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413U -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 Google Patents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413U
KR19980030413U KR2019960043509U KR19960043509U KR19980030413U KR 19980030413 U KR19980030413 U KR 19980030413U KR 2019960043509 U KR2019960043509 U KR 2019960043509U KR 19960043509 U KR19960043509 U KR 19960043509U KR 19980030413 U KR19980030413 U KR 19980030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uxiliary cushion
compartment
cush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413U/ko
Publication of KR19980030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41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별도의 보조쿠션을 구매하여 사용함으로 인하여 비용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 사용치 않을 때에는 실내에 마땅히 보관할 만한 장소가 없어 트렁크 등에 적재하고 다니다가 필요시에만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뒷좌석시트(100)의 등받이(110)에는 함실(112)을 형성하고, 상기 함실(112)에는 후면에 손잡이(122)가 형성된 보조쿠션(120)이 힌지(130)에 의해 절첩될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함실(112)내면과 보조쿠션(120)내면에는 어린이용 안전벨트(140)가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아가 탑승시에 보조쿠션(120)을 함실(112)내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다시 보조쿠션(120)을 함실(112)에 내장되도도록 하여 별도로 보조쿠션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사용치 않을 때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도 1 은 본 고안의 보조쿠션을 사용치 않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보조쿠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일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뒷좌석시트 110 : 등받이
112 : 함실 120 : 보조쿠션
122 : 손잡이 130 : 힌지
140 : 어린이용 안전벨트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트의 등받이에 절첩식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유아들이 탑승하여 필요시에만 보조쿠션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보조쿠션을 함실에 내장하므로써 운전자가 보조쿠션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유아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승객들이 편안한 자세로 앉을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시트가 설치되는데, 상기의 시트는 승차원을 지지해주며, 노면으로 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해주는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용도, 배치에 따라 트라이버 시트, 패저슨 시트, 리어시트, 차일드 시트로 구분되며, 형상에 의해 분류로는 로우백시트, 하이백 시트, 버켓 시트로 분류되는 것이며, 기능에 따라서는 고정식시트, 조절식 시트, 변환식 시트로 구분된다.
상기의 시트구조를 살펴보면 통상 시트프레임에 시트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패드를 놓고 다시 트림커버 에셈블리로 겉을 붙인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시트 프레임을 상자형으로 성형하고 두꺼운 패드를 사용해서 시트쿠션 스프링을 생략한 풀폼 시트등이 있으며,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직포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을 시트 스프링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있다.
상기 시트 프레임이란 승차원 및 시트자체의 하중을 차체 구조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강도, 강성을 필요로 하며, 또한 시트 프레임에 시트 슬라이드 어저스터나 릭라이닝 어저스터, 시트 리프터, 램버서포트 어저스터, 사이드서포트 어저스터 등의 안전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 시프링은 직경 2.6 4.0 mm 의 피아노선 또는 경강선을 가공한 시트용의 스프링이며, 넓은 의미로는 직포스프링도 시트 스프링에 포함된다. 그리고 패드는 시트 스프링과 표피재 사이에 놓이거나 폴폼시트로 이용되는 유연한 물체를 의미하며 통상 1 층 또는 2,3층의 우레탄폼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목적은 시트의 형상을 보존하는 것과 스프링 타입의 시트에서는 착석한 승차원과 스프링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이질감의 해소나 쿠션체로서 스프링의 작용과 덤핑을 주는 일이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폴폼 시트에서는 높은 탄성의 패드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의 시트는 착석했을 때 히프가 얹혀지는 시트쿠션과 등이 받쳐지는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의 3 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위로 위치되는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부분으로 추돌등으로 인한 머리의 부상방지와 머리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되는데, 시트와 일체로 된것과 탈착이 가능한 것 또는 조정이 가능한 것도 있는데, 상기의 헤드레스트는 치수요건, 후방이동량, 접촉면적, 층격흡수성등 각국에서 법규제가 있어서 이에 적합 하여야 한다.
이처럼 자동차의 실내에는 승객들이 편안한 상태에서 목적지까지 갈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고 안전장치로는 추돌시 충격으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seat belt : 이하 안전벨트라 칭함)가 시트마다 설치되는데, 주로 허리좌우에 2 점과 어깨위쪽 1 점에 고정시켜 3 점을 지지하는 형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유무에 따라 승객의 손상에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물론 조수석의 승객들은 필수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며, 고속도로에서는 뒷좌석의 승객까지도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벨트는 성인들의 신체조건에 부합되도록 제작 설치하였기 때문에 성인들에게는 효과적으로 사용될수 있으나 유아들이 탑승 하였을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구실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다시말하면, 안전벨트의 일측은 허리좌우를 지지하여 주고, 타측은 허리를 지지하여 주어야 하는데, 유아의 경우에는 신체가 작아서 즉, 앉은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매게되면 어깨를 지지하여 주는 부분이 목으로 가게되어 잘못하면 호흡곤란을 겪을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유아용 보조쿠션을 구비하여 기존의 시트쿠션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유아들이 착석하도록 하여 앉은키를 높인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토록 하거나 또는 유아용 안전벨트가 설치된 보조쿠션을 구비하여 기존의 안전벨트로는 보조쿠션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보조쿠션을 별도로 구매하기 위한 비용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 유아들이 탑승시에만 차내에 장착하고, 차내에 유아들이 탑승하지 않고 성인들만이 탑승할 경우에는 설치된 보조쿠션을 치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또한 차내에는 마땅히 보조쿠션을 보관할 만한 공간이 없어 이를 트렁크나 또는 집에 보관하였다가 사용할 때에만 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의 등받이에 함실을 형성하고 상기 함실내에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보조쿠션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함실내에 보관토록 하여 보조쿠션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사용치 않을 경우에도 보관할 공간을 확보하지 않도록 한 유아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뒷좌석시트의 등받이에는 함실을 형성하고, 상기 함실에는 후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쿠션이 힌지에 의해 절첩될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함실 내면과 보조쿠션내면에는 어린이용 안전벨트가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달성될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아들이 탑승시 함실에 내장 되어있는 보조쿠션을 인출하여 기존의 시트쿠션위에 놓여지도록 하고 유아를 상기 보조쿠션위에 착석하도록 한후, 유아용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보조쿠션을 함실에 내장 하므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조쿠션을 사용치 않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보조쿠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일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뒷좌석시트(100)의 등받이(110)에는 함실(112)을 형성하고, 상기 함실(112)에는 후면에 손잡이(122)가 형성된 보조쿠션(120)이 힌지(130)에 의해 절첩될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함실(112)내면과 보조쿠션(120)내면에는 어린이용 안전벨트(140)가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0)은 뒷좌석시트의 시트쿠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뒷좌석시트(100)의 등받이(110)에 함실(112)을 형성한후 상기 함실(112)에 보조쿠션(120)이 출입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평상시에 보조쿠션(120)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보조쿠션(120)이 함실(112)에 내장되어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조쿠션(120)을 사용할 때에는 보조쿠션(120)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122)를 당기게 되면 보조쿠션(120)이 함실(112)에서 인출되는데, 이는 보조쿠션(120)이 시트쿠션(150)과 서로 힌지(130)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보조쿠션(120)이 자유롭게 절첩될수 있다.
이처럼 보조쿠션(120)을 인출하여 시트쿠션(150)과 완전히 접면되도록 펼쳐준후 상기 보조쿠션(120)위로 유아가 착석하도록 하는데, 상기 보조쿠션(120)을 인출하게 되면 보조쿠션(120)과 함실(112)에는 유아에게 적당한 안전벨트(140)가 설치 되는데, 즉, 함실(112)에는 버클이 있는 벨트가 보조쿠션(120)에는 텅 플레이트가 있는 벨트가 설치되어 있어 유아를 보조쿠션(120)위에 앉힌후 안전벨트(140)를 착용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를 보조쿠션(120)내에 설치된 어린이용 안전벨트(140)를 착용시킨후 다시 기존의 안전벨트를 착용시키면 이중으로 유아들을 보호할 수가 있어 충돌시에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본 고안의 보조쿠션(120)을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보조쿠션(120)을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 올려 함실(112)에 내장되도록 하면 보조쿠션(120)은 등받이(110)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일직선상에 놓여지므로 성인들이 착석시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쿠션(120)후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22)는 재질을 가죽이나 헝겉 등을 이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보조쿠션(120)에 등을 기대더라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고안의효과]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뒷좌석시트 등받이에 함실을 형성한후 착탈되는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필요할때에만 보조쿠션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보조쿠션을 다시 함실내에 내장하여 별도로 보조쿠션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사용치 않을 경우 차량내에 보관할 공간이 없어 트렁크 등에 적재하고 다니다가 사용할 때에만 일일이 꺼내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뒷좌석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뒷좌석시트(100)의 등받이(110)에는 함실(112)을 형성하고, 상기 함실(112)에는 후면에 손잡이(122)가 형성된 보조쿠션(120)이 힌지(130)에 의해 절첩될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함실(112)내면과 보조쿠션(120)내면에는 어린이용 안전벨트(14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KR2019960043509U 1996-11-29 1996-11-29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KR199800304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09U KR19980030413U (ko) 1996-11-29 1996-11-29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509U KR19980030413U (ko) 1996-11-29 1996-11-29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413U true KR19980030413U (ko) 1998-08-17

Family

ID=5398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509U KR19980030413U (ko) 1996-11-29 1996-11-29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4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7400B2 (en)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US4540216A (en) Convertible seat for vehicles
US5511850A (en) Child's automobile safety seat
JPH02501377A (ja) 子供用自動車座席
JPH02106448A (ja) 子供用椅子を合体した車シート構造
US6394544B1 (en) Convertible head support
KR19980030413U (ko)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의 뒷좌석시트
GB2287646A (en) Attachment of child safety seat to a vehicle seat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200076122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JP3120900U (ja) バス用補助席カバー
KR200339559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415303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19980030380U (ko) 유아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
JP2010083165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0587797B1 (ko) 다목적 차량용 리어시트
KR200369680Y1 (ko)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JP2023152048A (ja) 乗物用シート
KR20230128628A (ko) 자동차의 보조석용 다용도 수납장치
JP2023141218A (ja) 車両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2021181246A (ja) シート構造
KR0138702Y1 (ko) 유아 보호 시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541814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40045713A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