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464A -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 Google Patents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464A
KR20040043464A KR1020020071720A KR20020071720A KR20040043464A KR 20040043464 A KR20040043464 A KR 20040043464A KR 1020020071720 A KR1020020071720 A KR 1020020071720A KR 20020071720 A KR20020071720 A KR 20020071720A KR 20040043464 A KR20040043464 A KR 2004004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driver
pad
stopper
cru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357B1 (ko
Inventor
홍창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3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선 하방에 부착되는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러쉬 패드가 충격의 방향을 하향으로 전환시키도록하여 스티어링휠 유닛의 충격흡수 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충격흡수 과정에서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우어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는, 운전석의 하단에 부착되는 크러쉬 패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패드의 상단 후면에 수직방향의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의 최하단부를 나사를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의 최하단과 스토퍼의 사이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브래킷에 체결하여, 크러쉬 패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가 파손되면 크러쉬 패드가 상기 슬롯을 따라 하강 하도록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Lower crush pad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 하방에 부착되는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러쉬 패드가 충격의 방향을 하향으로 전환시켜 스티어링휠 유닛의 충격흡수 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충격흡수 과정에서 크러쉬 패드와 스티어링 휠 유닛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전석의 구조는, 충돌사고시 운전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들 중에서 운전자의 무릎부위와 충돌하게 되는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종래의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 구조의 충돌과정을 나타낸 도 1과, 상기 충돌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단의 크러쉬 패드(100)는 하단(102)만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무릎부위가 크러쉬 패드(100)와 충돌하면 크러쉬 패드(100)의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단(104)이 휘어지면서 변형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스티어링휠 유닛(200)은 운전자의 두부 또는 흉부의 충돌시 스티어링휠 유닛(200) 전체가 스티어링축을 따라 하방으로 무너져 내리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종래의 충격흡수 구조를 지닌 차량이 전방으로 진행하다가 충돌하게 되면, 운전자의 몸 전체가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쏠리고, 제일 먼저 운전자의 무릎부위가 크러쉬 패드(100)와 충돌하게 된다. 그러면 그 충격에 의하여 크러쉬 패드가 차체에 지지, 고정되어 있는 하단을 축으로 상단이 변형하면서 충돌 하중을 상향으로 변형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않으면 2차적으로 운전자의 두부와 흉부가 스티이링휠(210)과 충돌하고, 이러한 두부와 흉부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스티어링휠 유닛(200)이 하향으로 전환시키며 흡수하도록 되어있는데, 실질적으로는 도 1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력을 상향 전환시킨 크러쉬 패드(100)와 하향으로 충격력을 전환시키는 스티어링휠 유닛(200)의 축 덮개(220)가 서로 간섭하게 되어 충격흡수가 설계된 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따라서 운전자가 커다란 상해를 입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석 하단의 크러쉬 패드가 운전자의 다리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하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스티어링 휠 유닛의 충격흡수 방향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호간에 충격 흡수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각각의 유닛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충돌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운전석 하단 크러쉬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충돌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크러쉬 패드110 : 슬롯
105 : 스토퍼120 : 고정돌기
122 : 절취부200 : 스티어링 휠 유닛
210 : 스티어링 휠220 : 스티어링축 덮개
300 : 체결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는, 운전석의 하단에 부착되는 크러쉬 패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패드의 상단 후면에 수직방향의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의 최하단부에 나사를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의 최하단과 스토퍼의 사이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브래킷에 체결하여, 크러쉬 패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가 파손되면 크러쉬 패드가 상기 슬롯을 따라 하강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롯의 내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크러쉬 패드가 슬롯을 따라 하강할 때 상기 고정돌기들이 파손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에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들이 고정돌기의 파손을 돕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100)는 그 상부에 직선형의 슬롯(11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슬롯(110)에 체결부재(300)가 결합하게 되는데, 슬롯(110)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30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슬롯(110)의 하단에 체결부재(300)의 직경에 해당하는 간격을 남기고 가로막 형태의 스토퍼(105)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체결부재는 슬롯(110)의 하단과 스토퍼(300)의 사이에 고정되고 크러쉬 패드(100)의 하중을 상기 스토퍼(300)가 지탱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05)의 위쪽에 있는 슬롯(110)은 그 양단에 내측으로 고정돌기(12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20)의 주변에는 절취부(12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120)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슬롯(110)의 하단에 체결부재(300)를 위치시키고 그 상단을스토퍼(105)로 지지하도록 하여 크러쉬패드(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스토퍼(105)가 파손되도록 하고, 스토퍼(105)의 파손으로 인해 크러쉬패드(100)가 하향으로 무너지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부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크러쉬 패드(100)의 하중을 체결부재(300) 상단에 위치한 스토퍼(105)가 지지하고 있다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105)가 파손된다. 따라서 체결부재(300)는 고정된 채로 남아있고 크러쉬 패드(100)는 스토퍼(105)의 지지를 받지 못하므로 슬롯(110)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체결부재(300)는 슬롯(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게 되며, 차례로 고정돌기(122)의 지지를 받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재(300)가 슬롯(110)을 훑어 나가며 고정돌기(122)를 차례를 파손하게 된다. 따라서 크러쉬패드(100)가 하향으로 무너지며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를 적용한 차량의 충격흡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운전자의 몸은 전방을 향하게 되고, 제일먼저 운전자의 무릎부위가 크러쉬패드(100)에 충돌하게 된다. 상기 충돌로 인하여 크러쉬패드(100)의 스토퍼는 파손되고, 크러쉬 패드는 하방으로 충돌을 전달하며 체결부재를 타고 내려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전자의 두부와 흉부가 스티어링 휠(210)과 충돌하면 스티어링 휠 유닛(200)도 하방으로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므로, 종래와 같이 크러쉬패드(100)와 스티어링 휠 유닛(200)이 반대방향으로 변형하다 발생하는 간섭은 일어나지 않고 각각의 충격흡수 구조가 적절하게 진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과정을 순서대로 다시 살펴보면, 무릎이 크러쉬 패드에 충돌하는 제 1단계에서는 운전자의 무릎이 크러쉬패드에 충돌하고, 그 충격량이 스토퍼를 파손하는 크기에 달하면 제 2단계로 넘어가 스토퍼가 파손되고, 슬롯에서 체결부재가 미끄러지게 되고 이로인해 크러쉬 패드전체가 미끄러져 내려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돌기들이 파손되며 충격흡수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충격의 전달 방향이 크러쉬 패드의 이동에 따라 하향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크러쉬 패드의 파손과 하향이동에도 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으면 제 3단계로 넘어가 운전자의 두부와 흉부가 스티어링 휠과 충돌하게 되는데, 스티어링 휠은 구조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있다. 종래의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에서는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크러쉬 패드가 충격을 상향으로 전환시켰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 유닛의 충격흡수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이 되어, 스티어링휠 유닛과 크러쉬 패드가 충돌 또는 간섭하게 되면 크러쉬패드와 스티어링휠 유닛의 충격흡수 효과가 격감되어 설계된 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운전자에게 커다란 상해를 입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러쉬 패드와 스티어링 휠이 모두 하향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설계된 대로 적절한 충격흡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 구조는, 상기 크러쉬 패드에 충격이 가해지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종래의 크러쉬 패드의 충격흡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크러쉬 패드와 스티어링 휠 축 덮개의 충돌로 인한 충격흡수 효과 감소의 문제를 제거하여 설계된 대로 충격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부상정도를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전석의 하단에 부착되는 크러쉬 패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패드의 상단 후면에 수직방향의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의 하부에 나사를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의 하단과 스토퍼의 사이에 나사를 삽입하고 고정브래킷에 체결하여, 크러쉬 패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가 파손되면 크러쉬 패드가 상기 슬롯을 따라서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내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크러쉬 패드가 슬롯을 따라 하강할 때 상기 고정돌기들이 파손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에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들이 고정돌기의 파손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 장착구조.
KR10-2002-0071720A 2002-11-18 2002-11-18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10047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720A KR100470357B1 (ko) 2002-11-18 2002-11-18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720A KR100470357B1 (ko) 2002-11-18 2002-11-18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464A true KR20040043464A (ko) 2004-05-24
KR100470357B1 KR100470357B1 (ko) 2005-03-08

Family

ID=3733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720A KR100470357B1 (ko) 2002-11-18 2002-11-18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87B1 (ko)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KR101717888B1 (ko)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466B1 (ko) 2015-06-10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방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948A (ja) * 1988-08-31 1990-03-05 Suzuki Motor Co Ltd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H05221276A (ja) * 1992-02-13 1993-08-3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999002148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승객 보호용 크래쉬 패드의 볼스터 구조
KR100292253B1 (ko) * 1998-09-14 2001-07-12 이승복 에어백하우징의충격흡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87B1 (ko)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KR101717888B1 (ko) 2016-11-01 2017-03-17 박영기 다기능 찻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357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338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KR100470357B1 (ko)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101014053B1 (ko)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US6585318B1 (en) Safety seat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261221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22407A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20080054895A (ko)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KR20030004733A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연결 브래킷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489254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를 위한 다단 충격흡수 구조
JPH09193813A (ja) 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42103B1 (ko) 차량의 범퍼 지지구조
KR100569463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002671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조향장치의 틸트 스프링
KR0176032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101136264B1 (ko) 와이어 플레이트를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200158238Y1 (ko) 차량용 좌굴플레이트에 의한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131661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19980078057A (ko) 차량용 조향 샤프트 충격 흡수장치
KR19980021233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20060053293A (ko) 조향장치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