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804A -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804A
KR19980030804A KR1019960050283A KR19960050283A KR19980030804A KR 19980030804 A KR19980030804 A KR 19980030804A KR 1019960050283 A KR1019960050283 A KR 1019960050283A KR 19960050283 A KR19960050283 A KR 19960050283A KR 19980030804 A KR19980030804 A KR 1998003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urrent
night
driving curr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하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101996005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804A/ko
Publication of KR1998003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04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필요한 시기에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회로는 배터리의 전압을 점화코일에 공급하기 위한 점화스위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와, 일사량의 검출에 의해 주야간을 판별하는 주야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차륜의 회전을 검출하는 차륜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램프의일측단자에 구동 전류로 공급하는 다기능 스위치 레버와, 상기 램프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램프의 점등을 검출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 루프(current loop)를 차단하는 전류검출 제어기와, 상기 램프 점등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주야센서의 출력을 검색하여 주간 모드시에는 소정시간 후에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야간 모드시에는 상기 점화스위치의 출력의 차단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니트로 구성된 회로 제공과 이러한 제어 시팍스를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램프 구동 전류 제어 회로에 의해 자동차의 배터리의 수명 연장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램프 점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필요한 시기에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수의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등, 차폭등, 번호등 및 전조등이 그 대표적인 램프들이다. 이러한 램프들은 자동차의 안전 운행을 위해 법제화되어 자동차에 장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램프들은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점등되며, 상기 배터리는 자동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자동차에 장착된 상기 램프들, 예를들면, 미등, 차폭등 및 번호판등은 스티어링 횔의 부근에 설치된 다기능 스위치 레버(Multifunction switch lever)(MSL)를 수동으로 조작시에 구동토록 되어 있다. 즉, 대다수의 자동차들은,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을 1단으로 조작하면 상기 미등, 차폭등 및 번호판등의 스몰 라이트등은 모두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을 2단으로 조작하면 상기 미등, 차폭등, 번호판등의 스몰 라이트 및 전조등(head light)이 점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의 조작에 의해 램프를 점등 시키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항상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첫째로는, 운전자의 부주의 혹은 실수로 자동차에 장착된 모든 램프를 주간에 점등(온) 하고 주행하여도 이를 경고할 만한 장치가 없어 배터리의 전류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자동차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둘째로, 운전자의 실수로 미등이 켜진 채로 하차한 경우, 주위의 불빛이 밝아 이를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의 지속적인 방전이 발생하여 운전자를 곤란하게 하는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경우의 발생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전압/전류가 스타트 모터를 구동할 수 없을 정도로 방전되면 자동차의 엔지를 회전 시킬 수 없게되어 운행을 하지 못하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수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시간이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 심한 경우에는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실수로 인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램프가 불필요한 시기에 점등되었을 때 이를 상기 램프의 구동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차단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간 운행시, 자동차의 램프가 켜져 있을 때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꺼지도록 제어하는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점등된 램프가 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소등 시키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압을 점화코일에 공급하기 위한 점화스위치(ignition switch)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에 있어서, 일사량의 검출에 의해 주야간을 판별하는 주야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차륜의 회전을 검출하는 차륜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램프의일측단자에 구동 전류로 공급하는 다기능 스위치 레버와, 상기 램프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램프의 점등을 검출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 루프(current loop)를 차단하는 전류검출 제어기와, 상기 램프 점등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주야센서의 출력을 검색하여 주간 모드시에는 소정시간 후에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야간 모드시에는 상기 점화스위치의 출력의 차단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니트로 구성된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회로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자동차에 장착된 다수의 램프중의 하나이며, MSL은 다기능 스위치 레버, 12는 전류루프제어용 스위치, 16은 히스테리시스 버퍼, 18은 점화시위치, 20은 프론트도어 스위치, 22는 주야센서, 24는 차륜센서, 26은 타이머, 28은 제어유니트이다. 끝으로, 30은 경보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로서 구성된 본원 발명의 구성관계 및 그 작용 관계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설명에서 명확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 구동전류 자동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유니트의 동작 제어 수순을 나타낸 것으로, 내부의 롬영역에 마스킹 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램프 10의 일측단자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았음)의 전압 Vcc이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램프 10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사시 그라운드을 의미함)의 사이에는 전류 루프 제어용 스위치 12와, 전류검출용 저항 14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횔의 주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 Vcc를 스위칭하여 램프 10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 스위치 12는 평상시 온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 운전가가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를 조작하기만 하면 램프 10에는 배터리의 전압 Vcc의 직류전류 i가 공급되어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 10에 전류 i가 공급되어 점등되면, 상기 직류 전류 i는 제어스위치 12, 저항 14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저항 14는 상기 전류 i를 전압(V = I·R)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직류 12DCV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면, 약 5볼트의 전압 레벨이 출력된다. 상기 저항 14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히스테리시스 버퍼 16은 5볼트의 전압을 파형정형하여 논리 하이로서 MPU(Micoprocessor:제어유니트)의 입력포트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MPU 28는 도 2와 같은 제어 루틴을 소정의 주기로 수행한다. 도 2와 같은 제어 루틴을 수행하는 MPU 28은 도 2의 32과정에서 램프가 점등되었는지를 검색한다. 램프의 점등 유무는 상기 히스테리시스 버퍼 16의 출력을 읽어 검색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히스테리시스 버퍼 16의 출력이 논리 로우이면, 램프는 소등되었다고 판단하고 논리 하이이면 램프가 점등상태라 판단한다. 상기 도 2의 32과정에서 램프가 점등되었다고 판단되면, MPU 28은 34과정에서 주야센서 22의 출력을 읽어 현재 주간인지 혹은 야간인지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주야센서 22는 현재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포토셀(Cds)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34과정에서 현재가 주간이라고 판단되면 MPU 28은 36과정에서 타이머 26의 현재의 시간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상기 MPU 28은 38과정에서 일정한 시간, 예를 들면, 30초가 경과 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에서 램프의 점등시간이 30초 이상으로 지속되면, MPU 28은 40과정에서 전류 루프 제어스위치 12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논리 하이의 신호를 상기 전류 루프 제어스위치 12로 공급하여 오프 시킨다.
상기 전류 루프 제어 스위치 12가 오프되면, 배터리로부터 상기 램프 10로 공급되는 전압 Vcc의 전류루프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램프 10은 소등된다. 따라서, 주간에 운전자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램프 10, 예를들면, 미등, 혹은 전조등 등이 점등되어지더라도 소정시간후에는 자동적으로 소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만약, 전술한 34과정에서 주야센서 22의 출력이 야간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MPU 28은 42과정에서 차륜센서 24의 출력을 읽어 현재 주행중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차륜센서 24는 차량 바퀴의 회전을 검출하여 소정의 주기를 갖는 펄스를 발생하는 것으로 이 기술 분야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차륜센서 24의 출력이 주행중이라고 판단되면, 야간운전모드라고 판단하고 초기 과정으로부터 반복하여 동작하며, 주행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MPU 28은 44과정에서 점화스위치 18의 출력을 검색한다. 상기 점화 스위치 18은 이미 잘알려진 바와 같이 배터리의 전압을 점화코일(도시하지 않았음)에 일차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ACC모드인 경우에는 온상태로서 배터리의 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44과정의 검색결과 상기 점화스위치 18가 온되어 있는 경우, 야간운전모드라고 판단하고 48과정으로 점프하여 프론트 도어의 열림상태를 검색한다. 만약, 상기 44과정에서 점화 스위치 18의 출력이 차단되어 오프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MPU 28은 46과정에서 히스테리시스 16의 출력을 읽어 계속하여 램프 10가 점등되고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운전자가 주행을 종료한후 다기능 스위치 레버 MSL을 조작하여 램프 10을 오프하였는가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46과정에서 램프 10가 소등되었다면 MPU 28은 도 2의 초기과정으로부터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46과정에서 램프가 점등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MPU 28은 48과정으로 점프한다. 이러한 제어과정은 점화스위치 18가 오프되어 주행이 종료되어진 상태에서 램프, 예를 들면, 미등을 오프하지 않고 차량의 밖으로 하차하는 것인지를 검색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2의 48과정을 수행하는 MPU 28은 프로트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프론트 도어 스위치 20의 출력을 읽어 도어가 열리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MPU 28은 도 2의 50과정에서 경보신호를 경보장치 30로 출력하여 램프가 점등되어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람한다. 이때, 상기 경보장치 30은 상기 경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리로서 램프의 점등을 경고하거나, 또다른 램프를 점멸시켜 경고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방향지시등을 모두 점멸 시키거나, 별도로 마련된 특수램프를 점멸시켜 경고한다.
따라서, 야간 운전후 점화스위치가 오프되었으나 운전자의 실수로 인하여 램프등을 모두 오프하지 않고 차량 밖으로 하차시 램프의 점등상태를 경보하게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세하게 기재되지 않았으나, 램프의 점등상태를 경보 후 도 2의 36, 38, 40과정과 같은 제어 시퀀스로 동작시켜 일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램프들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소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자동차의 램프류가 불필요하게 점등되어 있을 때 램프에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압/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5)

  1. 배터리의 전압을 점화코일에 공급하기 위한 점화스위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에 있어서,
    일사량의 검출에 의해 주야간을 판별하는 주야센서와,
    상기 자동차의 차륜의 회전을 검출하는 차륜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램프의일측단자에 구동 전류로 공급하는 다기능 스위치 레버와,
    상기 램프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램프의 점등을 검출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 루프를 차단하는 전류검출 제어기와,
    상기 램프 점등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주야센서의 출력을 검색하여 주간 모드시에는 소정시간 후에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야간 모드시에는 상기 점화스위치의 출력의 차단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 제어기는 상기 램프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접속된 전류루프제어용 스위치 및 저항과, 상기 저항의 양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정형하여 하는 히스테리시스 버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야간모드시 상기 점화스위치의 출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경보제어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5. 구동전류의 입력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들과, 배터리의 전압을 점화코일에 공급하기 위한 점화스위치와, 일사량의 검출에 의해 주야간을 판별하는 주야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램프의 일측단자에 구동 전류로 공급하는 다기능 스위치 레버와, 상기 램프의 또다른 단자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램프의 점등을 검출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 루프를 차단하는 전류검출 제어기를 구비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전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램프점등의 검출에 의해 상기 주야센서의 출력을 검색하여 주간 모드시에는 소정시간 후에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의 루프를 차단하는 램프구동전류 차단과정과,
    상기 램프점등의 검출에 의해 상기 주야센서의 출력을 검색하여 야간 모드시, 상기 점화스위치의 출력의 차단에 의해 도어의 열림을 검출하는 도어열림검출과정과,
    상기 도어의 열림검출에 응답하여 램프의 점등을 경보하는 경보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전류 제어 방법.
KR1019960050283A 1996-10-30 1996-10-30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KR19980030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283A KR19980030804A (ko) 1996-10-30 1996-10-30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283A KR19980030804A (ko) 1996-10-30 1996-10-30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04A true KR19980030804A (ko) 1998-07-25

Family

ID=6631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283A KR19980030804A (ko) 1996-10-30 1996-10-30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8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421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KR19980030804A (ko)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KR100192912B1 (ko)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JPS6341241Y2 (ko)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3037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KR0115711Y1 (ko) 광도 감지에 의한 전조등의 자동 온/오프장치
KR0121417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200161082Y1 (ko) 자동차 전조등 폐일경고장치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KR0137733Y1 (ko) 자동차 조명등 점소등 경보장치
KR0133753B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차폭등 자동 오프 장치
KR0115900Y1 (ko) 자동차용 미등 및 전조등 제어회로
JPS5924595Y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自動保持装置
JPS6341240Y2 (ko)
KR0180848B1 (ko) 램프 자동 꺼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21416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920000535Y1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 소등장치
KR0151334B1 (ko) 자동차의 주간 헤드램프 점등시 자동 멜로디 경고음 장치
KR200167153Y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0143273B1 (ko) 야간시 차량의 헤드램프 강제 점등장치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0408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 소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