : 모우터 70 : 제1배출수단
80 : 스크랩수거부 81 : 수거용모우터
82 : 수거통 83 : 수거용컨베이어
90 : 분진포집기 91 : 연결부
92 : 흡입관 93 : 덕트
94 : 분진포집통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부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베이스프레임(1a,1b)사이에 창호골재(100)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배출시키는 작업부(1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을 좌우측으로 양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가이드바아(2a,2b)와 베드(3a,3b)가 소정의 단차를 두고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과 인접되어 작업부(10)에서 배출된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자동창고 혹은 기타 공정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부(20)가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1a) 위에 창호골재(100)를 정렬하여 상기 작업부(10)에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 위에 창호골재(100)를 일정위치에 세팅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30)로부터 작업부(10)를 상기 반송부(20)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작업과정을 사전에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30)는 상기 좌측배드(3a)에 얹혀진 다수 개의 창호골재(100)를 정렬시킴과 더불어 투입되는 창호골재(100)를 안내시키는 다수 개의 안내수단(31)과, 상기 좌측 제1가이드바아(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드(3a)에 정렬된 창호골재(100)를 상기 작업부(10)쪽으로 이송시켜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32)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31)은 상기 좌측베드(3a)하부를 지나는 베이스프레임(1a)에 설치된 정렬실린더(33)와, 이 정렬실린더(33) 선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베드(2a)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슬로트(slot,4)위로 약간 돌출된 로울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수단(32)은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1a) 상부에 설치된 모우터나 실린더와 같은 투입액튜에이터(35)와, 이 투입액튜에이터(35)에 장착되어 투입액튜에이터(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측베드(3a)에 얹혀진 창호골재(100)를 작업부(10)쪽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투입판(36) 및, 이 투입판(36)을 상기 위치결정수단(40)쪽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투입실린더(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업부(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분할프레임(11)이 구비되고, 이 분할프레임(11)상부에 상기 제1가이드바아(2a,2b)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제2가이드바아(12)와 상기 베드(3)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배치된 작업대(13)가 각각 구비되며, 이 제2가이드바아(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수단(32)을 통해 투입되는 창호골재(100)의 초기절단위치를 세팅시킴과 동시에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좌우측 베드(3a,3b)로 이송시키기 위한 위한 이송수단(1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투입된 창호골재(100)를 잡아주어 절단작업중 진동 기타 외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클램핑수단(15)이 구비되고, 상기 분할프레임(11)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3가이드바아(16)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13)에 고정된 창호골재(100)를 폭방향으로 자르기 위한 절단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14)은 상기 제2가이드바아(12)에 제1탑재대(17)를 통해 장착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상하 운동되고 그 선단에 제1스톱퍼(18a)가 구비된 상하운동실린더(18)와, 상기 제1탑재대(17)를 이동시켜 상기 상하운동실린더(18)의 이동위치를 조정하도록 된 제1액튜에이터(19)를 갖춰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60)는 절단기(61)와, 이 절단기(61)를 탑재시키고서 상기 제3가이드바아(16)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된 제2탑재대(62) 및, 이 탑재대(62)의 이동변위를 조정하여 절단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액튜에이터(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절단기(61)는 원형톱(64)을 갖춘 모우터(65)로 이루어지고, 이 절단기(61)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그 배치방법을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 원형톱(64)에 의해 절단되는 창호골재(100)의 절단형상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수단(15)은 창호골재(10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부쳐 고정시키는 수평클램핑실린더(15a)와 창호골재(100)를 수직하방으로 내려눌러 고정시키는 수직클램핑실린더(15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수평클램핑실린더(15a,15b) 선단에는 가압판을 각각 설치하여 창호골재(100)에 균일한 가압력을 전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3)의 소정위치에 상기 절단기(61)에 의해 절단되고 남은 창호골재 스크랩(scrab,100c)을 작업부(60)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배출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부(60) 하부에 도 1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배출수단(70)에 의해 작업대(13)로부터 낙하하여 배출된 창호골재 스크랩(100c)을 수거하기 위한 스크랩수거부(8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스크랩수거부(80)는 작업부(60)하부에 무한궤도형상을 하고서 수거용모우터(8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제1배출수단(70)을 통해 배출되는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작업부(60)외부에 설치된 수거통(82)쪽으로 반송시켜 수거통으로 낙하시켜주기 위한 수거용컨베이어(83)를 갖춰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수단(40)은 상기 좌측제1가이드바아(2a)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고 선단에 제2스톱퍼(41)가 구비된 위치결정실린더(42)와, 이 위치결정실린더(42)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제3액튜에이터(4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튜에이터(19,43,63)는 공기압 혹은 유압을 구동원으로하여 작동되는 실린더를 채택할 수도 있고, 모우터와 체인 혹은 벨트로 이루어진 전동기구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반송부(20)는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 후방에 근접되게 설치되면서 무한궤도형상을 하고서 반송모우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우측베이스프레임(1b)에 설치된 다수 개의 제2배출수단(5)을 통해 배출되는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자동창고 혹은 기타 작업대에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컨베이어(21)를 갖춰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부(10) 상부에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분진포집기(90)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분진포집기(90)는 상 하부가 개구된 연결부(91)의 하부에 나사로 체결된 나팔상의 흡입관(92)과, 상기 연결부(91)의 상부에 연통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지며 플렉시블한 재질의 덕트(93) 및, 이 덕트(93)의 끝부분에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걸러주는 필터(filter)가 내장된 분진포집통(94)을 갖춰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라 창호골재(100)의 투입과 절단 및 반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절단작업전에 가공하고자 하는 창호골재(100)의 형상이나 크기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자료를 기초로 프로그램밍해서 상기 제어부(50)에 입력시킨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시운전하여 적절한 작업 조건을 셋팅(setting)시킨다.
상기와 같이 셋팅된 상태에서 가공되지 않은 원자재 상태인 다수 개의 창호골재(100)를 상기 좌측베드(3a)에 올려놓은 후에 상기 제어부(50)를 조작하면, 사전에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14)의 상하운동실린더(18)는 제1액튜에이터(19)를 통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다음 그 선단에 구비된 제1스톱퍼(18a)가 상기 작업대(13)에 맞닿을 정도로 하강작동되게 되고, 또한 상기 투입부(30)의 안내수단(31)이 작동되어 창호골재(100)를 가지런하게 정렬시킴과 동시에 투입판(36)이 창호골재(100)를 우측으로 밀어부쳐 골재(100)선단면이 상기 제1스톱퍼(18a)에 맞추어 초기작업위치에 세팅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31)을 이루는 정렬실린더(33)의 스트로크(stroke)량은 그 선단에 구비된 로울러(34)가 창호골재(100)에 접하면서 창호골재(100)간의 간격이 좁혀져 서로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작동시켜, 투입과정중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정렬되는 창호골재(100)로부터 자전되는 로울러(34)에 과도한 힘이 작용되지 않고 창호골재(100)를 원활하게 안내시켜줄 수 있을 정도로 스트로크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창호골재(100)가 작업부(10)에 투입됨과 동시에 실린더를 갖춘 클램핑수단(15)이 제어작동되어 창호골재(100)가 고정되고, 초기 절단작업위치를 세팅시키기 위해 하강되었던 상하운동실린더(18)는 원상복귀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어부(50)는 상기 절단부(6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 작동신호를 인가받음에 따라 절단부(60)의 절단기(61)와 제3액튜에이터(43)는 사전에 이동 변위량 및 작동순서등이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제어작동되어 창호골재(100)를 절단하게 된다.
즉, 제3액튜에이터(43)는 제어부(50)를 통해 제어작동되어져 제3가이드바아(16)에 탑재된 절단기(61)를 클램핑된 창호골재(100)쪽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 절단기(61)가 이동되어져 창호골재(100)에 접촉되게 되면, 절단기(61)에 구비된 원형톱(64)은 창호골재(100)를 파고들면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원형톱(64)에 의해 절단되는 창호골재(100)의 절단면형상은 다수 개의 원형톱(64)를 공간상에 적절히 배치시키면 소망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형톱(64)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되고 남은 창호골재 스크랩(100c)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0)에 의해 제어작동지어지는 제1배출수단(70)에 의해 작업부(60)로부터 화살표방향으로 배출되면서 하부로 낙하되게 되고, 이와 같이 낙하되는 스크랩(100c)은 수거용모우터(81)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수거용컨베이어(83)에 적재되며, 수거용컨베이어(83)의 회전에 따라 수거통(92)쪽으로 이송되어 수거용컨베이어(83)가 방향전환될 때 수거통(92)쪽으로 낙하되면서 저장되어 수거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절단작업이 완료되게 되면 절단기(61)는 원상복귀되든지 아니면 절단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위치에 정지되게 되고, 상기 작업부(10)의 클램핑수단(15)에 클램핑된 창호골재(100)는 클램핑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단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50)는 제1스톱퍼(18)에 절단된 창호골재(100)의 배출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스톱퍼(18)가 하강하여 제2가이드바아(12)의 안내를 받으면서 도면상의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가이드바아(12)가 복귀되어 제1스톱퍼(18)가 상승되어 배출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어서, 투입액튜에이터(35)가 투입판(36)에 접해 있던 창호골재(100)를 상기 위치결정실린더(42)에 구비된 제2스톱퍼(41)의 센서(S1)까지 전진시키고, 다시 투입판(36)에 내장된 투입실린더(37)가 전진하여 제2스톱퍼(41)까지 장치에 무리가 없도록 밀착시킴으로써 절단 창호골재(100)의 반복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스톱퍼(41)에 창호골재(100)가 정렬됨과 동시에 제어부(50)는 클램핑수단(15)과 작업부(1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 제어신호에 따라 클램핑수단(15)과 작업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작동되어져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절단작업이 완료된 창호골재(100)는 상하운동실린더(18)를 통해 우측으로 약간 이동된 다음 우측베이스프레임(1b)에 설치된 제2배출수단(7)을 통해 회전하고 있는 반송컨베이어(21)에 의해 자동창고 혹은 기타 작업대로 반송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통상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수직골재(100a)와 2개의 수평골재 (100b)결합으로 된 사각형 창호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50)에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적절히 변경하여 수직골재(100a)와 수평골재(100b)를 교대로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이와 같이 교대로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동시에 투입하여서 창호조립을 할 수 있게 되어, 절단공정과 조립공정을 연속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에 의한 공장자동화를 간단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에 의하면,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창호골재가 절단부에서 절단되어 자동창고나 작업대에 저장될 때까지 무인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고, 다량의 창호골재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절단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창호골재의 크기나 형상이 변하여 작업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어부에 입력되는 정보만 변경하면 되므로, 최근 제조업의 추세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진포집기에 의해 절단작업중에 발생되어 공중에 부유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써,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좌우측 베이스프레임(1a,1b)사이에 배치되어 창호골재(100)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배출시키는 작업부(1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이드바아(2a,2b)와 베드(3a,3b),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과 인접되어 상기 작업부(10)에서 배출된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자동창고 혹은 기타 공정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부(20),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1a) 위에 설치되면서 창호골재(100)를 정렬하여 상기 작업부(10)에 투입시키는 투입부(30), 상기 우측베이스프레임(1b) 위에 설치되어 창호골재(100)를 일정위치에 세팅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40) 및, 상기 투입부(30)로부터 작업부(10)를 상기 반송부(20)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작업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구비된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30)가 상기 좌측배드(3a)에 얹혀진 다수 개의 창호골재(100)를 정렬시킴과 더불어 투입되는 창호골재(100)를 안내시키는 다수 개의 안내수단(31)과, 상기 좌측 제1가이드바아(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드(3a)에 정렬된 창호골재(100)를 상기 작업부(10)쪽으로 이송시켜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1)이 상기 좌측베드(3a)하부를 지나는 베이스프레임(1a)에 설치된 정렬실린더(33)와, 이 정렬실린더(33) 선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베드(2a)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슬로트(4)위로 약간 돌출된 로울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32)이 상기 좌측베이스프레임(1a) 상부에 설치된 투입액튜에이터(35)와, 이 투입액튜에이터(35) 장착되어 투입액튜에이터(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측베드(3a)에 얹혀진 창호골재(100)를 작업부(10)쪽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투입판(36) 및, 이 투입판(36)을 상기 위치결정수단(40)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투입실린더(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1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a,1b)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분할프레임(11)과, 이 분할프레임(11)에 설치된 작업대(13), 상기 분할프레임(11)상부에 설치된 제2가이드바아(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창호골재(100)의 초기절단위치를 세팅시킴과 더불어 절단된 창호골재(100)를 우측 베드(3a,3b)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4), 투입된 창호골재(100)를 잡아주는 클램핑수단(15) 및, 상기 분할프레임(11) 하부에 설치된 제3가이드바아(16)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작업대(13)에 고정된 창호골재(100)를 자르기 위한 절단부(60)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4)이 상기 제2가이드바아(12)에 제1탑재대(17)를 통해 장착되면서 선단에 제1스톱퍼(18a)가 구비된 상하운동실린더(18)와, 상기 제1탑재대(17)를 이동시켜 상기 상하운동실린더(18)의 이동위치를 조정하도록 된 제1액튜에이터(19)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60)가 절단기(61)와, 이 절단기(61)를 탑재시키고서 상기 제3가이드바아(16)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되는 제2탑재대(62) 및, 이 탑재대(62)의 이동변위를 조정하도록 된 제2액튜에이터(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40)이 상기 좌측제1가이드바아(2a)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고 선단에 제2스톱퍼(41)가 구비된 위치결정실린더(42)와, 이 위치결정실린더(42)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제3액튜에이터(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60) 하부에 상기 제1배출수단(70)에 의해 작업대(13)로부터 낙하하여 배출된 창호골재 스크랩(100c)을 수거하기 위한 스크랩(100c)수거부(8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수거부(80)가 상기 작업부(60)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배출수단(70)을 통해 배출되는 창호골재(100)를 이재받아 작업부(60)외부로 반송시키는 수거용컨베이어(83)와, 이 수거용컨베이어(8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거용모우터(81)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10) 상부에 절단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분진포집기(9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포집기(90)가 소정형상의 흡입관(92)과, 이 흡입관(92)에 배관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덕트(93) 및, 이 덕트(93)의 끝부분에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걸러주는 필터가 구비된 분진포집통(94)을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KR1019960051214A 1996-10-31 1996-10-31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KR10041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14A KR100416651B1 (ko) 1996-10-31 1996-10-31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14A KR100416651B1 (ko) 1996-10-31 1996-10-31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56A true KR19980031656A (ko) 1998-07-25
KR100416651B1 KR100416651B1 (ko) 2004-04-17

Family

ID=3731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214A KR100416651B1 (ko) 1996-10-31 1996-10-31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18B1 (ko) * 2021-10-07 2022-06-10 권순만 샤시절단장치
KR102513397B1 (ko) * 2022-09-21 2023-03-22 김현경 비철금속 절단 장치
KR20240000303A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삼국 칫솔 살균 건조 장치
KR20240000987A (ko) 2022-06-24 2024-01-03 남영복 창호 프레임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511B1 (ko) * 2013-11-13 2017-08-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절단장치
KR101763234B1 (ko) * 2015-12-18 2017-07-31 이예택 창호재 양면 절단기
KR102041006B1 (ko) * 2016-04-18 2019-11-05 (주)엘지하우시스 모헤어 고정유닛을 구비하는 프로파일 절단장치
KR102044349B1 (ko) 2019-06-19 2019-11-13 박주현 창호 골재 자동가공 장치
CN111993522B (zh) * 2020-08-27 2022-06-24 南京涵铭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具生产用木框均匀切割设备
KR102244091B1 (ko) * 2020-11-30 2021-04-22 김태경 공간 활용성과 치수 정밀성이 확보된 창틀프레임 커팅장치 및 그 커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610A (ja) * 1986-12-01 1988-06-11 Niigata Eng Co Ltd 長尺材加工切断装置におけるチヤツク装置
JPS6434203U (ko) * 1987-08-26 1989-03-02
JPH0569219A (ja) * 1991-06-05 1993-03-23 Misawa Homes Co Ltd 型材の切断加工装置
KR930007356Y1 (ko) * 1991-07-30 1993-10-25 주식회사 럭 키 창틀골재 절단기
JPH0615525A (ja) * 1992-02-04 1994-01-25 Misawa Homes Co Ltd 切断装置
KR970006389Y1 (ko) * 1994-11-19 1997-06-24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레이저 가공기의 집진후드
KR970061468A (ko) * 1996-02-29 1997-09-12 성재갑 창호골재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18B1 (ko) * 2021-10-07 2022-06-10 권순만 샤시절단장치
KR20240000303A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삼국 칫솔 살균 건조 장치
KR20240000987A (ko) 2022-06-24 2024-01-03 남영복 창호 프레임 절단 장치
KR102513397B1 (ko) * 2022-09-21 2023-03-22 김현경 비철금속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6651B1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6945B (zh)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KR101483856B1 (ko)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WO2021212958A1 (zh) 一种电脑裁板锯、控制系统及工作方法
KR100416651B1 (ko)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CN110303553B (zh) 一种双头锯钻机
JP3106237B2 (ja) 板材加工機用搬入出装置
KR100870049B1 (ko)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CA1126681A (en) Workpiece assembly machinery
CN106737139B (zh) 用于板状工件加工设备的尺寸定位控制机构
EP3827950A1 (en) Machine for machining panels
CN213197947U (zh) 一种电脑锯的工夹送料装置控制单元及送料控制单元
CN212264672U (zh) 一种自动上下料剪板生产线
JP2017170551A (ja) 全自動ドリル装置
KR101789065B1 (ko)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CN210173803U (zh) 装饰线条锯切机
CN210703837U (zh) Cnc设备自动化上下料系统的自动输送单元
CN211469972U (zh) 一种桁架机械手自动料仓
JP2901945B2 (ja) 鋼材積込装置
JPH06126363A (ja) 組鉄筋製造装置
KR100506619B1 (ko)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CN220739631U (zh) 门框自动切角生产线
KR200444653Y1 (ko)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RU211685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штампов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деталей
CN220808360U (zh) 一种自动切水口下料装置
KR0136352B1 (ko) 도어판재의 펀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