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806U -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 Google Patents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806U
KR19980030806U KR2019960043950U KR19960043950U KR19980030806U KR 19980030806 U KR19980030806 U KR 19980030806U KR 2019960043950 U KR2019960043950 U KR 2019960043950U KR 19960043950 U KR19960043950 U KR 19960043950U KR 19980030806 U KR19980030806 U KR 19980030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steering column
bracket
integra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충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806U/ko
Publication of KR19980030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0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칼럼의 몸체는 상 하자켓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일체형자켓(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자켓(20)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0)의 수직부(13) 양측에는 홀(11)이 종방향으로 천공되고 아울러 상기 브라켓(10)의 수평부(14)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감소부(12)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에 있었던 접속부가 제거됨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시 스티어링 휠이 상부로 움직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본 고안은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어 있는 스티어링 칼럼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하는 브라켓에는 홀을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전방충돌 사고시 운전자의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한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및 일부 사시도이다.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1)은 상부 자켓(3)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자켓(3)은 하부자켓(4)에 연결된다. 즉 스티어링 칼럼은 2개의 자켓(3, 4)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자켓(3)과 하부자켓(4) 사이에는 접속부(6)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부자켓(3)의 내부에 하부자켓(4)이 삽입되어 있다. 이 하부자켓(4)의 외주연을 따라 볼(7)이 제공되어 있는바. 이 볼(7)은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소정의 마찰력을 상기 상부자켓(3)과 하부자켓(4)에 제공하여 운전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자동차의 전방충돌시 스티어링 휠(1)에 운전자의 중량이 가해지고 그 중량에 따른 힘은 스티어링 휠(1)을 경유하여 상부 자켓(3)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부자켓(3)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때에 상기 볼(7)이 구르면서 상기 하부자켓(4)은 상기 상부자켓(3)의 내부로 더욱 들어가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티어링 칼럼이 압축되며 충격흡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자켓(3)은 상부브라켓(2)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고 하부자켓(4)은 하부브라켓(5)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확대된 사시도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브라켓(5)은 그 형상이 대략 ㄱ형이고 상부수평면(8)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수평면(8)에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자켓(4)에 외삽되며 수직평면(9)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수직평면(9)과 상기 상부수평면(8)이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브라켓(5)은 자동차의 충돌시에도 상기 하부자켓(4)이 축방향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소정의 강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칼럼은 자동차의 전방출동 사고시 도 2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전방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승객의 두부 및 흉부가 관성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1)쪽으로 이동된다. 본 도면에서는 에어백(40)이 장착된 스티어링 휠(1)로서 전방 충돌과 동시에 에어백(40)이 전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승객의 두부 및 흉부가 에어백(40)을 밀게되고 그 미는 힘에 의하여 상부자켓(3)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에 상기 상부자켓(3)은 축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방으로 약간 상승되면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점선부분으로 상부자켓(3) 및 스티어링 휠(1)이 이동된다. 점선부분으로 스티어링 휠(1)이 이동됨에따라 운전자의 상해치가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티어링 휠(1)로부터 전개된 에어백(40)의 위치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에어백이 운전자의 흉부를 지지하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 것이다. 이는 상기 상부자켓(3)과 상기 하부자켓(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6)가 꺽이면서 발생되었다. 즉, 상기 접속부(6)는 그 강성면에서 취약하여 충돌에 의한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꺽이게 되고 따라서 상기 상부자켓(3)이 상방으로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티어링 칼럼 의 구조 및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하는 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의 전방 충돌시 스티어링 휠이 상부로 움직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치를 감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이 스티어링 핸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자켓 및 하부자켓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이 상기 각각의 자켓에 장착된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 하자켓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일체형자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자켓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의 수직부 양측에는 홀이 천공되고 아울러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감소부가 제공됨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수직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이 제공되어도 좋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이 장착된 차량에서의 전방충돌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에 장착된 브라켓의 변형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 휠 2: 상부 브라켓
3: 상부자켓 4: 하부자켓
5: 하부 브라켓 6: 접속부
7: 볼 10: 하부브라켓
11: 홀 12: 감소부
20: 일체형 자켓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정면도 및 일부 사시도이다.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1)은 일체형자켓(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일체형자켓(20)의 상 하부에는 각각 브라켓(10)이 장착되어 있는바 이 브라켓(10)은 확대된 사시도에서와 같이 그 측면 형상이 대략 ㄱ형이고 상부의 수평부(14)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14)에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며 형성된 수직부(13)는 상기 하부자켓(4)에 외삽 고정되어 있다. 이 수직부(13)와 상기 수평부(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일체형자켓(20)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0)의 수직부(13) 양측에는 홀(11)이 종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0)의 수평부(14) 중앙부분은 제거되어 감소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1) 및 감소부(12)는 전방충돌시에 일체형자켓(20)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자동차 전방 충돌시에 일체형자켓에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되면 상기 브라켓(10)은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되며 상기 일체형자켓(20)을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브라켓(10)의 변형시에는 홀(11)이 형성된 부분 및 감소부(12)는 강성면에서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브라켓(10)은 변형되면서 일체형자켓(10)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자동차의 전방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관성력에 의하여 승객의 두부 및 흉부가 스티어링 휠(1)쪽으로 이동될 때, 관성력에 의하여 승객의 두부 및 흉부가 에어백(40)을 밀게되고 그 미는 힘에 의하여 스티어링 칼럼(20)은 단지 축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 휠(1)이 축방향으로만 이동됨에따라 상기 에어백(40)은 운전자의 전방에서 상 부로 이동되지 않아 운전자의 두부 및 가슴부위 전방에서 에어백은 벋어나지 않게 되었다. 즉, 스티어링 휠(1)로부터 전개된 에어백(40)의 위치가 상방으로 들리지 않아 에어백(40)이 운전자의 흉부를 지지하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거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에,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에 있었던 접속부가 제거됨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시 스티어링 휠이 상부로 움직이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운전자의 상해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일단이 스티어링 핸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자켓 및 하부자켓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이 상기 각각의 자켓에 장착된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 하자켓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일체형자켓(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자켓(20)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0)의 수직부(13) 양측에는 홀(11)이 천공되고 아울러 상기 브라켓(10)의 수평부(14)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감소부(12)가 제공됨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11)은 상기 수직부(13)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KR2019960043950U 1996-11-29 1996-11-29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KR19980030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50U KR19980030806U (ko) 1996-11-29 1996-11-29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50U KR19980030806U (ko) 1996-11-29 1996-11-29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06U true KR19980030806U (ko) 1998-08-17

Family

ID=5398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950U KR19980030806U (ko) 1996-11-29 1996-11-29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80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110B1 (ko) * 1999-02-10 2003-07-3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완충장치
KR100452294B1 (ko) * 2000-07-29 2004-10-1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110B1 (ko) * 1999-02-10 2003-07-3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완충장치
KR100452294B1 (ko) * 2000-07-29 2004-10-1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66854A (ja) 歩行者の保護機能を有する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の衝撃吸収構造
KR10047189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구조
US4946192A (en) Knee protector
KR19980030806U (ko) 일체형 스티어링 칼럼
JP3182973B2 (ja) フロントボデーの構造
KR100997095B1 (ko) 조향장치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42733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KR100537313B1 (ko) 자동차 무릎 보호 장치
JPH0537878Y2 (ko)
JPS6129572Y2 (ko)
KR100489058B1 (ko) 브레이크브라켓 연결장치
KR100489254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를 위한 다단 충격흡수 구조
JPS6232120Y2 (ko)
KR200270719Y1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207848B1 (ko) 자동차의 볼스터구조
JP2945737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KR100254110B1 (ko) 스티어링 컬럼장치
KR200177619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960003462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KR20040043464A (ko)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200191634Y1 (ko) 운전석의 무릎 보울스터 보강 구조
KR19990034516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칼럼
KR19980061025U (ko) 차량의 전방프레임 충격흡수구조
KR20030085839A (ko) 차량의 운전자 무릎보호 패널
KR19980063701U (ko) 차량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