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441U -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441U
KR19980029441U KR2019960042504U KR19960042504U KR19980029441U KR 19980029441 U KR19980029441 U KR 19980029441U KR 2019960042504 U KR2019960042504 U KR 2019960042504U KR 19960042504 U KR19960042504 U KR 19960042504U KR 19980029441 U KR19980029441 U KR 199800294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ling
air conditioner
heating
for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2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441U/ko
Publication of KR19980029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공조장치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에 따른 냉방과 난방을 할 수 있었으나, 온풍과 냉풍의 중간온도의 설정공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레이아웃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에서와 같이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닥트(22)내의 선단에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12)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16)이 설치되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12)와 히터코일(16)의 사이에 전환 가능한 믹스댐퍼(1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로써,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고 레이아웃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본 고안은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실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서 오염이 되므로 차창외의 신선한 공기를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치를 환기장치라고 하며 강제적으로 팬을 구동시켜 외기를 실내로 끌어드리는 방식이 있고, 자연적으로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생기는 풍압에 의해서 차실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거나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실내를 난방시켜 주는 난방장치와 더불어 액체의 증발열을 이용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바깥온도보다 낯추는 작동을 하는 냉방장치가 있다.
예시도면 도 1 의 (가)는 종래 자동차의 난방장치의 개요도이고, (나)는 종래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개요도이다.
상기한 난방장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의 온도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따뜻하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블로어모터(10)를 사용하여 외기와 내기의 공기를 히터코어(16)로 보내주는 것이고, 상기한 히터코어(16)의 냉각수의 온수로 인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난방과 동시에 열풍의 일부를 프론트나 사이드글라스로 공급해서 흐림방지, 서리방지 등을 한다.
또한, 냉방장치는 지크롤 지폴올 메탄이라는 냉매가 기화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블로어모터(1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냉매순환경로의 에버 포레스터(12)에서 냉각시켜 주며 상기한 냉매는 액화와 기화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에버 포레스터(12), 콘프레서, 콘덴서, 팽창밸브의 순으로 순환하여 냉방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조장치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에 따른 냉방과 난방을 할 수 있었으나, 온풍과 냉풍의 중간온도의 설정공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레이아웃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닥트내의 선단에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와 히터코일의 사이에 전환 가능한 믹스댐퍼가 장착된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고 레이아웃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것이다.
도 1 의 (가)는 종래 자동차의 난방장치의 개요도,
(나)는 종래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개요도
도 2 의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의 컨트롤 레버의 구성도,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로어 모터, 12 - 에버 포레스터,
14 - 믹스댐퍼, 15 - 절환댐퍼,
16 - 히터코어, 18 - 워터밸브,
20 - 토출구, 22 - 닥트,
24 - 컨트롤 레버, 26 - 온도컨트롤 레버,
28 - 디프로스트 레버, 30 - 에어콘 스위치,
32 - 인테이크 레버, 34 - 블로어 레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닥트(22)내의 선단에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12)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16)이 설치되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12)와 히터코일(16)의 사이에 전환 가능한 믹스댐퍼(1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2 의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를 조절하는 컨트롤 레버의 구성도이고,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의 내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오토매틱 에어컨디션 공조장치는 차실내로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를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닥트(22)내에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다수개의 절환댐퍼(15)가 있고, 내기 및 외기 흡입구에는 공기를 송풍해주는 불로어 모터(10)가 있다.
상기 블로어 모터(10)를 지나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12)가 설치되어 있고,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16)과 워터밸브(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12)와 히터코일(16) 사이에 냉1Q난방을 전환해주는 믹스댐퍼(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워터밸브(18)는 엔진의 워터재킷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해주는 밸브로써, 히터코일(16)로 유입되는 공기는 냉각수에 의해서 온풍으로 변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조장치는 대시보드상에 장착되어 있는 콘트롤 레버(24)에 의해서 작동이 되는 것이다.
즉, 온도컨트롤 레버(26)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믹스댐퍼(14)는 상측으로 전환되어 온풍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고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믹스댐퍼(14)가 하측으로 전환되어 냉풍이 차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디프로스트 레버(28)를 각 단계별로 이동시키면 닥트(22)내의 절환댐퍼(15)가 작동하여 차실내의 각부로 공기가 송풍되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뿐아니라 차창의 흐림방지나 서리방지를 할 수 있으며, 인테이크 레버(32)의 작동으로 내기 및 외기가 전환되고 공기는 블로어 모터(10)에 의해서 송풍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과 신선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블로어 모터(10)는 블로어 레버(34)의 순차적인 작동에 따라 닥트(22)내로 공급되는 송풍의 양이 조절되고, 에어컨 스위치(30)의 작동으로 에버 포레스터(12)는 냉매의 기화를 통하여 차가운 공기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은 냉방장치와 난방장치를 일체로 이루어진 닥트(22)내에 장착하여 믹서댐퍼(14)의 전환으로 차거운 공기에서 더운공기로의 자유로운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닥트내의 선단에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가 설치하고 후단에는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이 설치하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와 히터코일의 사이에 전환 가능한 믹스댐퍼가 장착된 것으로, 공기의 흐름, 냉방 및 난방을 상세히 제어할 수 있고 레이아웃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닥트(22)내의 선단에 냉방작용을 하는 에버 포레스터(12)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난방작용을 하는 히터코일(16)이 설치되며, 상기 에버 포레스터(12)와 히터코일(16)의 사이에 절환 가능한 믹스댐퍼(1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KR2019960042504U 1996-11-27 1996-11-27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KR199800294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04U KR19980029441U (ko) 1996-11-27 1996-11-27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04U KR19980029441U (ko) 1996-11-27 1996-11-27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41U true KR19980029441U (ko) 1998-08-17

Family

ID=5398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504U KR19980029441U (ko) 1996-11-27 1996-11-27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4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9441U (ko)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KR19980029442U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JPH06206439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6566547B2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KR0134230B1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어퍼벤트
KR0134402Y1 (ko) 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2990995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H0858358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74990Y1 (ko) 냉·온풍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구조
KR19980058328A (ko) 상용차용 냉장 및 온장 박스의 온도 조절 장치
KR19980043183U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악취 제거장치
KR20020007829A (ko) 빌트-인형 공기조화장치
JPH088895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21061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3033373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0148661B1 (ko) 필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기 조절장치
KR100566961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CN113910859A (zh) 用于机动车的空调设备和冷却方法
KR19990003480U (ko) 자동차 공기조화기
JPH06156048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200267852Y1 (ko) 차량의 공조장치
KR19980075073A (ko) 자연풍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의 모드도어 제어방법
JPH06156045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999004347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히터 코어 설치구조
KR20000004047U (ko) 차량용 에어컨의 응축기를 이용한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