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780U - 엔진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780U
KR19980030780U KR2019960043924U KR19960043924U KR19980030780U KR 19980030780 U KR19980030780 U KR 19980030780U KR 2019960043924 U KR2019960043924 U KR 2019960043924U KR 19960043924 U KR19960043924 U KR 19960043924U KR 19980030780 U KR19980030780 U KR 19980030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lift
pair
clamp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816Y1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변환시켜서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하는 엔진에 있어서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시키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하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캐스터가 장착된 한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일체로 고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절구가 형성된 한쌍의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가이드되어서 높이가 가변되며 일면에 한쌍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리프트구가 형성된 가변수단과, 상기 가변수단의 리프트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엔진을 리프트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트부재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수단에 의해 리프트되는 상기 엔진을 크램핑시킬 수 있도록 제1레버와 제2레버가 힌진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리프트부재의 하단에 고착된 클램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놓여진 엔진을 클램핑수단으로 클램핑시킨 후 리프트수단을 돌리면 클램핑수단에 클램핑된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이송장치를 밀면 캐스터가 구름운동되어서 목적한 장소로 엔진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이송장치.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변환시켜서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하는 엔진에 있어서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시키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차체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엔진은 공장내에 설치된 천정크레인등으로 운반하게 된다.
또, 공장에 설치된 천정크레인으로 엔진을 운반 할 경우에는 와이어를 천정크레인의 후크에 매단 후 엔진을 운반해야 한다.
이때, 엔진을 바닥으로부터 리프트시켜서 엔진을 운반하하므로써 운반되는 엔진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당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이고, 엔진을 운반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작업자가 상해당할 우려가 없이 용이하게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엔진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이송장치는, 엔진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하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캐스터가 장착된 한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일체로 고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절구가 형성된 한쌍의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가이드되어서 높이가 가변되며 일면에 한쌍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리프트구가 형성된 가변수단과, 상기 가변수단의 리프트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엔진을 리프트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트부재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수단에 의해 리프트되는 상기 엔진을 크램핑시킬 수 있도록 제1레버와 제2레버가 힌진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리프트부재의 하단에 고착된 클램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바닥에 놓여진 엔진을 클램핑수단으로 클램핑시킨 후 리프트수단을 돌리면 클램핑수단에 클램핑된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이송장치를 밀면 캐스터가 구름운동되어서 목적한 장소로 엔진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장치 및 엔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재11 : 캐스터
20 : 높이조절수단 21 : 조절구
30 : 가변수단 31 : 고정구
32 : 리프트구 40 : 리프트수단
41 : 리프트부재 42 : 손잡이부
50 : 클램핑수단 51 : 제1레버
52 : 제2레버 53 : 힌지부재
60 : 고정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장치 및 엔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변환시켜 자동차가 운해외도록 엔진룸에 장착되는 엔진이고, (50)은 운반하고져하는 상기 엔진(1)을 클램핑시키는 클램핑수단이다.
또, 상기 클램핑수단(50)은 상기 엔진(1)을 용이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제1레버(51)와 제2레버(52)가 힌지부재(5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50)은, 상기 클램핑수단(50)에 의해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을 리프트시키는 리프트수단(40)의 단부에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리프트수단(40)은, 상기 클램핑수단(50)에 의해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을 리프팅시킬 수 있도록 외주에 연속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리프트부재(41)와, 상기 리프트부재(41)의 단부에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하는 손잡이부(42)로 이루어져서 상기 클램핑수단(50)에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을 리프트시킨다.
한편, 그림에서 (30)은 상기 리프트수단(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리프트수단(40)을 가이드하는 가변수단으로써, 상면의 대체로 중앙에는 상기 리프트수단(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클램핑수단(50)에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을 리프트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수단(40)의 리프트부재(41)가 나사결합되는 리프트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변수단(30)의 일면에는 고정부재(60)에 의해서 상기 가변수단(30)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60)가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구(31)가 천공되어 있다.
또, (20)은 상기 가변수단(30)이 고정되도록 상기 가변수단(30)을 지지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써, 상기 가변수단(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절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수단(20)과 상기 지지부재(10)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부재(10)가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을 지지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는 상기 클램핑수단(50)에 의해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름운동되는 캐스터(11)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소정의 장소에 방치된 상기 엔진(1)을 운반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이송장치를 상기 엔진(1)이 방치된 장소로 이동시킨 후 상기 클램핑수단(50)으로 상기 엔진(1)을 클램핑시킨다.
또, 상기 클램핑수단(50)으로 상기 엔진(1)을 클램핑시킨 후에는 상기 리프트수단(50)의 손잡이부(42)를 돌리고, 상기 리프트수단(50)의 손잡이부(42)를 돌리면 상기 리프트부재(51)가 도 1에 도시된 A방향으로 업되게 된다.
또, 상기 리프트부재(51)가 업되면 상기 클램핑수단(50)이 연동하여 업되므로써 상기 클램핑수단(50)에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이 리프트되어서 상기 엔진(1)이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핑수단(50)에 의해 클램핑된 상기 엔진(1)이 들어올려진 후에는 작업자가 이송장치를 밀게되고, 이송장치를 밀면 상기 지지부재(10)에 장착된 상기 캐스터(11)가 구룸운동되게되어 이동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엔진(1)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엔진(1)을 목적한 장소로 운반한 후에는 상기 리프트수단(40)의 손잡이부(41)를 상기한 방향과 반대로 돌리면 상기 리프트수단(40)의 리프트부재(41)가 하강되어서 상기 엔진(1)이 바닥에 놓여지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상기 엔진(1)을 목적한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바닥에 놓여진 엔진을 클램핑수단으로 클램핑시킨 후 리프트수단을 돌리면 클램핑수단에 클램핑된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엔진이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이송장치를 밀면 캐스터가 구름운동되어서 목적한 장소로 엔진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1)을 목적된 장소로 운반하는 엔진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캐스터(11)가 장착된 한쌍의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절구(21)가 형성된 한쌍의 높이조절수단(2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20)에 가이드되어서 높이가 가변되며 일면에 한쌍의 고정구(31)가 형성되고 상면에 리프트구(32)가 형성된 가변수단(30)과,
    상기 가변수단(30)의 리프트구(32)에 삽입되어서 상기 엔진(1)을 리프트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트부재(41)와 손잡이부(42)로 이루어진 리프트수단(40)과,
    상기 리프트수단(40)에 의해 리프트되는 상기 엔진(1)을 크램핑시킬 수 있도록 제1레버(51)와 제2레버(52)가 힌진부재(53)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리프트부재(41)의 하단에 고착된 클램핑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송장치.
KR2019960043924U 1996-11-29 1996-11-29 엔진의 이송장치 KR200143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24U KR200143816Y1 (ko) 1996-11-29 1996-11-29 엔진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24U KR200143816Y1 (ko) 1996-11-29 1996-11-29 엔진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80U true KR19980030780U (ko) 1998-08-17
KR200143816Y1 KR200143816Y1 (ko) 1999-06-15

Family

ID=194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924U KR200143816Y1 (ko) 1996-11-29 1996-11-29 엔진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33B1 (ko) * 2001-09-24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로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33B1 (ko) * 2001-09-24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로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816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960A (en) Engine balance lifter
KR200143816Y1 (ko) 엔진의 이송장치
DE59903292D1 (de) Handhabungsgerät mit Balancier-Hebeeinrichtung
JP4252947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0444672B1 (ko)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US4324393A (en) Heavy duty radiator bench and hoist
KR100423050B1 (ko) 차량조립을 위한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CN216686428U (zh) 矩形管上料装置
CA2386996A1 (en) Structur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0113626Y1 (ko) 천정부 방열판넬 설치장치
JPH04212670A (ja) 移載装置
KR0132823Y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이송장치
KR0125433B1 (ko)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KR0125437B1 (ko) 래터럴로드 조립용 장치
KR200280561Y1 (ko) 에어 리프터
KR100235025B1 (ko) 리프터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의 패널 고정장치
JPH0547136Y2 (ko)
JPH06286990A (ja) 配管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フトアップ工法
JPH10238123A (ja) 建物外壁版搬送取付装置及び方法
KR960008642Y1 (ko) 방열판넬 설치장치
JP2511099Y2 (ja) シ―トのクランプ具
KR0123506Y1 (ko) 철도차량의 전선배관 설치장치
JP2000043768A (ja) モジュ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
KR200296773Y1 (ko) 밀감 운반용 리프터 장치
JPH11292458A (ja) ドラムハンドリング用吊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